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람길숲의 유형별 분석 방안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Analysis Schemes of Wind Ventilation Forest Types - A Case Study of Daegu Metropolitan City -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2 no.4, 2019년, pp.12 - 23  

엄정희 (경북대학교 산림과학.조경학부 조경학전공) ,  오정학 (국립산림과학원 도시숲연구센터) ,  손정민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김권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백준범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채연 (한국외국어대학교 대기환경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바람길숲의 유형별 분석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도시 바람길숲을 바람 생성숲, 디딤·확산숲, 연결숲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특성에 따른 등급화 기준을 바탕으로 3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바람 생성숲은 임상도의 밀도를 기준으로, 디딤·확산숲은 식생활력도를 기준으로, 연결숲은 바람통로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각각 세 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대구광역시(883.56㎢)를 사례로 바람길숲을 분석한 결과, 바람 생성숲의 면적은 443.1㎢로 분류되었으며, 대구광역시의 북구 및 남쪽 일대에 분포하고 있었다. 그 중, 1등급 바람 생성숲이 가장 많은 면적(345.59㎢)을 차지하였고, 달성군에서 가장 높은 비율(54.44%)을 나타냈다. 반면 중구는 외곽의 산림지역과 단절되어 있기 때문에 생성숲이 존재하지 않았다. 디딤·확산숲의 면적은 32.4㎢로 대구광역시의 대표적인 도시공원 들이 포함되었으며, 수성구 및 달성군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디딤·확산숲이 분포하였다. 하지만 디딤·확산숲은 대구시 전역에 분산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식생지수가 높지 않았다. 연결숲 조성이 가능한 바람통로 네트워크는 대구광역시의 주요 하천, 도로 주변이 포함되었는데, 이러한 네트워크가 외곽 산림에서 도시공원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대구광역시는 도시 외곽의 바람 생성숲과 도시 내부의 디딤·확산숲을 연결하는 연결숲 조성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체계적인 바람길숲 조성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국가 및 지자체 단위에서 바람길숲 분석에 대한 가이드라인 작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alysis schemes of urban forests acting as wind ventilation corridor(wind ventilation forest). For this purpose, wind corridor fores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wind-generating forests(WGF), wind-spreading forests (WSF), and wind-connecting forests(WCF), and they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많은 도시들이 실제 바람길숲 조성 사업을 추진하거나 계획하고 있는 시점에서, 바람길숲 조성을 위한 분류 및 분석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람길숲 조성을 위한 도시숲 분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바람길숲 조성 시범도시 중 하나인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바람길 개념에 기초한 바람길 숲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특징에 따른 등급화 기준을 적용하여 바람길숲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Daegu Metropolitan City. 2018a. Administration white paper in 2018 

  2. Daegu Metropolitan City. 2018b. Daegu Mteropolitan City Master Plan in 2030 

  3. Eum, J.H. 2000. A study on using the wind flow for the urban open space planning: a case study of YongIn city.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91. 

  4. Eum, J.H. 2019a. Planning and Policy 2019(6):13-19 

  5. Eum, J.H. 2019b. Strategies for utilizing Urban Ventilation Corridor considering Local Cold Air in Watershed Areas: A Case Study of Uijeongbu and Gwache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2(2): 133-151 

  6. Eum, J.H. 2019c. Analysis and Utilization Strategies of Ventilation Corridor Characteristics in Jeon-ju Area. Korea J. Environ Ecol 33(3):366-374 

  7. Eum, J.H. and J.M. Son. 2016. Management of the Nakdong-Jeongmaek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d Air: Focused on Busan, Ulsan, Poha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5):103-115 

  8. Eum, J.H., J.M. Son, K.H. Seo, and K.H. Park. 2018. Management Strategies of Ventilation Paths for Improving Thermal Environment: A Case Study of Gimhae,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1(1):115-127 

  9. Jang, G.S., J.H. Eum, J.M. Jeong, J.B. Baek, U.J. Sung, J.E. Kim, and S.H. Kim. 2019. Application of Wind Ventiation Corridor Model in Urban Forest Planning and Management. National Institiute of Forest Science 

  10. Jung, E.H., D.W. Kim, J.W. Ryu, J.G. Cha, and K.S. Son. 2008. Evalua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 of wind corridor formation in Deagu area using Satellite Data.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2):73-84 

  11. Kim, S.B. and E.H. Jung. 2005. Basic study on introduction of the wind road for eco-friendly city construction. Daegu Gyeongbuk Development Institute. p.145 

  12.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8. Investigation of Actual Condition for Forest Land 

  1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991.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in 1961-1990 

  1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in 1981-2010 

  15. Seo, B.Y. and E.H. Jung. 2017. Comparative analysis of wind flows in wind corridor based on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o improve urban thermal environmen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0(2):75-88 

  16. Son, J.M. and J.H. Eum. 2019. Analysis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Cold Air Characteristics in Hannamgeumbuk-Jeongmaek and Geumbuk-Jeongmae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2(2):152-1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