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역관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위상을 통해 조선시대 역관이 갖는 시대적 의미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조선시대 역관은 독특한 계층인 중인 중 상위에 위치한 기술직 중인으로, 단지 통역만을 담당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활동을 벌였다. 그들은 잦은 외국왕래를 통해 풍부한 견문을 쌓을 수 있었고, 대외정세를 빨리 파악하여 현실변화에 빠르게 대응했던 계층이다. 조선은 이러한 역관에 대한 필요성을 일찍이 인지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그들을 선발하고 양성하였다. 그러나 역관은 일반 양반층에 비해 차별대우를 받아 조선사회의 역관에 대한 당시 ...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역관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위상을 통해 조선시대 역관이 갖는 시대적 의미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조선시대 역관은 독특한 계층인 중인 중 상위에 위치한 기술직 중인으로, 단지 통역만을 담당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활동을 벌였다. 그들은 잦은 외국왕래를 통해 풍부한 견문을 쌓을 수 있었고, 대외정세를 빨리 파악하여 현실변화에 빠르게 대응했던 계층이다. 조선은 이러한 역관에 대한 필요성을 일찍이 인지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그들을 선발하고 양성하였다. 그러나 역관은 일반 양반층에 비해 차별대우를 받아 조선사회의 역관에 대한 당시 사회 인식은 필요성과 차별대우의 이중적인 태도였다고 정의할 수 있다. 차별대우와 서얼들의 신분상승의 성공은 역관에게 가해진 신분차별의 부당성을 타파하고자, 신분을 상승시키고자 하는 의식의 성장을 불러왔다. 역관은 의식 성장을 기반으로 신분상승을 위해 노력했는데, 역관의 신분 상승 노력은 개별적 노력이 선행되고, 중인통청운동의 참여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치적 지위상승에 대한 노력 뒤에는 역관이 使行 및 貿易을 통해 축적한 富가 바탕이 되었다. 그들은 八包貿易과 別包貿易 등을 통해 ‘역관자본’이라 불리워질 만큼 거대한 부를 축적할 수 있었고, 조선 후기 대외무역과, 국내 상업자본 형성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이러한 富 축적은 그들의 의식성장 및 지위상승욕구를 표출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작용되었다. 또한, 역관들은 그들의 뿌리가 사족임을 입증하기 위해 족보 및 방목, 역관내력에 관한 저서들을 편찬하기도 하고 양반들만의 고유 문학인 한문학 활동에 참여하여 그들만의 委巷文學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委巷文學은 그들만의 독창성이 결여되어 있는 한계점을 보인다. 이와 같은 그들의 개별적 노력은 실질적인 신분상승의 결과를 가져오지는 못했으나, 그들이 집단화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어 자신들의 차별대우에 맞서 한 발 앞서 나가게 해주었다. 역관은 개별적인 노력으로 신분상승이 이루어지지 않자, 중인들의 신분상승운동에 핵심적인 세력으로 참여하게 되었으나, 집단화되어 행한 통청운동 역시 실패하게 되었다. 그러나 중인통청운동은 중인들이 거의 유일하게 집단적인 신분상승운동을 벌여 역관 및 중인들의 신분적 위상과 성격을 파악하게 해주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중간층의 신분상승에 대한 욕구를 가속화시킴과 동시에 피지배계층에도 영향을 미쳐 조선시대를 지탱하는 신분체제를 와해시키고, 역관 및 중인을 더욱 단합시키고 성숙화 시켰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처럼 역관은 조선후기 사회변동에 대응하여 자신들의 존재를 나름대로 부각시켰지만, 제도적인 신분의 장벽을 넘지는 못해 정치적 위상을 높이는데 실패하였다. 그러나 다른 분야인 경제적·사회적·문화적으로 그들의 사회적 위상을 떨쳐 천주교의 초기 수용 및 발전과 개화사상 형성에 이바지하기도 하는 등 근대화를 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즉, 과거사회에서 주체세력이 아니었던 역관이 새 시대를 여는데 중요한 밑바탕이 되었다는 점은 조선시대 역관이 갖는 시대적 의미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역관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위상을 통해 조선시대 역관이 갖는 시대적 의미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조선시대 역관은 독특한 계층인 중인 중 상위에 위치한 기술직 중인으로, 단지 통역만을 담당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활동을 벌였다. 그들은 잦은 외국왕래를 통해 풍부한 견문을 쌓을 수 있었고, 대외정세를 빨리 파악하여 현실변화에 빠르게 대응했던 계층이다. 조선은 이러한 역관에 대한 필요성을 일찍이 인지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그들을 선발하고 양성하였다. 그러나 역관은 일반 양반층에 비해 차별대우를 받아 조선사회의 역관에 대한 당시 사회 인식은 필요성과 차별대우의 이중적인 태도였다고 정의할 수 있다. 차별대우와 서얼들의 신분상승의 성공은 역관에게 가해진 신분차별의 부당성을 타파하고자, 신분을 상승시키고자 하는 의식의 성장을 불러왔다. 역관은 의식 성장을 기반으로 신분상승을 위해 노력했는데, 역관의 신분 상승 노력은 개별적 노력이 선행되고, 중인통청운동의 참여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치적 지위상승에 대한 노력 뒤에는 역관이 使行 및 貿易을 통해 축적한 富가 바탕이 되었다. 그들은 八包貿易과 別包貿易 등을 통해 ‘역관자본’이라 불리워질 만큼 거대한 부를 축적할 수 있었고, 조선 후기 대외무역과, 국내 상업자본 형성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이러한 富 축적은 그들의 의식성장 및 지위상승욕구를 표출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작용되었다. 또한, 역관들은 그들의 뿌리가 사족임을 입증하기 위해 족보 및 방목, 역관내력에 관한 저서들을 편찬하기도 하고 양반들만의 고유 문학인 한문학 활동에 참여하여 그들만의 委巷文學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委巷文學은 그들만의 독창성이 결여되어 있는 한계점을 보인다. 이와 같은 그들의 개별적 노력은 실질적인 신분상승의 결과를 가져오지는 못했으나, 그들이 집단화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어 자신들의 차별대우에 맞서 한 발 앞서 나가게 해주었다. 역관은 개별적인 노력으로 신분상승이 이루어지지 않자, 중인들의 신분상승운동에 핵심적인 세력으로 참여하게 되었으나, 집단화되어 행한 통청운동 역시 실패하게 되었다. 그러나 중인통청운동은 중인들이 거의 유일하게 집단적인 신분상승운동을 벌여 역관 및 중인들의 신분적 위상과 성격을 파악하게 해주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중간층의 신분상승에 대한 욕구를 가속화시킴과 동시에 피지배계층에도 영향을 미쳐 조선시대를 지탱하는 신분체제를 와해시키고, 역관 및 중인을 더욱 단합시키고 성숙화 시켰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처럼 역관은 조선후기 사회변동에 대응하여 자신들의 존재를 나름대로 부각시켰지만, 제도적인 신분의 장벽을 넘지는 못해 정치적 위상을 높이는데 실패하였다. 그러나 다른 분야인 경제적·사회적·문화적으로 그들의 사회적 위상을 떨쳐 천주교의 초기 수용 및 발전과 개화사상 형성에 이바지하기도 하는 등 근대화를 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즉, 과거사회에서 주체세력이 아니었던 역관이 새 시대를 여는데 중요한 밑바탕이 되었다는 점은 조선시대 역관이 갖는 시대적 의미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official interpreters in the Joseon dynasty by tracing the contemporaneous awareness about them and their social standings. In the Joseon dynasty, the official interpreters were technicians at the high class among Jung-in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official interpreters in the Joseon dynasty by tracing the contemporaneous awareness about them and their social standings. In the Joseon dynasty, the official interpreters were technicians at the high class among Jung-ins. In addition to interpretation, they got involved with a variety of activities. Through frequent visits to foreign countries, they could gain various experiences as well as get a grasp of overseas situations, which allowed them to respond quickly to changes in realit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them early, Joseon dynasty screened and fostered them as of national importance. However, they were usually treated with discrimination from ordinary Yangban class, so we can say that the attitude toward official interpreters at that time was ambivalent, i.e. conflict between necessity and discrimination. Such discrimination and Seo-eol’s success in acquiring higher standings resulted in the growth of awareness on official interpreters’ part to climb up the social ladder in order to break down unreasonableness of standing-based discriminations against them. Based on the growth of awareness, they made efforts to acquire higher social standings. Efforts, however, they failed to get higher political standings. Behind these efforts for higher political standings, there was a foundation of wealth piled up by official interpreters through envoy activities and foreign trade. This wealth amounted to enormous capital called Yeokgwan-capital(譯官資本), which also had influences upon foreign tr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creation of domestic commercial capital as well. This wealth accumulation worked as a means to express their advanced awareness and desires for higher social standings. In addition, official interpreters published a series of books such as genealogy, a list of successful candidates in state exams, and history of official interpreters in order to demonstrate that their root came originally from good scholar class. Furthermore, they also joined the activities of Chinese classics peculiar to Yangban class to create their own Wihang-literature(委巷文學), but it still remained to be another imitation of Yangban literature, so there was little or no originality in the former from Yangban literature. These individual efforts failed to bring about higher standings in practice, but made a good opportunity for them to build up a social group, so that they could take a step forward to challenge conventional discrimination in society. After failing to get higher standings with individual efforts, they took a part as a pivotal power in Jung-in class’s movement for higher standings, but failed in such collective Jung-in class's movement. However, Jung-in class's movement is historically significant in a sense that Jung-in class rolled out their own collective movement for higher social standings, which helps us identify official interpreters’ and Jung-in class's standings and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movement accelerated the desires of intermediary class for higher social standings, and also had impact on subject classes, which resulted in a collapse of standing system as a prop of Joseon dynasty, and more collective and mature activities among official interpreters and Jung-in classes. As discussed above, official interpreters highlighted their own beings in response to social chan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failed to enhance their political standings beyond the wall of social standing system. However, they played a key role in opening up modernization by wielding their social standings i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 and contributing to early adoption and domestic development of Roman Catholicism, formation of the enlightenment thought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more. Though not a mainstream class in the past, the official interpreters now became a critical foundation for opening up a new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official interpreters in the Joseon dynasty by tracing the contemporaneous awareness about them and their social standings. In the Joseon dynasty, the official interpreters were technicians at the high class among Jung-ins. In addition to interpretation, they got involved with a variety of activities. Through frequent visits to foreign countries, they could gain various experiences as well as get a grasp of overseas situations, which allowed them to respond quickly to changes in realit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them early, Joseon dynasty screened and fostered them as of national importance. However, they were usually treated with discrimination from ordinary Yangban class, so we can say that the attitude toward official interpreters at that time was ambivalent, i.e. conflict between necessity and discrimination. Such discrimination and Seo-eol’s success in acquiring higher standings resulted in the growth of awareness on official interpreters’ part to climb up the social ladder in order to break down unreasonableness of standing-based discriminations against them. Based on the growth of awareness, they made efforts to acquire higher social standings. Efforts, however, they failed to get higher political standings. Behind these efforts for higher political standings, there was a foundation of wealth piled up by official interpreters through envoy activities and foreign trade. This wealth amounted to enormous capital called Yeokgwan-capital(譯官資本), which also had influences upon foreign tr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creation of domestic commercial capital as well. This wealth accumulation worked as a means to express their advanced awareness and desires for higher social standings. In addition, official interpreters published a series of books such as genealogy, a list of successful candidates in state exams, and history of official interpreters in order to demonstrate that their root came originally from good scholar class. Furthermore, they also joined the activities of Chinese classics peculiar to Yangban class to create their own Wihang-literature(委巷文學), but it still remained to be another imitation of Yangban literature, so there was little or no originality in the former from Yangban literature. These individual efforts failed to bring about higher standings in practice, but made a good opportunity for them to build up a social group, so that they could take a step forward to challenge conventional discrimination in society. After failing to get higher standings with individual efforts, they took a part as a pivotal power in Jung-in class’s movement for higher standings, but failed in such collective Jung-in class's movement. However, Jung-in class's movement is historically significant in a sense that Jung-in class rolled out their own collective movement for higher social standings, which helps us identify official interpreters’ and Jung-in class's standings and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movement accelerated the desires of intermediary class for higher social standings, and also had impact on subject classes, which resulted in a collapse of standing system as a prop of Joseon dynasty, and more collective and mature activities among official interpreters and Jung-in classes. As discussed above, official interpreters highlighted their own beings in response to social chan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failed to enhance their political standings beyond the wall of social standing system. However, they played a key role in opening up modernization by wielding their social standings i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 and contributing to early adoption and domestic development of Roman Catholicism, formation of the enlightenment thought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more. Though not a mainstream class in the past, the official interpreters now became a critical foundation for opening up a new era.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