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장애인 소득보장제도로 국민연금, 사회수당으로 장애수당, 공적부조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있다. 하지만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소득 격차가 커 장애인의 소득수준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소득보장과 관련 정책을 검토하여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 외국의 장애인 소득보장 제도 분석을 통해 그 시사점을 추출하여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장애인 소득보장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장애인 소득보장제도는 국민기초생활 수준은 기본적으로 보장하되, 고용정책에 보다 초점을 두고 다음과 같은 방향을 설정하...
우리나라는 장애인 소득보장제도로 국민연금, 사회수당으로 장애수당, 공적부조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있다. 하지만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소득 격차가 커 장애인의 소득수준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소득보장과 관련 정책을 검토하여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 외국의 장애인 소득보장 제도 분석을 통해 그 시사점을 추출하여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장애인 소득보장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장애인 소득보장제도는 국민기초생활 수준은 기본적으로 보장하되, 고용정책에 보다 초점을 두고 다음과 같은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근로활동이 가능한 장애인은 사회보험, 고용 및 직업재활정책을 통해 소득보장을 실현하고 근로활동이 불가능한 장애인에 대해서는 공공부조를 통해서 기초적인 소득보장을 실현한다. 둘째, 근로능력의 손실이 매우 큰 중증장애인의 소득보장수준은 장애인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한다. 셋째, 소득보장의 포괄성의 원칙에 따라 소득보장대상자의 선정에 있어서 사각지대가 최소화되어야 한다. 넷째, 장애인의 장애정도와 근로능력을 고려해 고용 및 직업재활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다섯째, 사회보험, 공공부조, 그리고 고용 및 직업재활 정책이 상호 연계되어 추진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본방향에 기초해 재정적인 측면에서의 효율성과 사회복지 차원에서 제도운영의 효과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국민연금제도의 장애연금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연금가입 크레딧(Credit) 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여 장애인의 기여 인정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물질적 보장의 측면에서 모든 제도가입 장애인에게 노후최저생계보호와 종전 생활수준의 보호의 소득을 보장할 수 있도록 장애발생요건 완화를 통한 장애연금수급권의 확대, 수급자격의 포괄성 확보, 급여수준의 적절성, 소득활동과 타 급여와의 관계설정 등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기초소득보장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이 제도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역할 가운데 장애인의 소득보장문제를 별도로 분리하여 독립적인 제도로 운영하는 방안이다. 기초소득보장제도의 핵심적인 내용은 네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 첫째, 급여는 개인별로 소득 및 자산조사를 통해 부족한 소득을 보충해 주는 방식으로 운영하며 원칙적으로 부양의무자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둘째, 장애인의 특성을 반영한 급여기준을 설정하여 실질적인 최저생활수준을 보장하였다. 셋째, 주류 노동시장에서의 근로 참여에 초점을 둔 근로소득공제, 근로지원급여 등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을 통하여 수급자의 근로의욕을 고취하고, 자립생활의 기반을 제공하였다. 넷째, 장애판정 개선으로 근로참여를 유도하고, 재활 및 고용서비스의 유기적 연결을 통해 근로연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였다.
우리나라는 장애인 소득보장제도로 국민연금, 사회수당으로 장애수당, 공적부조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있다. 하지만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소득 격차가 커 장애인의 소득수준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소득보장과 관련 정책을 검토하여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 외국의 장애인 소득보장 제도 분석을 통해 그 시사점을 추출하여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장애인 소득보장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장애인 소득보장제도는 국민기초생활 수준은 기본적으로 보장하되, 고용정책에 보다 초점을 두고 다음과 같은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근로활동이 가능한 장애인은 사회보험, 고용 및 직업재활정책을 통해 소득보장을 실현하고 근로활동이 불가능한 장애인에 대해서는 공공부조를 통해서 기초적인 소득보장을 실현한다. 둘째, 근로능력의 손실이 매우 큰 중증장애인의 소득보장수준은 장애인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한다. 셋째, 소득보장의 포괄성의 원칙에 따라 소득보장대상자의 선정에 있어서 사각지대가 최소화되어야 한다. 넷째, 장애인의 장애정도와 근로능력을 고려해 고용 및 직업재활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다섯째, 사회보험, 공공부조, 그리고 고용 및 직업재활 정책이 상호 연계되어 추진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본방향에 기초해 재정적인 측면에서의 효율성과 사회복지 차원에서 제도운영의 효과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국민연금제도의 장애연금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연금가입 크레딧(Credit) 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여 장애인의 기여 인정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물질적 보장의 측면에서 모든 제도가입 장애인에게 노후최저생계보호와 종전 생활수준의 보호의 소득을 보장할 수 있도록 장애발생요건 완화를 통한 장애연금수급권의 확대, 수급자격의 포괄성 확보, 급여수준의 적절성, 소득활동과 타 급여와의 관계설정 등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기초소득보장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이 제도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역할 가운데 장애인의 소득보장문제를 별도로 분리하여 독립적인 제도로 운영하는 방안이다. 기초소득보장제도의 핵심적인 내용은 네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 첫째, 급여는 개인별로 소득 및 자산조사를 통해 부족한 소득을 보충해 주는 방식으로 운영하며 원칙적으로 부양의무자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둘째, 장애인의 특성을 반영한 급여기준을 설정하여 실질적인 최저생활수준을 보장하였다. 셋째, 주류 노동시장에서의 근로 참여에 초점을 둔 근로소득공제, 근로지원급여 등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을 통하여 수급자의 근로의욕을 고취하고, 자립생활의 기반을 제공하였다. 넷째, 장애판정 개선으로 근로참여를 유도하고, 재활 및 고용서비스의 유기적 연결을 통해 근로연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였다.
There are national pension, incapacity benefit as a social security, and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NBLSS) as public assistance in Korea as a guaranteed income system for the handicapped. However, the gap of income level between handicapped people and normal people is big, thus the in...
There are national pension, incapacity benefit as a social security, and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NBLSS) as public assistance in Korea as a guaranteed income system for the handicapped. However, the gap of income level between handicapped people and normal people is big, thus the income level of the disabled is relatively poor. Therefore, this study seeks for improvement plan of guaranteed income system for handicapped people, based on issues extracted through comparing with the foreign guaranteed income systems and assessing policies related to the system for handicapped people. This research sets a goal as follows relatively focusing on employment policy while it basically guarantees basic livelihood of the handicapped. First, it realizes guaranteed income through social security, social employment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for the handicapped who can work, and through public assistance for who can not work. Second, the income level for severely handicapped people wh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of efficiency should be no less than basic level of normal people, in order to guarantee human lives for them. Third, according to the general principle of guaranteed income system, the inevitable exclusion of appointment for the system should be minimized. Fourth, relevant occupation assistance and employment program should be prepared considering handicap level and working capability of the handicapped. Last, social security, public assistance, employment and occupation rehabilitation policies should be executed based on reciprocal connection among each other. Based on these goals,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 plan of guaranteed income system for the handicapped within national pension system, considering financial efficiency and management effectiveness on the level of social welfare. Most of all, it suggests the introduction of Credit system for affiliation with pension program in order to extend recognition of contribution. It also made suggestions basic level income security and old livelihood guarantee for the handicapped in terms of material security. In other words, it proposed extension of pension acceptance, universality maintenance of acceptance qualification, rational income level and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between income-generating activity and other income, through alleviation of handicap occurrence condition. Moreover, it suggests the introduction of guaranteed basic income system. This system is a plan which separately operates income issue for the handicapped from other issue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There are four points in basic guaranteed income system. First, income assistance will be offered based on thorough investigation of individual income and asset, and it fundamentally does not follow the standard of extended family member. Second, it sets specific income standard for the handicapped people to guarantee minimum living level substantially. Third, it offers financial incentives like employment income deduction or employment support grant, focusing on labor participation in normal market in order to offer foundation of independent living and to inspire handicapped people to work. Last, it induces handicapped people to work as alleviating standards of handicap level decision, so that it contributes to reciprocal connection among rehabilitation and employment systems for the handicapped.
There are national pension, incapacity benefit as a social security, and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NBLSS) as public assistance in Korea as a guaranteed income system for the handicapped. However, the gap of income level between handicapped people and normal people is big, thus the income level of the disabled is relatively poor. Therefore, this study seeks for improvement plan of guaranteed income system for handicapped people, based on issues extracted through comparing with the foreign guaranteed income systems and assessing policies related to the system for handicapped people. This research sets a goal as follows relatively focusing on employment policy while it basically guarantees basic livelihood of the handicapped. First, it realizes guaranteed income through social security, social employment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for the handicapped who can work, and through public assistance for who can not work. Second, the income level for severely handicapped people wh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of efficiency should be no less than basic level of normal people, in order to guarantee human lives for them. Third, according to the general principle of guaranteed income system, the inevitable exclusion of appointment for the system should be minimized. Fourth, relevant occupation assistance and employment program should be prepared considering handicap level and working capability of the handicapped. Last, social security, public assistance, employment and occupation rehabilitation policies should be executed based on reciprocal connection among each other. Based on these goals,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 plan of guaranteed income system for the handicapped within national pension system, considering financial efficiency and management effectiveness on the level of social welfare. Most of all, it suggests the introduction of Credit system for affiliation with pension program in order to extend recognition of contribution. It also made suggestions basic level income security and old livelihood guarantee for the handicapped in terms of material security. In other words, it proposed extension of pension acceptance, universality maintenance of acceptance qualification, rational income level and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between income-generating activity and other income, through alleviation of handicap occurrence condition. Moreover, it suggests the introduction of guaranteed basic income system. This system is a plan which separately operates income issue for the handicapped from other issue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There are four points in basic guaranteed income system. First, income assistance will be offered based on thorough investigation of individual income and asset, and it fundamentally does not follow the standard of extended family member. Second, it sets specific income standard for the handicapped people to guarantee minimum living level substantially. Third, it offers financial incentives like employment income deduction or employment support grant, focusing on labor participation in normal market in order to offer foundation of independent living and to inspire handicapped people to work. Last, it induces handicapped people to work as alleviating standards of handicap level decision, so that it contributes to reciprocal connection among rehabilitation and employment systems for the handicapp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