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국내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산업화, 대기오염 및 무분별한 산지개발 등으로 열악해진 생활환경은 산림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국민의 관심은 산림휴양과 국토보전 등 산림자원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수요를 증대시킴으로써 산림자원의 효율적 이용방안의 연구가 불가피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와 수치화된 자료, 기본통계자료들을 가지고 산림의 이용과 보전이라는 양면적인 요소에 대하여 적절히 조화시켜 산림경영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산림행정과 관련...
최근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국내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산업화, 대기오염 및 무분별한 산지개발 등으로 열악해진 생활환경은 산림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국민의 관심은 산림휴양과 국토보전 등 산림자원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수요를 증대시킴으로써 산림자원의 효율적 이용방안의 연구가 불가피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와 수치화된 자료, 기본통계자료들을 가지고 산림의 이용과 보전이라는 양면적인 요소에 대하여 적절히 조화시켜 산림경영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산림행정과 관련된 각각의 분석인자들을 산림경영, 자연경관, 법적규제 인자로 구분하여 각 인자를 등급화하고 중첩시켜 각 주요 인자별 산림경영계획도를 만들고 이를 통해 내업과정을 통한 효율적인 산림경영프로그램을 만들수가 있었다 2. 각각의 분석주제도를 중첩을 통해 대상지를 보전, 준보전, 준개발, 개발 등 4권역으로 나누어 산림경영계획도를 도출함으로써 균형있고 합리적인 산림이용계획을 수립할 수가 있으며, 이를 통해 산림의 이용과 보전의 적절한 조화를 통해 효율적인 산림경영을 이루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3. 수치화 자료를 활용하여 미리 대상지의 산림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이 가능하여 현장조사 전에 대상지의 여러 정보를 통해 산림계획방향의 변수들을 통제함으로써 사업의 대상지 선정 및 사업내용의 변경 등 기존의 현장위주에서 발생하였던 시간적 단축 및 과학적인 행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료의 객관적인 데이터화로 민원인들에게 서비스를 증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 분석결과 및 각종주제도에 수치지번도를 중첩함으로써 경계를 명확히 알 수 있어 각종 산림의 활용시 경계 침범의 우려가 없어 효율성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 공유림지역은 좀더 공익적 기능을 강조 할 수 있도록 산림의 이용을 계획하고, 사유림에 대해서는 산주에게 산림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여 산림의 경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국내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산업화, 대기오염 및 무분별한 산지개발 등으로 열악해진 생활환경은 산림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국민의 관심은 산림휴양과 국토보전 등 산림자원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수요를 증대시킴으로써 산림자원의 효율적 이용방안의 연구가 불가피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와 수치화된 자료, 기본통계자료들을 가지고 산림의 이용과 보전이라는 양면적인 요소에 대하여 적절히 조화시켜 산림경영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산림행정과 관련된 각각의 분석인자들을 산림경영, 자연경관, 법적규제 인자로 구분하여 각 인자를 등급화하고 중첩시켜 각 주요 인자별 산림경영계획도를 만들고 이를 통해 내업과정을 통한 효율적인 산림경영프로그램을 만들수가 있었다 2. 각각의 분석주제도를 중첩을 통해 대상지를 보전, 준보전, 준개발, 개발 등 4권역으로 나누어 산림경영계획도를 도출함으로써 균형있고 합리적인 산림이용계획을 수립할 수가 있으며, 이를 통해 산림의 이용과 보전의 적절한 조화를 통해 효율적인 산림경영을 이루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3. 수치화 자료를 활용하여 미리 대상지의 산림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이 가능하여 현장조사 전에 대상지의 여러 정보를 통해 산림계획방향의 변수들을 통제함으로써 사업의 대상지 선정 및 사업내용의 변경 등 기존의 현장위주에서 발생하였던 시간적 단축 및 과학적인 행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료의 객관적인 데이터화로 민원인들에게 서비스를 증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 분석결과 및 각종주제도에 수치지번도를 중첩함으로써 경계를 명확히 알 수 있어 각종 산림의 활용시 경계 침범의 우려가 없어 효율성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 공유림지역은 좀더 공익적 기능을 강조 할 수 있도록 산림의 이용을 계획하고, 사유림에 대해서는 산주에게 산림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여 산림의 경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ith the rapid changes in Korean society and economy, industralization, air pollution, and imprudent mountain development, living condition has become poor, resulting in rising in people's concern about forest. Such people's great concern brings about promoting the public function of forest resource...
With the rapid changes in Korean society and economy, industralization, air pollution, and imprudent mountain development, living condition has become poor, resulting in rising in people's concern about forest. Such people's great concern brings about promoting the public function of forest resource including forest recreation or maintenance of the territorial integrity. Consequently, it needs to research the methods for using forest resource efficiently.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odel of forest management using GIS, numerical materials, and basic statistical materials by matching a double-faced element such as the use and integrity of fores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nalysis factors related to forest administration were classified into forest management, nature view, and legal controls, and a forest management plan by factor was made by overlaid them. In this way, an efficient management program through office work process could be made. 2. A balanced and rational forest use plan could be established by dividing target areas into four circles such as integrity, quasi-integrity, quasi-development, and development through overlaid with draw a forest management plan in each analysis thematic map. It will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efficient forest management through apt harmony between use and integrity of forest. 3. Numerical materials could be used to analyze target forests from different angles and could control the variables of forest plan direction through some information of target forests prior to field survey. It will help time shortening and scientific administration which occur only in the field such as the selection of project target and the change in business. Also, the objectified data of materials can promote client service. 4. Overlaid numerical lot number maps in analysis results and every thematic map contributed to indicate apparent boundaries. It may eliminate concern at boundary invasion in the use of all sorts of forest to maximize efficiency. 5. While the use of forest should be planned to lay stress on the function of the public good in public area, information about forest should be provided previously to forest owners in private forest to help forest management.
With the rapid changes in Korean society and economy, industralization, air pollution, and imprudent mountain development, living condition has become poor, resulting in rising in people's concern about forest. Such people's great concern brings about promoting the public function of forest resource including forest recreation or maintenance of the territorial integrity. Consequently, it needs to research the methods for using forest resource efficiently.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odel of forest management using GIS, numerical materials, and basic statistical materials by matching a double-faced element such as the use and integrity of fores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nalysis factors related to forest administration were classified into forest management, nature view, and legal controls, and a forest management plan by factor was made by overlaid them. In this way, an efficient management program through office work process could be made. 2. A balanced and rational forest use plan could be established by dividing target areas into four circles such as integrity, quasi-integrity, quasi-development, and development through overlaid with draw a forest management plan in each analysis thematic map. It will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efficient forest management through apt harmony between use and integrity of forest. 3. Numerical materials could be used to analyze target forests from different angles and could control the variables of forest plan direction through some information of target forests prior to field survey. It will help time shortening and scientific administration which occur only in the field such as the selection of project target and the change in business. Also, the objectified data of materials can promote client service. 4. Overlaid numerical lot number maps in analysis results and every thematic map contributed to indicate apparent boundaries. It may eliminate concern at boundary invasion in the use of all sorts of forest to maximize efficiency. 5. While the use of forest should be planned to lay stress on the function of the public good in public area, information about forest should be provided previously to forest owners in private forest to help forest manageme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