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학급집단응집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Classroom Teachers' Communication Style and the Cohesiveness of their Cla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원문보기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학급집단 응집성과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급담임교사의 배경변인(지역-시, 군·읍·면, 성별, 연령)에 따라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학급담임교사의 배경변인(지역-시, 군·읍·면, 성별, 연령)에 따라 학급집단응집성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학급집단응집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748명을 연구자가 임의 표집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전체 748부 중 95.3%(713부)의 회수율을 보여 이 자료를 토대로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의사소통유형과 집단응집성과 관련된 문헌 연구와 강재원(1994), 안애자(2002)의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작성하였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것으로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문항구성은 의사소통유형 18문항, 집단응집성 20문항으로 나뉘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의견을 알아보기 위하여 배경변인을 지역, 교사의 성별·연령으로 구분하고 자료의 처리를 위해서는 질문지의 코딩작업을 거쳐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학급집단 응집성과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급담임교사의 배경변인(지역-시, 군·읍·면, 성별, 연령)에 따라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학급담임교사의 배경변인(지역-시, 군·읍·면, 성별, 연령)에 따라 학급집단응집성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학급집단응집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748명을 연구자가 임의 표집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전체 748부 중 95.3%(713부)의 회수율을 보여 이 자료를 토대로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의사소통유형과 집단응집성과 관련된 문헌 연구와 강재원(1994), 안애자(2002)의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작성하였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것으로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문항구성은 의사소통유형 18문항, 집단응집성 20문항으로 나뉘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의견을 알아보기 위하여 배경변인을 지역, 교사의 성별·연령으로 구분하고 자료의 처리를 위해서는 질문지의 코딩작업을 거쳐 SPSS for windows(10.0)를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으며 적재된 요인들의 문항들이 얼마나 신뢰로운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문항 내적 신뢰도(Cronbach α)를 산출하였다.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t 검증(t-test)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경청태도, 의사소통행위, 친밀도, 단합도, 응집성간의 상대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Pearson Correlation)과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으며 결과에 대한 유의수준은 p<.05 수준에서 해석하였다. 첫째, 학급담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위변인을 경청태도와 의사소통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지역(시, 군·읍 면)에 따른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은 경청태도와 의사소통행위에서 통계적으로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경청태도에서는 군읍면 학생의 평균값(M=23.17)이 시에 거주하는 학생의 평균값(M=22.29)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의사소통 행위에서도 군읍면학생의 평균값(M=26.57)이 시에 거주하는 학생보다 평균값(M=25.78)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단합도, 친밀도, 응집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학급담임교사의 성별에 따른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은 의사소통행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대체적으로 초등학생들은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더 촉구적이라고 지각하고 있다. 학급담임교사의 연령에 따른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은 의사소통행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증한 결과 초등학생들은 20대 교사가 40대 교사보다 더 촉구적이라고 지각하고 있다. 그러나 경청태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학급집단응집성의 차이 지역(시, 군·읍·면)에 따른 단합도, 친밀도, 응집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급담임교사의 성별에 단합도에서는 여교사의 평균값(M=28.31)이 남교사의 평균값(M=27.49)보다 높게 나타났다. 친밀도에서는 여교사의 평균값(M=27.14)이 남교사의 평균값(M=26.23)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응집성에서도 여교사의 평균값(M=55.45)이 남교사의 평균값(M=53.72)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교사가 담임인 학급이 단합도, 친밀도, 응집성이 높았다. 학급담임교사의 연령에 따른 단합도, 친밀도, 응집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학급집단응집성과의 관계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요인과 학급집단응집성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의사소통행위와 경청태도(r=.556, p<.001), 단합도와 경청태도 (r=.417, p<.001), 단합도와 의사소통 행위(r=.365, p<.001), 친밀도와 경청태도(r=.433, p<.001), 친밀도와 의사소통 행위(r=.382, p<.001), 친밀도와 단합도(r=.711, p<.001), 응집성과 경청태도(r=.460, p<.001), 응집성과 의사소통행위(r=.404, p<.001), 응집성과 단합도(r=.924, p<.001), 응집성과 친밀도(r=.925, p<.001)에서 정적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의사소통과 경청태도(r=.596, p<.001), 친밀도와 단합도(r=.711, p<.001), 응집성과 단합도(r=.924, p<.001), 응집성과 친밀도(r=.925, p<.001)에서 높은 정적상관으로 나타났다.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변인간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의사소통 유형을 세 개 집단으로 나누고 의사소통 유형을 독립변인으로 5개 집단을 종속변인으로 F 검증을 하였다. F 검증 결과, 경청태도(F=244.49, p<.001), 의사소통 행위(F=251.07, p<.001), 단합도(F=15.95, p<.001), 친밀도(F=20.82, p<.001), 응집성(F=21.59, p<.001)에서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청태도를 사후검증한 결과, 변인간 평균값은 수용명령형, 수용촉구형, 비수용명령형, 비수용촉구형 순으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에서는 수용명령형, 비수용명령형, 수용촉구형, 비수용촉구형 순으로 나타났으며, 단합도에서는 수용명령형이 비수용명령형보다 높게, 수용명령형이 비수용촉구형보다 평균갖이 높게 나타났다. 친밀도에서는 수용명령형, 수용촉구형, 비수용명령형, 비수용촉구형 순으로 나타났으며, 응집성에서는 수용명령형이 비수용명령형보다 높게, 수용명령형이 비수용촉구형보다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학급집단 응집성과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급담임교사의 배경변인(지역-시, 군·읍·면, 성별, 연령)에 따라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학급담임교사의 배경변인(지역-시, 군·읍·면, 성별, 연령)에 따라 학급집단응집성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학급집단응집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748명을 연구자가 임의 표집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전체 748부 중 95.3%(713부)의 회수율을 보여 이 자료를 토대로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의사소통유형과 집단응집성과 관련된 문헌 연구와 강재원(1994), 안애자(2002)의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작성하였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것으로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문항구성은 의사소통유형 18문항, 집단응집성 20문항으로 나뉘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의견을 알아보기 위하여 배경변인을 지역, 교사의 성별·연령으로 구분하고 자료의 처리를 위해서는 질문지의 코딩작업을 거쳐 SPSS for windows(10.0)를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으며 적재된 요인들의 문항들이 얼마나 신뢰로운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문항 내적 신뢰도(Cronbach α)를 산출하였다.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t 검증(t-test)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경청태도, 의사소통행위, 친밀도, 단합도, 응집성간의 상대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Pearson Correlation)과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으며 결과에 대한 유의수준은 p<.05 수준에서 해석하였다. 첫째, 학급담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위변인을 경청태도와 의사소통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지역(시, 군·읍 면)에 따른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은 경청태도와 의사소통행위에서 통계적으로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경청태도에서는 군읍면 학생의 평균값(M=23.17)이 시에 거주하는 학생의 평균값(M=22.29)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의사소통 행위에서도 군읍면학생의 평균값(M=26.57)이 시에 거주하는 학생보다 평균값(M=25.78)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단합도, 친밀도, 응집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학급담임교사의 성별에 따른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은 의사소통행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대체적으로 초등학생들은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더 촉구적이라고 지각하고 있다. 학급담임교사의 연령에 따른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은 의사소통행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증한 결과 초등학생들은 20대 교사가 40대 교사보다 더 촉구적이라고 지각하고 있다. 그러나 경청태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학급집단응집성의 차이 지역(시, 군·읍·면)에 따른 단합도, 친밀도, 응집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급담임교사의 성별에 단합도에서는 여교사의 평균값(M=28.31)이 남교사의 평균값(M=27.49)보다 높게 나타났다. 친밀도에서는 여교사의 평균값(M=27.14)이 남교사의 평균값(M=26.23)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응집성에서도 여교사의 평균값(M=55.45)이 남교사의 평균값(M=53.72)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교사가 담임인 학급이 단합도, 친밀도, 응집성이 높았다. 학급담임교사의 연령에 따른 단합도, 친밀도, 응집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학급집단응집성과의 관계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요인과 학급집단응집성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의사소통행위와 경청태도(r=.556, p<.001), 단합도와 경청태도 (r=.417, p<.001), 단합도와 의사소통 행위(r=.365, p<.001), 친밀도와 경청태도(r=.433, p<.001), 친밀도와 의사소통 행위(r=.382, p<.001), 친밀도와 단합도(r=.711, p<.001), 응집성과 경청태도(r=.460, p<.001), 응집성과 의사소통행위(r=.404, p<.001), 응집성과 단합도(r=.924, p<.001), 응집성과 친밀도(r=.925, p<.001)에서 정적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의사소통과 경청태도(r=.596, p<.001), 친밀도와 단합도(r=.711, p<.001), 응집성과 단합도(r=.924, p<.001), 응집성과 친밀도(r=.925, p<.001)에서 높은 정적상관으로 나타났다.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변인간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의사소통 유형을 세 개 집단으로 나누고 의사소통 유형을 독립변인으로 5개 집단을 종속변인으로 F 검증을 하였다. F 검증 결과, 경청태도(F=244.49, p<.001), 의사소통 행위(F=251.07, p<.001), 단합도(F=15.95, p<.001), 친밀도(F=20.82, p<.001), 응집성(F=21.59, p<.001)에서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청태도를 사후검증한 결과, 변인간 평균값은 수용명령형, 수용촉구형, 비수용명령형, 비수용촉구형 순으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에서는 수용명령형, 비수용명령형, 수용촉구형, 비수용촉구형 순으로 나타났으며, 단합도에서는 수용명령형이 비수용명령형보다 높게, 수용명령형이 비수용촉구형보다 평균갖이 높게 나타났다. 친밀도에서는 수용명령형, 수용촉구형, 비수용명령형, 비수용촉구형 순으로 나타났으며, 응집성에서는 수용명령형이 비수용명령형보다 높게, 수용명령형이 비수용촉구형보다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