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와 사회적 지지, 고독감 및 사회관계망의 관계 (The)relationship among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loneliness and social network of the elderly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와 사회적 지지, 고독감 및 사회관계망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첫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경험에 따른 사회적 지지, 고독감 및 사회관계망의 차이, 둘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정도와 사회적 지지, 고독감 및 사회관계망의 관계, 셋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정도와 사회적 지지 및 고독감 그리고 사회관계망간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와 사회적 지지, 고독감 및 사회관계망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첫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경험에 따른 사회적 지지, 고독감 및 사회관계망의 차이, 둘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정도와 사회적 지지, 고독감 및 사회관계망의 관계, 셋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정도와 사회적 지지 및 고독감 그리고 사회관계망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2005년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한 후 집락무선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양로원, 경로당, 노인대학, 스포츠 센터 등에서 여가스포츠 참가자 453명, 비참가자 409명 총 862명을 표집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설문지이다. 설문지의 타당도는 전문가회의, 예비검사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사회적 지지 Cronbach's =.786~.915, 고독감 =.753~.823, 사회관계망 =.629~.976 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통계처리방법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기법은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공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 등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경험은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스포츠 참가노인이 비참가 노인에 비해 정서적, 물질적 지지는 높다. 둘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경험은 고독감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스포츠 참가노인이 비참가 노인에 비해 소외감과 사회관계․역할 상실은 낮다. 셋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경험은 사회관계망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스포츠 참가노인이 비참가 노인에 비해 접촉범위는 높다. 여가스포츠 참가노인이 비참가 노인에 비해 가족․친척, 친구․이웃, 기타 접촉빈도와 친척, 기타 친밀도는 높다. 넷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정도는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스포츠 참가 빈도가 많을수록 정서적, 물질적 지지는 높다. 다섯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정도는 고독감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스포츠 참가 빈도가 많을수록 고독감은 낮다. 여섯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정도는 사회관계망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스포츠 참가강도가 길어질수록 접촉범위는 확대된다. 참가기간이 길어질수록 이웃․친구 접촉빈도는 높다. 참가 빈도가 많을수록 이웃, 친척 친밀도는 높다. 일곱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정도는 사회적 지지, 고독감 그리고 사회관계망에 인과적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스포츠 참가정도의 하위개념인 참가 빈도는 사회적 지지와 고독감을 통하여 사회관계망에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 특히 참가강도는 사회관계망의 하위요인인 접촉범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는 사회적 지지, 고독감 그리고 사회관계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은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여가스포츠참가는 노인체육시설 설치 및 확충, 전문지도자 양성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장려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는 노인복지정책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로 여겨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와 사회적 지지, 고독감 및 사회관계망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첫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경험에 따른 사회적 지지, 고독감 및 사회관계망의 차이, 둘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정도와 사회적 지지, 고독감 및 사회관계망의 관계, 셋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정도와 사회적 지지 및 고독감 그리고 사회관계망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2005년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한 후 집락무선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양로원, 경로당, 노인대학, 스포츠 센터 등에서 여가스포츠 참가자 453명, 비참가자 409명 총 862명을 표집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설문지이다. 설문지의 타당도는 전문가회의, 예비검사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사회적 지지 Cronbach's =.786~.915, 고독감 =.753~.823, 사회관계망 =.629~.976 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통계처리방법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기법은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공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 등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경험은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스포츠 참가노인이 비참가 노인에 비해 정서적, 물질적 지지는 높다. 둘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경험은 고독감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스포츠 참가노인이 비참가 노인에 비해 소외감과 사회관계․역할 상실은 낮다. 셋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경험은 사회관계망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스포츠 참가노인이 비참가 노인에 비해 접촉범위는 높다. 여가스포츠 참가노인이 비참가 노인에 비해 가족․친척, 친구․이웃, 기타 접촉빈도와 친척, 기타 친밀도는 높다. 넷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정도는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스포츠 참가 빈도가 많을수록 정서적, 물질적 지지는 높다. 다섯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정도는 고독감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스포츠 참가 빈도가 많을수록 고독감은 낮다. 여섯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정도는 사회관계망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스포츠 참가강도가 길어질수록 접촉범위는 확대된다. 참가기간이 길어질수록 이웃․친구 접촉빈도는 높다. 참가 빈도가 많을수록 이웃, 친척 친밀도는 높다. 일곱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정도는 사회적 지지, 고독감 그리고 사회관계망에 인과적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스포츠 참가정도의 하위개념인 참가 빈도는 사회적 지지와 고독감을 통하여 사회관계망에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 특히 참가강도는 사회관계망의 하위요인인 접촉범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는 사회적 지지, 고독감 그리고 사회관계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은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여가스포츠참가는 노인체육시설 설치 및 확충, 전문지도자 양성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장려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는 노인복지정책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로 여겨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loneliness and social network of the elderly. In pursuit of this purpose, three specific questions were investigated.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among social support, loneliness, and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loneliness and social network of the elderly. In pursuit of this purpose, three specific questions were investigated.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among social support, loneliness, and social network of the elderly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 in leisure sports? Second, is there any relationship among the degree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as well as social network? Third, is there any causal relationship among those variable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a group of people over the age of sixty who have been residing in Gyeonggi Province in 2005. Using the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453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s and 409 non-participants (862 persons in total) were sampled for this research in asylums for the elderly, sports centers, and geriatric education centers. The adequacy of the questionnaires was investigated by expert conference, preliminary test, and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ies of the questionnaires are .789~.915 of social support, .753~.823 of loneliness, and .629~.976 of social network. Statistic methods for analyzing data in this research were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With applications of various methods which were mentioned above, this study is concluded as below. First,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he elderly affects social support. Namely, participant group has higher emotional and material support than non-participant group. Second,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he elderly also affects loneliness. Namely, participant group has less sense of alienation and low chance to have loss of social relations and their own role in society than non-participant group. Third,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he elderly affects social network. That is, participant group have wider range of network. They also have much more frequent contacts with family and relatives, friends and neighbors, including close friendship with relatives and others. Fourth, the degree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ffect social support. The more participation frequency they have, the more emotional and material support are there. Fifth, the degree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ffect loneliness. In other words, the more participation frequency they have, the less loneliness there is. Sixth, the degree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ffect social network. That is, the intensity, period, and frequency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affect social network of the elderly. If the intensity of leisur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strengthens, their range of contact with people also extends. The longer the participation period subjects participate, the more frequent contacts with friends and neighbors there are. And participation frequency affects close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and relatives. Finally, the degree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shows causal effects on social support, loneliness, and social network. In other words, participation frequency which is a subordinate concept of participation degree has indirect influence on social network through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Especially, participation intensity has direct influence upon the range of contact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social network. With all the results above, it is concluded that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ffects social support, loneliness, and social network. Consequently, as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for the elderly should be encouraged through the expansion of sports facilities and training professional leaders for elderly sports. This study implies the sport participation for the elderly should be regarded as one of important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loneliness and social network of the elderly. In pursuit of this purpose, three specific questions were investigated.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among social support, loneliness, and social network of the elderly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 in leisure sports? Second, is there any relationship among the degree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as well as social network? Third, is there any causal relationship among those variable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a group of people over the age of sixty who have been residing in Gyeonggi Province in 2005. Using the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453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s and 409 non-participants (862 persons in total) were sampled for this research in asylums for the elderly, sports centers, and geriatric education centers. The adequacy of the questionnaires was investigated by expert conference, preliminary test, and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ies of the questionnaires are .789~.915 of social support, .753~.823 of loneliness, and .629~.976 of social network. Statistic methods for analyzing data in this research were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With applications of various methods which were mentioned above, this study is concluded as below. First,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he elderly affects social support. Namely, participant group has higher emotional and material support than non-participant group. Second,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he elderly also affects loneliness. Namely, participant group has less sense of alienation and low chance to have loss of social relations and their own role in society than non-participant group. Third,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he elderly affects social network. That is, participant group have wider range of network. They also have much more frequent contacts with family and relatives, friends and neighbors, including close friendship with relatives and others. Fourth, the degree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ffect social support. The more participation frequency they have, the more emotional and material support are there. Fifth, the degree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ffect loneliness. In other words, the more participation frequency they have, the less loneliness there is. Sixth, the degree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ffect social network. That is, the intensity, period, and frequency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affect social network of the elderly. If the intensity of leisur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strengthens, their range of contact with people also extends. The longer the participation period subjects participate, the more frequent contacts with friends and neighbors there are. And participation frequency affects close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and relatives. Finally, the degree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shows causal effects on social support, loneliness, and social network. In other words, participation frequency which is a subordinate concept of participation degree has indirect influence on social network through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Especially, participation intensity has direct influence upon the range of contact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social network. With all the results above, it is concluded that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ffects social support, loneliness, and social network. Consequently, as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for the elderly should be encouraged through the expansion of sports facilities and training professional leaders for elderly sports. This study implies the sport participation for the elderly should be regarded as one of important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