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의 식품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며, 농산물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를 실시하고 있는 나라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03년부터 2005년 까지 시범사업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우수농산물관리제도의 개념 및 우수농산물관리제도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농림부가 실시하고 있는 GAP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우리나라 GAP 시스템의 전개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수농산물관리제도 시스템 도입에 따른 성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충남 GAP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GAP 프로그램에 절차의 비효율성, 전문인력 부족, 이력추적시스템 구축의 미비, 관련된 정부기관 사이의 업무중복 문제, 작물특성의 미반영, 고정적인 판로확보의 부족 그리고 재배환경 조성의 문제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력추적시스템의 전산화, 관련 업무부처 사이의 업무협력체계 및 작물특성을 반영한 인증체계의 구축, 전문유통경로의 확보, 효율적 경영 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더욱 안정적인 우수농산물관리제도를 구축하기 위하여 ...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며, 농산물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를 실시하고 있는 나라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03년부터 2005년 까지 시범사업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우수농산물관리제도의 개념 및 우수농산물관리제도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농림부가 실시하고 있는 GAP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우리나라 GAP 시스템의 전개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수농산물관리제도 시스템 도입에 따른 성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충남 GAP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GAP 프로그램에 절차의 비효율성, 전문인력 부족, 이력추적시스템 구축의 미비, 관련된 정부기관 사이의 업무중복 문제, 작물특성의 미반영, 고정적인 판로확보의 부족 그리고 재배환경 조성의 문제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력추적시스템의 전산화, 관련 업무부처 사이의 업무협력체계 및 작물특성을 반영한 인증체계의 구축, 전문유통경로의 확보, 효율적 경영 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더욱 안정적인 우수농산물관리제도를 구축하기 위하여 소비자 잉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더욱 정밀한 우수농산물관리제도 프로그램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자료의 축적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며, 농산물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를 실시하고 있는 나라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03년부터 2005년 까지 시범사업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우수농산물관리제도의 개념 및 우수농산물관리제도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농림부가 실시하고 있는 GAP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우리나라 GAP 시스템의 전개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수농산물관리제도 시스템 도입에 따른 성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충남 GAP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GAP 프로그램에 절차의 비효율성, 전문인력 부족, 이력추적시스템 구축의 미비, 관련된 정부기관 사이의 업무중복 문제, 작물특성의 미반영, 고정적인 판로확보의 부족 그리고 재배환경 조성의 문제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력추적시스템의 전산화, 관련 업무부처 사이의 업무협력체계 및 작물특성을 반영한 인증체계의 구축, 전문유통경로의 확보, 효율적 경영 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더욱 안정적인 우수농산물관리제도를 구축하기 위하여 소비자 잉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더욱 정밀한 우수농산물관리제도 프로그램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자료의 축적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Consumers have been requiring more higher level of food and agri-products safety. The system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has been spreaded over the world. Korea also introduced the GAP system in agricultural industry. GAP is related to the production side in the whole traceability system. Th...
Consumers have been requiring more higher level of food and agri-products safety. The system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has been spreaded over the world. Korea also introduced the GAP system in agricultural industry. GAP is related to the production side in the whole traceability system. The establishment of GAP system is a prerequisite to secure food safety.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 of GAP and necessities and backgrounds of introducing the GAP system.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which have been appeared in the GAP program and proposed the policy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the Korean GAP system. To analyze effects of the GAP program, this study surveyed GAP farmers in Chung-Nam. The survey indicates several difficulties on the GAP program; for example, inefficiency of management, inadequacy of the experts and traceability system, overlap of works among the related governmental departments, disregard of crop features, instability of distribution channel and so on. So issues for the GAP system are as follows; computerizing of traceability system, forming the cooperative works among the related governmental departments, establishing a certification system to relate with crop features, efficient management, ensuring distribution channel and the research for estimating GAP consumer surplus is need to analyze GAP program more effici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keep the records of the data to analyze the GAP program more accurately.
Consumers have been requiring more higher level of food and agri-products safety. The system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has been spreaded over the world. Korea also introduced the GAP system in agricultural industry. GAP is related to the production side in the whole traceability system. The establishment of GAP system is a prerequisite to secure food safety.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 of GAP and necessities and backgrounds of introducing the GAP system.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which have been appeared in the GAP program and proposed the policy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the Korean GAP system. To analyze effects of the GAP program, this study surveyed GAP farmers in Chung-Nam. The survey indicates several difficulties on the GAP program; for example, inefficiency of management, inadequacy of the experts and traceability system, overlap of works among the related governmental departments, disregard of crop features, instability of distribution channel and so on. So issues for the GAP system are as follows; computerizing of traceability system, forming the cooperative works among the related governmental departments, establishing a certification system to relate with crop features, efficient management, ensuring distribution channel and the research for estimating GAP consumer surplus is need to analyze GAP program more effici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keep the records of the data to analyze the GAP program more accuratel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