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폐아동에게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조사의 이해력과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자폐아동으로 진단받았으며, K-WISC-Ⅲ에서 65점, CARS에서 31점을 받은 남자 1명과 K-WISC-Ⅲ에서 67점, CARS에서 31점을 받은 남자 1명을 선정하였다. 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조사이해력을 향상시키는가? 1)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주격조사의 이해력을 향상시키는가? 2)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목적격조사의 이해력을 향상시키는가? ...
본 연구는 자폐아동에게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조사의 이해력과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자폐아동으로 진단받았으며, K-WISC-Ⅲ에서 65점, CARS에서 31점을 받은 남자 1명과 K-WISC-Ⅲ에서 67점, CARS에서 31점을 받은 남자 1명을 선정하였다. 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조사이해력을 향상시키는가? 1)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주격조사의 이해력을 향상시키는가? 2)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목적격조사의 이해력을 향상시키는가? 3)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주격과 목적격조사의 이해력을 향상시키는가? 둘째,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조사표현력을 향상시키는가? 1)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주격조사의 표현력을 향상시키는가? 2)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목적격조사의 표현력을 향상시키는가? 3)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주격과 목적격조사의 표현력을 향상시키는가? 본 연구는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조사 이해력 및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독립변인은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며, 종속변인은 조사이해력 및 표현력이다. 이에 본 연구는 행동간의 중다기초선 설계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자폐아동의 조사 이해력 및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의 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 아동 2명의 조사이해력의 변화 양상은 아동의 특성에 따라 조사이해력 발달 양상의 차이는 있었지만 ,지속적인 발달 양상을 보였다. 주격조사가 목적격조사에 비해 이해력이 우세하고 주격조사만 구성된 문장이나 목적격조사만 구성된 조사이해력이 주격과 목적격으로 함께 구성된 조사이해력에 비해 더 효과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주격과 목적격으로 함께 구성된 조사이해력이 주격조사와 목적격 조사의 훈련으로 인해 급속도로 중재초반부터 조사이해력이 발달되는 양상을 보인다. 둘째, 자폐 아동 2명의 조사표현력의 변화 양상은 조사 이해력에 비해 표현력의 증가가 다소 감소되지만 이해력이 증가할 수록 표현력이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주격조사가 목적격조사에 비해 표현력이 우세하고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의 훈련으로 인해 주격과 목적격이 함께 구성된 조사표현력이 중재 중반부터 급격하게 발달되는 양상을 보인다. 셋째, 문장의 구성에 따른 조사 이해력 및 표현력 변화 양상은 대상과 사물간의 문장이 대상과 대상간의 문장보다 조사이해력 및 표현력에서 더 효과적으로 발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이해력 문제유형에 따른 조사이해력 변화 양상은 주관식 문제가 객관식 문제보다 이해력을 더 효과적으로 발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조사이해력 및 표현력에 효과적으로 발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자폐아동에게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조사의 이해력과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자폐아동으로 진단받았으며, K-WISC-Ⅲ에서 65점, CARS에서 31점을 받은 남자 1명과 K-WISC-Ⅲ에서 67점, CARS에서 31점을 받은 남자 1명을 선정하였다. 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조사이해력을 향상시키는가? 1)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주격조사의 이해력을 향상시키는가? 2)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목적격조사의 이해력을 향상시키는가? 3)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주격과 목적격조사의 이해력을 향상시키는가? 둘째,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조사표현력을 향상시키는가? 1)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주격조사의 표현력을 향상시키는가? 2)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목적격조사의 표현력을 향상시키는가? 3)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주격과 목적격조사의 표현력을 향상시키는가? 본 연구는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조사 이해력 및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독립변인은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며, 종속변인은 조사이해력 및 표현력이다. 이에 본 연구는 행동간의 중다기초선 설계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자폐아동의 조사 이해력 및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의 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 아동 2명의 조사이해력의 변화 양상은 아동의 특성에 따라 조사이해력 발달 양상의 차이는 있었지만 ,지속적인 발달 양상을 보였다. 주격조사가 목적격조사에 비해 이해력이 우세하고 주격조사만 구성된 문장이나 목적격조사만 구성된 조사이해력이 주격과 목적격으로 함께 구성된 조사이해력에 비해 더 효과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주격과 목적격으로 함께 구성된 조사이해력이 주격조사와 목적격 조사의 훈련으로 인해 급속도로 중재초반부터 조사이해력이 발달되는 양상을 보인다. 둘째, 자폐 아동 2명의 조사표현력의 변화 양상은 조사 이해력에 비해 표현력의 증가가 다소 감소되지만 이해력이 증가할 수록 표현력이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주격조사가 목적격조사에 비해 표현력이 우세하고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의 훈련으로 인해 주격과 목적격이 함께 구성된 조사표현력이 중재 중반부터 급격하게 발달되는 양상을 보인다. 셋째, 문장의 구성에 따른 조사 이해력 및 표현력 변화 양상은 대상과 사물간의 문장이 대상과 대상간의 문장보다 조사이해력 및 표현력에서 더 효과적으로 발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이해력 문제유형에 따른 조사이해력 변화 양상은 주관식 문제가 객관식 문제보다 이해력을 더 효과적으로 발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시각적 지원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조사이해력 및 표현력에 효과적으로 발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investigate effect on comprehensive faculty and expression capability of a postposition word by execution of visual support program to autism children. Visual support program is assigned as independent variables. Whereas, comprehension faculty and expression capability on a...
This study is purposed to investigate effect on comprehensive faculty and expression capability of a postposition word by execution of visual support program to autism children. Visual support program is assigned as independent variables. Whereas, comprehension faculty and expression capability on a proposition word is taken position of dependent variables. Multiple base line across behaviors is adopted for the study design. Study subjects are given as followings. Firstly, does visual support program enhance comprehensive faculty on a proposition word of autism children? 1) Does visual support program improve comprehensive faculty on a subjective proposition word? 2) Does visual support program elevate comprehensive faculty on a objective proposition word? 3) Does visual support program raise comprehensive faculty on a subjective proposition word and a objective proposition word ? Secondly, does visual support program enhance expression capability of a proposition word for autism children? 1) Does visual support program elevate expression capability of a subjective proposition word ? 2) Does visual support program improve expression capability of a objective proposition word? 3) Does visual support program raise expression capability of a subjective proposition word and a objective proposition word ? The study draws following results. Frist of all, comprehensive faculty on a subjective proposition word is superior to that of a objective comprehensive proposition and comprehension on sentence composed of only a subjective proposition word or a objective proposition word shows effective improvement tendency compared to comprehension on sentence with composition of a subjective proposition word and a objective proposition word. Secondly speaking, expression capability is improved in the proportion with increasement of comprehensive faculty. In addition, a subjective proposition word shows better expression than a objective proposition word and expression capability on a proposition word with subjective and objective makes sudden development in the intermediate level of mediation by a discipline for a subjective proposition word and a objective proposition word. Thirdly, sentence between object and stuffs shows better development for comprehension faculty and expression capability than inter-objective sentence for the change of comprehension faculty and expression capability on a proposition word in accordance with sentence composition. Finally, subjective questions result in more effective development for comprehension faculty than objective questions for the change of comprehension faculty on a proposition word in accordance with comprehension faculty subject type.
This study is purposed to investigate effect on comprehensive faculty and expression capability of a postposition word by execution of visual support program to autism children. Visual support program is assigned as independent variables. Whereas, comprehension faculty and expression capability on a proposition word is taken position of dependent variables. Multiple base line across behaviors is adopted for the study design. Study subjects are given as followings. Firstly, does visual support program enhance comprehensive faculty on a proposition word of autism children? 1) Does visual support program improve comprehensive faculty on a subjective proposition word? 2) Does visual support program elevate comprehensive faculty on a objective proposition word? 3) Does visual support program raise comprehensive faculty on a subjective proposition word and a objective proposition word ? Secondly, does visual support program enhance expression capability of a proposition word for autism children? 1) Does visual support program elevate expression capability of a subjective proposition word ? 2) Does visual support program improve expression capability of a objective proposition word? 3) Does visual support program raise expression capability of a subjective proposition word and a objective proposition word ? The study draws following results. Frist of all, comprehensive faculty on a subjective proposition word is superior to that of a objective comprehensive proposition and comprehension on sentence composed of only a subjective proposition word or a objective proposition word shows effective improvement tendency compared to comprehension on sentence with composition of a subjective proposition word and a objective proposition word. Secondly speaking, expression capability is improved in the proportion with increasement of comprehensive faculty. In addition, a subjective proposition word shows better expression than a objective proposition word and expression capability on a proposition word with subjective and objective makes sudden development in the intermediate level of mediation by a discipline for a subjective proposition word and a objective proposition word. Thirdly, sentence between object and stuffs shows better development for comprehension faculty and expression capability than inter-objective sentence for the change of comprehension faculty and expression capability on a proposition word in accordance with sentence composition. Finally, subjective questions result in more effective development for comprehension faculty than objective questions for the change of comprehension faculty on a proposition word in accordance with comprehension faculty subject type.
Keyword
#시각적 지원프로그램 자폐아동 조사이해력 표현력 Comprehensive Facul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