알콜중독은 중독자 개인뿐 아니라 전체가족의 기능에도 심각한 손상을 초래해서 가족의 기능을 변화시키는 가족 병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부인은 알콜중독자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생활함으로써 정서적․심리적․대인관계측면에서 어려움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러한 알콜중독가족의 역기능을 공동의존이라 한다. 이러한 공동의존에 대한 개입은 알콜중독자 부인들이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고, 또 이를 토대로 가족체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가족기능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직까지 우리나라가 문화적으로 가족주의 성향이 강하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춰 가족체계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고, 먼저 알콜중독자 부인들을 대상으로 공동의존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더 심화시키는 요인을 찾아내어 사회사업적 개입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알콜중독자 부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족 배경적 요인, 가족체계 관련요인으로 나누어 공동의존 심화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알콜의존으로 진단받고 병원에 입원중이거나 퇴원 후 회복중에 있는 알콜중독자의 부인을 대상으로, 사전에 연락된 가족친목모임(Al-Anon)과 지역알콜상담센터, 지역사회복지관을 방문 및 배포하여 설문의 대상자들이 직접 작성토록 하고 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119부중 10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
알콜중독은 중독자 개인뿐 아니라 전체가족의 기능에도 심각한 손상을 초래해서 가족의 기능을 변화시키는 가족 병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부인은 알콜중독자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생활함으로써 정서적․심리적․대인관계측면에서 어려움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러한 알콜중독가족의 역기능을 공동의존이라 한다. 이러한 공동의존에 대한 개입은 알콜중독자 부인들이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고, 또 이를 토대로 가족체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가족기능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직까지 우리나라가 문화적으로 가족주의 성향이 강하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춰 가족체계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고, 먼저 알콜중독자 부인들을 대상으로 공동의존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더 심화시키는 요인을 찾아내어 사회사업적 개입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알콜중독자 부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족 배경적 요인, 가족체계 관련요인으로 나누어 공동의존 심화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알콜의존으로 진단받고 병원에 입원중이거나 퇴원 후 회복중에 있는 알콜중독자의 부인을 대상으로, 사전에 연락된 가족친목모임(Al-Anon)과 지역알콜상담센터, 지역사회복지관을 방문 및 배포하여 설문의 대상자들이 직접 작성토록 하고 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119부중 10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공동의존 정도에 대한 분포를 살펴보면, 전체 대상자 중에서 91.7%(99명)가 공동의존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그중 중등도 이상의 공동의존을 보인 대상자는 56명으로 51.9%로 응답되어 알콜중독자 부인의 공동의존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즉, 연령, 결혼상태, 교육정도, 종교유무에 따라 공동의존의 심화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공동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교육이 낮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공동의존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가족 배경적 요인 즉, 혼전 가족내 알콜중독의 유무, 음주로 인한 가족내 폭력여부, 알콜중독자의 단주여부, 알콜중독자의 단주친목모임(AA)참여 여부에 따른 공동의존의 심화여부는 알콜중독자의 단주친목모임참여 여부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알콜중독자가 단주친목모임에 참여하지 않을수록 공동의존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가족체계 관련요인 즉, 가족결속력, 가족적응력, 가족내 의사소통에 따른 공동의존의 심화여부는 가족내 의사소통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가족내 의사소통이 역기능적일수록 공동의존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알콜중독자 부인의 공동의존 심화에 대한 사회사업적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알콜중독자 부인의 개인적 배경은 공동의존에 차이가 없다는 결과에 따라 알콜중독자 부인에 대한 임상적 접근에서는 개인적 특성에 상관없이 누구나 공동의존의 문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둘째, 알콜중독자의 단주친목모임(AA)의 참여와 지속이 공동의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결과에 따라 알콜중독자를 단주친목모임(AA)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는 알콜중독 입원치료 후에 사후보호서비스가 미흡하고, 자조집단 외에 대안적 접근이 거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조집단과 더불어 지역사회중심의 전문서비스 개발도 시급하다고 하겠다. 셋째, 가족내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이 공동의존을 심화시킨다는 결과에 따라, 가족의 결속력과 적응력 수준에 있어 촉매역할을 하는 의사소통을 훈련토록하여 가족의 결속과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넷째, 연구결과 대부분의 알콜중독자 부인에게 공동의존이 존재했으며 또 공동의존의 정도가 각기 달랐던 점에 따라 공동의존의 문제정도에 따른 표준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하겠다.
알콜중독은 중독자 개인뿐 아니라 전체가족의 기능에도 심각한 손상을 초래해서 가족의 기능을 변화시키는 가족 병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부인은 알콜중독자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생활함으로써 정서적․심리적․대인관계측면에서 어려움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러한 알콜중독가족의 역기능을 공동의존이라 한다. 이러한 공동의존에 대한 개입은 알콜중독자 부인들이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고, 또 이를 토대로 가족체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가족기능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직까지 우리나라가 문화적으로 가족주의 성향이 강하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춰 가족체계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고, 먼저 알콜중독자 부인들을 대상으로 공동의존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더 심화시키는 요인을 찾아내어 사회사업적 개입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알콜중독자 부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족 배경적 요인, 가족체계 관련요인으로 나누어 공동의존 심화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알콜의존으로 진단받고 병원에 입원중이거나 퇴원 후 회복중에 있는 알콜중독자의 부인을 대상으로, 사전에 연락된 가족친목모임(Al-Anon)과 지역알콜상담센터, 지역사회복지관을 방문 및 배포하여 설문의 대상자들이 직접 작성토록 하고 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119부중 10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공동의존 정도에 대한 분포를 살펴보면, 전체 대상자 중에서 91.7%(99명)가 공동의존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그중 중등도 이상의 공동의존을 보인 대상자는 56명으로 51.9%로 응답되어 알콜중독자 부인의 공동의존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즉, 연령, 결혼상태, 교육정도, 종교유무에 따라 공동의존의 심화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공동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교육이 낮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공동의존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가족 배경적 요인 즉, 혼전 가족내 알콜중독의 유무, 음주로 인한 가족내 폭력여부, 알콜중독자의 단주여부, 알콜중독자의 단주친목모임(AA)참여 여부에 따른 공동의존의 심화여부는 알콜중독자의 단주친목모임참여 여부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알콜중독자가 단주친목모임에 참여하지 않을수록 공동의존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가족체계 관련요인 즉, 가족결속력, 가족적응력, 가족내 의사소통에 따른 공동의존의 심화여부는 가족내 의사소통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가족내 의사소통이 역기능적일수록 공동의존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알콜중독자 부인의 공동의존 심화에 대한 사회사업적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알콜중독자 부인의 개인적 배경은 공동의존에 차이가 없다는 결과에 따라 알콜중독자 부인에 대한 임상적 접근에서는 개인적 특성에 상관없이 누구나 공동의존의 문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둘째, 알콜중독자의 단주친목모임(AA)의 참여와 지속이 공동의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결과에 따라 알콜중독자를 단주친목모임(AA)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는 알콜중독 입원치료 후에 사후보호서비스가 미흡하고, 자조집단 외에 대안적 접근이 거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조집단과 더불어 지역사회중심의 전문서비스 개발도 시급하다고 하겠다. 셋째, 가족내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이 공동의존을 심화시킨다는 결과에 따라, 가족의 결속력과 적응력 수준에 있어 촉매역할을 하는 의사소통을 훈련토록하여 가족의 결속과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넷째, 연구결과 대부분의 알콜중독자 부인에게 공동의존이 존재했으며 또 공동의존의 정도가 각기 달랐던 점에 따라 공동의존의 문제정도에 따른 표준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하겠다.
Alcoholism is a kind of family disease that bring about a terrible damage to the function of all the family as well as poisoned people himself, and alters family function. Among them, especially his wife is get along with alcoholic in the intimate relationship, so she expose difficulties from th...
Alcoholism is a kind of family disease that bring about a terrible damage to the function of all the family as well as poisoned people himself, and alters family function. Among them, especially his wife is get along with alcoholic in the intimate relationship, so she expose difficulties from the side of emotional matter, psychological matter and personal relations. And we say this malfunction for the alcoholic family as collaborate dependence. Intervening to this collaborate dependence makes the alcoholic's wives get along a healthy life, and it will also help to recover the family function by giving a positive affect to family system on the basis of this. In this study it was tried out to access the family system according to the fact that our country still have powerful inclination toward familism in culture, at first we grasped the level of collaborate dependence on the alcoholic's wives, and investigated the depth level of collaborate dependence by dividing them as populational social characteristics for the alcoholic's wife, related cause over family system in order to research the plan of intervention for social business by means of finding the elements that makes it more deepen. As studying method, we used a method to visit family friendship meeting(Al-Anon) that was previously contacted, local consulting center for alcoholic and local social welfare center, and distribute questionnaire papers and withdraw the papers written by the subject himself against the wives of alcoholics who are in the hospital after diagnosing as alcohol dependence or are in the recovering state after leaving the hospital. We carry out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currence analysis by using withdrawn 108 copies of distribute questionnaire papers as final analysis data. We can summarize principal studying results as follows. First, if we inspect closely the level of collaborate dependence of studying subjects, it was investigated that 91.7%(99 persons) of overall subject has collaborate dependence, among them the subjects who showed collaborate dependence over medium level were 56 persons, 51.9%, which means the level of collaborate dependence of alcoholic's wife is in the very high state. Second, the populational social characteristics for the studying subjects, namely the deepening level of collaborate dependence according to ages, marriage state, education level and religion matter didn't bring out any available differences statistically. But when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that affected collaborate dependence by the populational social characteristics for the studying subjects, we found that collaborate dependence was relatively high according to the low level of education and the low level of ages even though it didn't show available differences statistically.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deepening level of collaborate dependence according to the family background elements of studying subjects, so to speak the existence of alcoholism in the family before marriage, violence in the family by drinking, the existence of abstinence from drinking, the alcoholic's attendance to abstinence from drinking friendship meeting showed that only attendance abstinence from drinking friendship meeting brought out available differences statistically.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the collaborate dependence was deepening as alcoholic didn't attend abstinence from drinking friendship meeting. Forth, it was revealed that the related elements of family system against studying subjects, so to speak solidarity power of family, family stress and the deepening level of collaborate dependence showed available differences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in the family, therefore collaborate dependence was deepening as communication in the family has malfunction. From this result of studying, practical mutual agreement for social business against the deepening of collaborate dependence of alcoholic's wife are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everybody can have the problems on collaborate dependence with no relation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in the clinical access to alcoholic's wife according to the fact that personal background of alcoholic's wife doesn't have any difference on the collaborate depende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induce alcoholic to an abstinence from drinking friendship meeting(AA)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alcoholic's attendance and continuance gives available differences statistically to the collaborate dependence. Also, our country has a limit on the fact that after protective service is not satisfactory after finishing hospital treatment over alcoholism, and there is not nearly any alternative access except self-helping group.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professionalized service around the axis of local society as well as this self-helping group. Third, it is necessary to induce improving solidarity power of family and adaptation ability by training communication ability that makes a role of catalyst in the level of solidarity power of family and adaptation power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communication of malfunction in the family deepen the collaborate dependence. Forth, from this studying, standardized program that related with the level of problem on collaborate dependence is needed according the fact that collaborate dependence was existed against almost alcoholic's wife and the level of collaborate dependence was differed respectively.
Alcoholism is a kind of family disease that bring about a terrible damage to the function of all the family as well as poisoned people himself, and alters family function. Among them, especially his wife is get along with alcoholic in the intimate relationship, so she expose difficulties from the side of emotional matter, psychological matter and personal relations. And we say this malfunction for the alcoholic family as collaborate dependence. Intervening to this collaborate dependence makes the alcoholic's wives get along a healthy life, and it will also help to recover the family function by giving a positive affect to family system on the basis of this. In this study it was tried out to access the family system according to the fact that our country still have powerful inclination toward familism in culture, at first we grasped the level of collaborate dependence on the alcoholic's wives, and investigated the depth level of collaborate dependence by dividing them as populational social characteristics for the alcoholic's wife, related cause over family system in order to research the plan of intervention for social business by means of finding the elements that makes it more deepen. As studying method, we used a method to visit family friendship meeting(Al-Anon) that was previously contacted, local consulting center for alcoholic and local social welfare center, and distribute questionnaire papers and withdraw the papers written by the subject himself against the wives of alcoholics who are in the hospital after diagnosing as alcohol dependence or are in the recovering state after leaving the hospital. We carry out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currence analysis by using withdrawn 108 copies of distribute questionnaire papers as final analysis data. We can summarize principal studying results as follows. First, if we inspect closely the level of collaborate dependence of studying subjects, it was investigated that 91.7%(99 persons) of overall subject has collaborate dependence, among them the subjects who showed collaborate dependence over medium level were 56 persons, 51.9%, which means the level of collaborate dependence of alcoholic's wife is in the very high state. Second, the populational social characteristics for the studying subjects, namely the deepening level of collaborate dependence according to ages, marriage state, education level and religion matter didn't bring out any available differences statistically. But when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that affected collaborate dependence by the populational social characteristics for the studying subjects, we found that collaborate dependence was relatively high according to the low level of education and the low level of ages even though it didn't show available differences statistically.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deepening level of collaborate dependence according to the family background elements of studying subjects, so to speak the existence of alcoholism in the family before marriage, violence in the family by drinking, the existence of abstinence from drinking, the alcoholic's attendance to abstinence from drinking friendship meeting showed that only attendance abstinence from drinking friendship meeting brought out available differences statistically.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the collaborate dependence was deepening as alcoholic didn't attend abstinence from drinking friendship meeting. Forth, it was revealed that the related elements of family system against studying subjects, so to speak solidarity power of family, family stress and the deepening level of collaborate dependence showed available differences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in the family, therefore collaborate dependence was deepening as communication in the family has malfunction. From this result of studying, practical mutual agreement for social business against the deepening of collaborate dependence of alcoholic's wife are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everybody can have the problems on collaborate dependence with no relation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in the clinical access to alcoholic's wife according to the fact that personal background of alcoholic's wife doesn't have any difference on the collaborate depende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induce alcoholic to an abstinence from drinking friendship meeting(AA)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alcoholic's attendance and continuance gives available differences statistically to the collaborate dependence. Also, our country has a limit on the fact that after protective service is not satisfactory after finishing hospital treatment over alcoholism, and there is not nearly any alternative access except self-helping group.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professionalized service around the axis of local society as well as this self-helping group. Third, it is necessary to induce improving solidarity power of family and adaptation ability by training communication ability that makes a role of catalyst in the level of solidarity power of family and adaptation power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communication of malfunction in the family deepen the collaborate dependence. Forth, from this studying, standardized program that related with the level of problem on collaborate dependence is needed according the fact that collaborate dependence was existed against almost alcoholic's wife and the level of collaborate dependence was differed respectivel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