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여성노인을 위한 통합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노인여가복지시설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omen focused on the Welfare Leisure Agency of the Elderly원문보기
노인들의 평균수명 연장과 사회구조의 변화로 노인의료비 등 노인부양의 사회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 욕구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 속에 노인들의 건강문제가 고령화 사회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여성노인들은 평균 수명이 길고, 생의 주기적 특성과 성차별적 요인으로 건강상태가 더 취약한 처지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지 못한 실정이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여성노인의 건강증진 향상을 목적으로 ...
노인들의 평균수명 연장과 사회구조의 변화로 노인의료비 등 노인부양의 사회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 욕구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 속에 노인들의 건강문제가 고령화 사회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여성노인들은 평균 수명이 길고, 생의 주기적 특성과 성차별적 요인으로 건강상태가 더 취약한 처지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지 못한 실정이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여성노인의 건강증진 향상을 목적으로 지역사회 내 접근성이 높은 노인여가복지시설에서 시행할 수 있는 통합적 노인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통합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여성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 고취와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의 향상을 목적으로 4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내용은 만성질환관리 및 영양교육, 운동과 관련한 6회의 강의이며, 둘째, 4회의 집단상담 및 토론, 셋째, 6회에 걸친 노인체조 프로그램 그리고 끝으로, 뷰티케어와 실버 레크레이션으로 구성된 정서적지지 프로그램이다. 회기당 1시간 40분씩 주 1회 총 8회기의 단기 프로그램으로 2인의 사회복지사와 체육전공자에 의해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프로그램 참여 후 여성노인들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건강상태의 변화를 연구과제로 4개의 가설을 제시하였다. 첫째, 통합적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건강증진생활양식(HPLP)의 사전사후 paired t-test 결과, 실험집단은 대조집단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실험집단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제2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현재 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에 대한 5점 척도 질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나, 동년배와 비교한 본인의 건강상태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제 2가설은 부분적으로만 지지 되었다. 셋째, 실험집단은 대조집단과 비교하여 생리지수와 기초체력 측정으로 살펴본 객관적 건강상태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제 3가설은 지지되지 못하였다. 끝으로 대조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우울감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제 4가설은 지지 되었다. 또한 양적 효과성 검증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진행된 프로그램의 과정 평가 결과, 건강책임, 신체활동, 영양, 대인관계, 스트레스 관리 등 건강증진생활양식은 5개 하위영역에서 고른 효과성을 보였으며, 주관적 신체 건강상태와 정신적 건강상태에 효과가 있었다는 인터뷰 결과를 보였다. 총 8회기 동안 참여자 36명의 평균 출석률은 84.25%이었고, 탈락률은 8%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지역사회 일반 여성노인들의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노인들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인 측면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발한 통합적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한 몇 가지 제안점을 살펴보면, 첫째, 고령화 사회의 환경적 변화 속에 노인복지 분야에서의 노인 건강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연구의 개발을 촉구한다. 노인건강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 요구가 늘고 있는 실정에서 노인과 지역사회 환경과의 통합적 전문가로서의 사회복지사의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노인여가복지시설 특히 교회나 성당 중심의 종교기관 노인교실을 이용한 노인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특히 여러 요소에서 사회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는 여성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종교기관 노인교실에서 시행될 경우 높은 친밀도와 지속적인 집단유지, 물리적 자원과 자원봉사 수급의 용이성 등은 노인 건강증진 교육의 장으로서의 이점이 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사가 노인 건강증진을 담당하는 전문가로서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기존의 환경 체계 안에서 노인을 이해하고 연계하는 전문가로서의 역할은 물론이고 노인건강 전문가로서의 일정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익혀야 할 것이며, 이에 따른 제도적 장치들이 뒷받침될 수 있어야 한다. 끝으로 차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입증된 효과성이 어떤 요인과 경로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 할 것이며, 또한 다양하게 분화되는 노인들의 특성에 맞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노인들의 평균수명 연장과 사회구조의 변화로 노인의료비 등 노인부양의 사회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 욕구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 속에 노인들의 건강문제가 고령화 사회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여성노인들은 평균 수명이 길고, 생의 주기적 특성과 성차별적 요인으로 건강상태가 더 취약한 처지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지 못한 실정이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여성노인의 건강증진 향상을 목적으로 지역사회 내 접근성이 높은 노인여가복지시설에서 시행할 수 있는 통합적 노인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통합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여성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 고취와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의 향상을 목적으로 4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내용은 만성질환관리 및 영양교육, 운동과 관련한 6회의 강의이며, 둘째, 4회의 집단상담 및 토론, 셋째, 6회에 걸친 노인체조 프로그램 그리고 끝으로, 뷰티케어와 실버 레크레이션으로 구성된 정서적지지 프로그램이다. 회기당 1시간 40분씩 주 1회 총 8회기의 단기 프로그램으로 2인의 사회복지사와 체육전공자에 의해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프로그램 참여 후 여성노인들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건강상태의 변화를 연구과제로 4개의 가설을 제시하였다. 첫째, 통합적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건강증진생활양식(HPLP)의 사전사후 paired t-test 결과, 실험집단은 대조집단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실험집단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제2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현재 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에 대한 5점 척도 질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나, 동년배와 비교한 본인의 건강상태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제 2가설은 부분적으로만 지지 되었다. 셋째, 실험집단은 대조집단과 비교하여 생리지수와 기초체력 측정으로 살펴본 객관적 건강상태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제 3가설은 지지되지 못하였다. 끝으로 대조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우울감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제 4가설은 지지 되었다. 또한 양적 효과성 검증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진행된 프로그램의 과정 평가 결과, 건강책임, 신체활동, 영양, 대인관계, 스트레스 관리 등 건강증진생활양식은 5개 하위영역에서 고른 효과성을 보였으며, 주관적 신체 건강상태와 정신적 건강상태에 효과가 있었다는 인터뷰 결과를 보였다. 총 8회기 동안 참여자 36명의 평균 출석률은 84.25%이었고, 탈락률은 8%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지역사회 일반 여성노인들의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노인들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인 측면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발한 통합적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한 몇 가지 제안점을 살펴보면, 첫째, 고령화 사회의 환경적 변화 속에 노인복지 분야에서의 노인 건강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연구의 개발을 촉구한다. 노인건강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 요구가 늘고 있는 실정에서 노인과 지역사회 환경과의 통합적 전문가로서의 사회복지사의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노인여가복지시설 특히 교회나 성당 중심의 종교기관 노인교실을 이용한 노인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특히 여러 요소에서 사회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는 여성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종교기관 노인교실에서 시행될 경우 높은 친밀도와 지속적인 집단유지, 물리적 자원과 자원봉사 수급의 용이성 등은 노인 건강증진 교육의 장으로서의 이점이 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사가 노인 건강증진을 담당하는 전문가로서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기존의 환경 체계 안에서 노인을 이해하고 연계하는 전문가로서의 역할은 물론이고 노인건강 전문가로서의 일정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익혀야 할 것이며, 이에 따른 제도적 장치들이 뒷받침될 수 있어야 한다. 끝으로 차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입증된 효과성이 어떤 요인과 경로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 할 것이며, 또한 다양하게 분화되는 노인들의 특성에 맞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omen in the welfare leisure agency of the elderly. The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has to be made of a series of health education which is planned to hav...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omen in the welfare leisure agency of the elderly. The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has to be made of a series of health education which is planned to have lectures and practices. It consists of how-to lessons of self-management, drug-management, and physical activities for the elderly with a chronic illness like diabetes, hypertension, and nutrition deficiency. The program has a total of four group counseling and discussion sessions about symptoms of senility aging. It also has six low-intensity exercises for the elderly and an emotional supporting program such as beauty care and recreational activity.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is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the measurement of th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has been used. In addition to this measurement, the physical health status which includes subjective and objective health status, and mental health status has been used. The data of the measurement has been obtained by using the scal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Ⅱ by Walker, S.N. et. al. (1995), Perceive Health Status, Physical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GDS-short form by Sheikh, J.N. & Yesavage, J.A. (1986). This study is conducted by using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ith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It is planned to be made of a group of 59 elderly women who are the current members in the welfare leisure agency for the elderly.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are to be used for data analysis by the SPSS, and the effectiveness of size and power on t-test has to be analyzed by the G*Pow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should be proved that i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o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e subjective health, and depression. The degree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happens to show an increase comparing to the control group, while the degree of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a decrease. In conclusion, it can be prov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can be reliabily used for the elderly wom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concerns and studies about the health promotion for the elderly in the fields of social welfare practi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health promotion programs especially in the senior centers and Christian churches in the local community with the high quality of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Third,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should be designed to fit their needs with which they can understand and consider the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s. Finally, it should be taken followed-up researches to develop the specific manuals which can be suitable to the elderly who has different need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omen in the welfare leisure agency of the elderly. The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has to be made of a series of health education which is planned to have lectures and practices. It consists of how-to lessons of self-management, drug-management, and physical activities for the elderly with a chronic illness like diabetes, hypertension, and nutrition deficiency. The program has a total of four group counseling and discussion sessions about symptoms of senility aging. It also has six low-intensity exercises for the elderly and an emotional supporting program such as beauty care and recreational activity.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is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the measurement of th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has been used. In addition to this measurement, the physical health status which includes subjective and objective health status, and mental health status has been used. The data of the measurement has been obtained by using the scal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Ⅱ by Walker, S.N. et. al. (1995), Perceive Health Status, Physical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GDS-short form by Sheikh, J.N. & Yesavage, J.A. (1986). This study is conducted by using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ith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It is planned to be made of a group of 59 elderly women who are the current members in the welfare leisure agency for the elderly.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are to be used for data analysis by the SPSS, and the effectiveness of size and power on t-test has to be analyzed by the G*Pow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should be proved that i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o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e subjective health, and depression. The degree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happens to show an increase comparing to the control group, while the degree of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a decrease. In conclusion, it can be prov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can be reliabily used for the elderly wom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concerns and studies about the health promotion for the elderly in the fields of social welfare practi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health promotion programs especially in the senior centers and Christian churches in the local community with the high quality of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Third,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should be designed to fit their needs with which they can understand and consider the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s. Finally, it should be taken followed-up researches to develop the specific manuals which can be suitable to the elderly who has different need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