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도서지역과 도시지역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학업성취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the Sense of Self-Esteem, and the Academic Achievements around Islands and Cities원문보기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와 높은 상관이 있다는 가정아래 도서지역 가정의 일반적 환경,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존중감을 도시지역과 비교하여 차이를 알아보고, 하부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도서지역 학생들의 학업성취의 부진원인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도서지역과 도시지역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는 학생의 성과 부모의 배경 변인(가족형태, 직업,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도서지역과 도시지역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학생의 성과 부모의 배경 변인(가족형태, 직업,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도서지역과 도시지역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는 학생의 성과 부모의 배경 변인(가족형태, 직업,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넷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의 관계는 상관이 있는가? 연구대상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전라남도 신안지역 소재 5개 고등학교의 1, 2학년 전체 학생과 전라남도 목포지역 소재 남, 여 고등학교 각각 1개교씩을 선정하여 1, 2학년 각각 2개 학급을 임의 선정하여 472명을 표집 하였다. 검사도구로 부모의 양육태도는 김기정(1984)이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측정도구는 부모-자녀 관계를 수용-거부, 자율-통제, 성취압력의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와 높은 상관이 있다는 가정아래 도서지역 가정의 일반적 환경,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존중감을 도시지역과 비교하여 차이를 알아보고, 하부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도서지역 학생들의 학업성취의 부진원인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도서지역과 도시지역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는 학생의 성과 부모의 배경 변인(가족형태, 직업,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도서지역과 도시지역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학생의 성과 부모의 배경 변인(가족형태, 직업,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도서지역과 도시지역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는 학생의 성과 부모의 배경 변인(가족형태, 직업,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넷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의 관계는 상관이 있는가? 연구대상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전라남도 신안지역 소재 5개 고등학교의 1, 2학년 전체 학생과 전라남도 목포지역 소재 남, 여 고등학교 각각 1개교씩을 선정하여 1, 2학년 각각 2개 학급을 임의 선정하여 472명을 표집 하였다. 검사도구로 부모의 양육태도는 김기정(1984)이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측정도구는 부모-자녀 관계를 수용-거부, 자율-통제, 성취압력의 3차원으로 측정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총 3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Likert식 4점 평정 척도를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검사는 김희화(1998)가 제작한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는 학업 및 전반적 자아, 친구관련 자아, 가정적 자아, 신체외모 자아, 성격적 자아, 신체능력 자아, 교사관련 자아 등의 7개 하위영역으로 총 4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0.0/win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추리통계(t-test, ANOVA, 상관분석)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지역과 도시지역간의 학력격차는 매우 컸으며, 도서지역 가정의 경제적 배경이 도시지역에 비해 부모의 학력과 부모와 자녀의 희망학력, 직업, 월 소득수준에서 더 열악했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는 지역간, 성별,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도시지역의 고등학생들이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해 더 수용적이고 자율적이라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의 경제적 환경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대한 차이가 있었으며, 도시지역과 도서지역간의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성취도는 지역간의 차이뿐만 아니라 가정의 경제적 환경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를 수용적이고 자율적이고 성취압력적으로 지각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도 높았다. 아울러 학업성취도는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는 성격적 자아영역 유의한 양의 상관이 있었으며 지역간 상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도서·도시 지역간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업성취는 부모의 경제적 배경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차이가 있고 자아존중감과는 유의성이 없었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높은 학업성취와 긍정적 자아존중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녀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자녀의 생각이나 감정을 포용하고 이해하며, 자녀의 성취와 성공에 대한 압력에 앞서 우선 격려하는 양육태도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와 높은 상관이 있다는 가정아래 도서지역 가정의 일반적 환경,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존중감을 도시지역과 비교하여 차이를 알아보고, 하부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도서지역 학생들의 학업성취의 부진원인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도서지역과 도시지역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는 학생의 성과 부모의 배경 변인(가족형태, 직업,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도서지역과 도시지역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학생의 성과 부모의 배경 변인(가족형태, 직업,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도서지역과 도시지역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는 학생의 성과 부모의 배경 변인(가족형태, 직업,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넷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의 관계는 상관이 있는가? 연구대상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전라남도 신안지역 소재 5개 고등학교의 1, 2학년 전체 학생과 전라남도 목포지역 소재 남, 여 고등학교 각각 1개교씩을 선정하여 1, 2학년 각각 2개 학급을 임의 선정하여 472명을 표집 하였다. 검사도구로 부모의 양육태도는 김기정(1984)이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측정도구는 부모-자녀 관계를 수용-거부, 자율-통제, 성취압력의 3차원으로 측정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총 3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Likert식 4점 평정 척도를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검사는 김희화(1998)가 제작한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는 학업 및 전반적 자아, 친구관련 자아, 가정적 자아, 신체외모 자아, 성격적 자아, 신체능력 자아, 교사관련 자아 등의 7개 하위영역으로 총 4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0.0/win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추리통계(t-test, ANOVA, 상관분석)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지역과 도시지역간의 학력격차는 매우 컸으며, 도서지역 가정의 경제적 배경이 도시지역에 비해 부모의 학력과 부모와 자녀의 희망학력, 직업, 월 소득수준에서 더 열악했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는 지역간, 성별,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도시지역의 고등학생들이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해 더 수용적이고 자율적이라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의 경제적 환경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대한 차이가 있었으며, 도시지역과 도서지역간의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성취도는 지역간의 차이뿐만 아니라 가정의 경제적 환경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를 수용적이고 자율적이고 성취압력적으로 지각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도 높았다. 아울러 학업성취도는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는 성격적 자아영역 유의한 양의 상관이 있었으며 지역간 상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도서·도시 지역간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업성취는 부모의 경제적 배경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차이가 있고 자아존중감과는 유의성이 없었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높은 학업성취와 긍정적 자아존중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녀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자녀의 생각이나 감정을 포용하고 이해하며, 자녀의 성취와 성공에 대한 압력에 앞서 우선 격려하는 양육태도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make the assumption that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and the sense of self-esteem have much to do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s. Under this assumption, I want to find out all the different factors between the urban areas and the rural areas. I also want to kno...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make the assumption that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and the sense of self-esteem have much to do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s. Under this assumption, I want to find out all the different factors between the urban areas and the rural areas. I also want to know the weak points of the rural area students in achieving their academic results by searching out the correlation of the subfactors. Accordingly,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students living in island and city areas according to their sex and parents' background factors(family status, jobs and income level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sense of self-esteem in accordance with the students' sex and parents' background factors?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academic achievements according to the students' sex and their parents' background factors? (4)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ents' child-raising attitudes, the sense of self-esteem, and the academic achievem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2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in seven high schools located in Sin-an Gun and Mok-po City. The measuring tools used in this study about the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were the ones made by Kim Gi-jeong(1984). Those were made on the purpose of measuring th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s as the third dimensions of accepting/rejecting, self-regulation/regulation, and achievement-pressing behavior.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3 questions and used the method of Likert test measurements. In the test of self-esteem, Kim Hee-hwa's measuring instrument was used. This one consists of seven subfactors such as school working, general-self, friend relation-self, home-self, appearance-self, character-self, physical capability-self, teacher relation-sel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way of descriptive statistics(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inferential statistics(t-test, ANOVA, Correlative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Between the two areas, the gap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was very great. And because of the poor economic backgrounds in Islands Area,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their wishful academic career about their children, jobs, and monthly income were much worse than those of urban area. (2)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had much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gion, sex, economic status and the students living in urban areas were much more acceptable and self-regulative than those in rural ones about parents' rearing attitudes. (3) The sense of self-esteem wa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home's economic status and the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s a result, the students' receptivity, self-control, and the parents' achievement-pressing attitudes in child-rearing had much to do with the subfators of self-esteem. (4) The academic achievements showed much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gional factors as well as the economic status. And the students more acceptive, self-regulative, and positive about the achievement-pressing usually had good academic results. In addition, the academic achievements had only to do with the character-self field in the sense of self-esteem. In conclusion, the academic achievements had many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parents' economic backgrounds and rearing attitudes. And also the parents' rearing attitudes had many influences in forming the habit of working hard to get a good academic results. Consequently, it is required to have a constant concern and love about their children, tolerate and grasp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nd encourage their achievements as well as all the other successful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make the assumption that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and the sense of self-esteem have much to do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s. Under this assumption, I want to find out all the different factors between the urban areas and the rural areas. I also want to know the weak points of the rural area students in achieving their academic results by searching out the correlation of the subfactors. Accordingly,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students living in island and city areas according to their sex and parents' background factors(family status, jobs and income level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sense of self-esteem in accordance with the students' sex and parents' background factors?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academic achievements according to the students' sex and their parents' background factors? (4)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ents' child-raising attitudes, the sense of self-esteem, and the academic achievem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2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in seven high schools located in Sin-an Gun and Mok-po City. The measuring tools used in this study about the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were the ones made by Kim Gi-jeong(1984). Those were made on the purpose of measuring th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s as the third dimensions of accepting/rejecting, self-regulation/regulation, and achievement-pressing behavior.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3 questions and used the method of Likert test measurements. In the test of self-esteem, Kim Hee-hwa's measuring instrument was used. This one consists of seven subfactors such as school working, general-self, friend relation-self, home-self, appearance-self, character-self, physical capability-self, teacher relation-sel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way of descriptive statistics(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inferential statistics(t-test, ANOVA, Correlative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Between the two areas, the gap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was very great. And because of the poor economic backgrounds in Islands Area,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their wishful academic career about their children, jobs, and monthly income were much worse than those of urban area. (2)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had much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gion, sex, economic status and the students living in urban areas were much more acceptable and self-regulative than those in rural ones about parents' rearing attitudes. (3) The sense of self-esteem wa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home's economic status and the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s a result, the students' receptivity, self-control, and the parents' achievement-pressing attitudes in child-rearing had much to do with the subfators of self-esteem. (4) The academic achievements showed much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gional factors as well as the economic status. And the students more acceptive, self-regulative, and positive about the achievement-pressing usually had good academic results. In addition, the academic achievements had only to do with the character-self field in the sense of self-esteem. In conclusion, the academic achievements had many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parents' economic backgrounds and rearing attitudes. And also the parents' rearing attitudes had many influences in forming the habit of working hard to get a good academic results. Consequently, it is required to have a constant concern and love about their children, tolerate and grasp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nd encourage their achievements as well as all the other successful resul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