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배경 및 목적: Berberine은 황백(Phellodendri cortex) 및 황련(Coptis rhizoma)의 주성분인 isoquinoline 계 알칼로이드 물질로 혈압강하작용, 관상동맥혈류증가 작용, 지사작용, 건위, 정장, 소염, 지혈작용, 항암작용 등의 약리 활성과 Candida albicans 등의 여러 가지 곰팡이, 박테리아, 원충, 바이러스, 기생충에 대항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berberine의 항암작용을 보기위하여 암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 독성 효과를 관찰하고 berberine이 ...
연구 배경 및 목적: Berberine은 황백(Phellodendri cortex) 및 황련(Coptis rhizoma)의 주성분인 isoquinoline 계 알칼로이드 물질로 혈압강하작용, 관상동맥혈류증가 작용, 지사작용, 건위, 정장, 소염, 지혈작용, 항암작용 등의 약리 활성과 Candida albicans 등의 여러 가지 곰팡이, 박테리아, 원충, 바이러스, 기생충에 대항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berberine의 항암작용을 보기위하여 암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 독성 효과를 관찰하고 berberine이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하여 림프구 증식과 GM-CSF생성 그리고 NO생성 효과를 보고자 한다. 또한 berberine의 항암성을 동물에서 증명하기 위하여 S180 암마우스에 시료를 투여한 후 생명 연장을 보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암세포 독성에 대한 세포 독성 효과를 보기 위하여 K562세포와 Yac-1세포에 berberine을 작용시키거나 혹은 기존 항암제인 mitomycin C, 5-fluorouracil과 복합으로 작용시켜 암세포의 성장을 Cell Counting Kit-8로 정량하였다. 마우스 비장세포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하여 berberine과 Concanavalin A(Con A) 존재 하에서 비장세포를 배양하여 Cell Counting Kit-8로 정량하였다. 비장세포에 berberine를 작용시키거나 lipopolysaccharide (LPS) 혹은 Con A와 함께 작용시켜 배양한 후 수거한 상층액에서 GM-CSF, NO를 측정하였으며 berberine이 투여된 S180 암마우스 혈청 내 NO를 측정하였다. GM-CSF 측정은 Mouse GM-CSF ELISA kit (eBioscience, USA)을 이용하였다. NO 측정은 Griess reagent system (Promega, Madison, USA)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생명연장 효과는 Sarcoma 180 세포를 PBS에 부유시킨 세포 부유액을 마우스 복강 내에 주사하고 24시간 경과시킨 후 berberine을 복강 내로 타 항암제와 복합 투여하였다. 마우스의 생사는 매일 관찰하였으며 100일 동안 관찰하였다. 결과: K562세포와 Yac-1기세포에 berberine을 노출시킨 후 나타나는 세포 독성효과는 비 노출군인 대조군에 비하여 in vitro에서의 시료노출에 의한 세포 독성효과를 나타냈다. 정상 마우스 비장세포에 berberine만을 노출시켰을 때 림프구의 증식은 PBS 노출군인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농도에서 유의한 상승을 보였으며, Con A의 세포증식 효과를 저해하였다. 정상마우스 비장세포에 berberine만을 노출시켜 배양 하였을 때 세포로부터 생성되어 나타나는 GM-CSF의 생성은 대조군보다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정상마우스 비장 세포에 berberine만을 노출시켜 배양하였을 때 세포로부터 생성되어 나타나는 NO의 생성은 시간이 경과되면서 대조군보다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정상마우스에 S180 암마우스이나 berberine을 투여하였을 시 대조군에 비하여 NO 증가를 보였으며 S180 암마우스에 berberine을 투여하였을 시 NO의 생성은 S180 혹은 berberine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증가를 나타냈다. S180 암세포가 이입된 마우스(S180 마우스)의 복강 내로 berberine 만을 투여한 후의 마우스 평균생존일수는berberine을 노출시키지 않은 S180 암마우스 대조군에 비하여 단축되었지만 mitomycin C 125 ㎍과 berberine 62.5 ㎍을 혼합하여 투여한 군에서 가장 높은 생존일수와 100일 이상 살아남는 생존수를 보였다. 결론: 암 세포인 K562세포나 Yac-1세포에 berberine을 단독으로 작용시켰을 때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기존 항암제(mitomycin C, 5-fluorouracil)와 복합으로 작용시켰을 때 암세포성장 억제에 상승효과를 보였다. 마우스 비장세포에 berberine을 작용시켰을 때 저농도에서 세포 성장을 촉진하였지만 고농도에서는 성장을 억제하였다. GM-CSF의 생성은 berberine 저 농도에서 증가되었지만 고농도에서는 저해되었다. NO의 생성은 berberine에 의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LPS와 복합 작용되었을 때는 증가되었지만 Con A와의 복합 작용시에는 감소하였다. S180 암 마우스에 berberine의 투여에 의해서 NO생성의 증가를 보였다. 암 마우스에서 berberine을 기존 항암제와 복합으로 투여한 결과 유의성은 없었지만 약간의 생명 연장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앞으로의 추가적인 연구 결과들이 있게 되면 임상에서의 암 치료와 항염증 작용에 berberine의 이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겠다.
연구 배경 및 목적: Berberine은 황백(Phellodendri cortex) 및 황련(Coptis rhizoma)의 주성분인 isoquinoline 계 알칼로이드 물질로 혈압강하작용, 관상동맥혈류증가 작용, 지사작용, 건위, 정장, 소염, 지혈작용, 항암작용 등의 약리 활성과 Candida albicans 등의 여러 가지 곰팡이, 박테리아, 원충, 바이러스, 기생충에 대항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berberine의 항암작용을 보기위하여 암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 독성 효과를 관찰하고 berberine이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하여 림프구 증식과 GM-CSF생성 그리고 NO생성 효과를 보고자 한다. 또한 berberine의 항암성을 동물에서 증명하기 위하여 S180 암마우스에 시료를 투여한 후 생명 연장을 보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암세포 독성에 대한 세포 독성 효과를 보기 위하여 K562세포와 Yac-1세포에 berberine을 작용시키거나 혹은 기존 항암제인 mitomycin C, 5-fluorouracil과 복합으로 작용시켜 암세포의 성장을 Cell Counting Kit-8로 정량하였다. 마우스 비장세포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하여 berberine과 Concanavalin A(Con A) 존재 하에서 비장세포를 배양하여 Cell Counting Kit-8로 정량하였다. 비장세포에 berberine를 작용시키거나 lipopolysaccharide (LPS) 혹은 Con A와 함께 작용시켜 배양한 후 수거한 상층액에서 GM-CSF, NO를 측정하였으며 berberine이 투여된 S180 암마우스 혈청 내 NO를 측정하였다. GM-CSF 측정은 Mouse GM-CSF ELISA kit (eBioscience, USA)을 이용하였다. NO 측정은 Griess reagent system (Promega, Madison, USA)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생명연장 효과는 Sarcoma 180 세포를 PBS에 부유시킨 세포 부유액을 마우스 복강 내에 주사하고 24시간 경과시킨 후 berberine을 복강 내로 타 항암제와 복합 투여하였다. 마우스의 생사는 매일 관찰하였으며 100일 동안 관찰하였다. 결과: K562세포와 Yac-1기세포에 berberine을 노출시킨 후 나타나는 세포 독성효과는 비 노출군인 대조군에 비하여 in vitro에서의 시료노출에 의한 세포 독성효과를 나타냈다. 정상 마우스 비장세포에 berberine만을 노출시켰을 때 림프구의 증식은 PBS 노출군인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농도에서 유의한 상승을 보였으며, Con A의 세포증식 효과를 저해하였다. 정상마우스 비장세포에 berberine만을 노출시켜 배양 하였을 때 세포로부터 생성되어 나타나는 GM-CSF의 생성은 대조군보다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정상마우스 비장 세포에 berberine만을 노출시켜 배양하였을 때 세포로부터 생성되어 나타나는 NO의 생성은 시간이 경과되면서 대조군보다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정상마우스에 S180 암마우스이나 berberine을 투여하였을 시 대조군에 비하여 NO 증가를 보였으며 S180 암마우스에 berberine을 투여하였을 시 NO의 생성은 S180 혹은 berberine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증가를 나타냈다. S180 암세포가 이입된 마우스(S180 마우스)의 복강 내로 berberine 만을 투여한 후의 마우스 평균생존일수는berberine을 노출시키지 않은 S180 암마우스 대조군에 비하여 단축되었지만 mitomycin C 125 ㎍과 berberine 62.5 ㎍을 혼합하여 투여한 군에서 가장 높은 생존일수와 100일 이상 살아남는 생존수를 보였다. 결론: 암 세포인 K562세포나 Yac-1세포에 berberine을 단독으로 작용시켰을 때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기존 항암제(mitomycin C, 5-fluorouracil)와 복합으로 작용시켰을 때 암세포성장 억제에 상승효과를 보였다. 마우스 비장세포에 berberine을 작용시켰을 때 저농도에서 세포 성장을 촉진하였지만 고농도에서는 성장을 억제하였다. GM-CSF의 생성은 berberine 저 농도에서 증가되었지만 고농도에서는 저해되었다. NO의 생성은 berberine에 의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LPS와 복합 작용되었을 때는 증가되었지만 Con A와의 복합 작용시에는 감소하였다. S180 암 마우스에 berberine의 투여에 의해서 NO생성의 증가를 보였다. 암 마우스에서 berberine을 기존 항암제와 복합으로 투여한 결과 유의성은 없었지만 약간의 생명 연장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앞으로의 추가적인 연구 결과들이 있게 되면 임상에서의 암 치료와 항염증 작용에 berberine의 이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겠다.
Background: Berberine, an alkaloid initially isolated from Chinese herbal medicine, has antibiotic activities against a variety of organisms including bacteria, viruses, fungi, protozoans, and chlamydia. Furthermore, berberine has shown a number of beneficial effects, including anti-tumor, anti-infl...
Background: Berberine, an alkaloid initially isolated from Chinese herbal medicine, has antibiotic activities against a variety of organisms including bacteria, viruses, fungi, protozoans, and chlamydia. Furthermore, berberine has shown a number of beneficial effects, including anti-tumor, anti-inflammation, and vasodilatory effects. In this work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erberine on cytotoxic activity against cancer cells, lymphocyte proliferation, GM-CSF and nitric oxide(NO) production in mice, and life span of mouse. Materials and Methods: The direct cytotoxicity of berberine or berberine-combined chemotherapeutic agents for tumor cells, K562 and Yac-1 was observed. Mouse splenocytes were incubated with berberine and Con A to observe the effects on cell proliferation. The culture supernatants of splenocytes exposed with berberine, berberine plus LPS, and berberine plus Con A were harvested to assay GM-CSF and NO production. Also, sera of mice injected with Sarcoma 180 and berberine were assayed for NO. In addition, the effect of life span extension was counted on Sarcoma 180 mice injected with berberine-combinated mitomycin C. Results: The effect of growth inhibition for cancer cells, K562 and Yac-1 was shown in the cytotoxicity test of berberine or berberine-combinated chemotherapeutic agents. The cell proliferation of mice splenocytes exposed with berberin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more than control group. But the Con A-induced cell growth was inhibited by berberine. The GM-CSF production from mice splenocyte culture exposed with berberine was increased, but NO decreased. The NO production of mice injected with Sarcoma 180 and berberin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arcom 180 or berberine injected mice group. The effect of life span extension was observed at Sarcoma 180 mice injected with berberine-combinated mitomysin C.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erberine shows tumor cell growth inhibition, increase of lymphocyte growth, increase of GM-CSF, and decrease of NO production in vitro. Also, life span extension in Sarcoma 180 mice exposed with berberine-combinated chemotherapeutic agents was shown. These results show the probability of its usefulness for cancer therap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if more research results were accumulated.
Background: Berberine, an alkaloid initially isolated from Chinese herbal medicine, has antibiotic activities against a variety of organisms including bacteria, viruses, fungi, protozoans, and chlamydia. Furthermore, berberine has shown a number of beneficial effects, including anti-tumor, anti-inflammation, and vasodilatory effects. In this work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erberine on cytotoxic activity against cancer cells, lymphocyte proliferation, GM-CSF and nitric oxide(NO) production in mice, and life span of mouse. Materials and Methods: The direct cytotoxicity of berberine or berberine-combined chemotherapeutic agents for tumor cells, K562 and Yac-1 was observed. Mouse splenocytes were incubated with berberine and Con A to observe the effects on cell proliferation. The culture supernatants of splenocytes exposed with berberine, berberine plus LPS, and berberine plus Con A were harvested to assay GM-CSF and NO production. Also, sera of mice injected with Sarcoma 180 and berberine were assayed for NO. In addition, the effect of life span extension was counted on Sarcoma 180 mice injected with berberine-combinated mitomycin C. Results: The effect of growth inhibition for cancer cells, K562 and Yac-1 was shown in the cytotoxicity test of berberine or berberine-combinated chemotherapeutic agents. The cell proliferation of mice splenocytes exposed with berberin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more than control group. But the Con A-induced cell growth was inhibited by berberine. The GM-CSF production from mice splenocyte culture exposed with berberine was increased, but NO decreased. The NO production of mice injected with Sarcoma 180 and berberin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arcom 180 or berberine injected mice group. The effect of life span extension was observed at Sarcoma 180 mice injected with berberine-combinated mitomysin C.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erberine shows tumor cell growth inhibition, increase of lymphocyte growth, increase of GM-CSF, and decrease of NO production in vitro. Also, life span extension in Sarcoma 180 mice exposed with berberine-combinated chemotherapeutic agents was shown. These results show the probability of its usefulness for cancer therap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if more research results were accumulat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