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는 아가미 호흡 외에 장호흡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존산소 농도가 아주 낮고 유기물이 많은 물속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그러나 양식장 또는 자연에서 미꾸라지를 포획할 때 통발을 사용하게 되면 통발이 물속에 잠겨 있어 장호흡을 1∼2일간 못하게 될 때는 다량의 폐사가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결과를 보면 미꾸라지는 어떤 경우에는 장호흡이 생존에 필수적이지만 이에 대한 자료는 얻을 수가 없었기 때문에 이 종에 대한 장호흡의 필수성 여부를 5 g 과 20 g 크기의 미꾸라지를 이용하여 용존산소 농도 0, 1, 2, 3, 4, 5 및 6 ...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는 아가미 호흡 외에 장호흡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존산소 농도가 아주 낮고 유기물이 많은 물속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그러나 양식장 또는 자연에서 미꾸라지를 포획할 때 통발을 사용하게 되면 통발이 물속에 잠겨 있어 장호흡을 1∼2일간 못하게 될 때는 다량의 폐사가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결과를 보면 미꾸라지는 어떤 경우에는 장호흡이 생존에 필수적이지만 이에 대한 자료는 얻을 수가 없었기 때문에 이 종에 대한 장호흡의 필수성 여부를 5 g 과 20 g 크기의 미꾸라지를 이용하여 용존산소 농도 0, 1, 2, 3, 4, 5 및 6 ppm 물속에서 조사하였으며, 수온은 이 종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25℃에 맞추었다. 그리고 이들 두 가지 크기의 미꾸라지를 이용하여 수중 용존산소 농도와 시간 당 장호흡의 횟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이 외에 이 종의 기초산소소비량을 수온 15, 20, 25, 및 30℃에서 조사하여 이 종의 크기와 수온에 따른 기초산소소비량을 구하였다. 장호흡의 필수여부는 96시간 내에 50% 폐사하는 폐사율 (LT50-96)을 기준으로 측정하였으며 5 g 크기의 미꾸라지를 실험구 (장호흡을 못하게 한 그룹)와 대조구 (장호흡을 할 수 있게 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한 결과 용존산소 농도 0, 1, 2, 3 ppm에서는 평균 LT50-96은 각각 1시간 34분, 2시간 25분, 8시간 41분 및 56시간 50분으로 나타났고, 4 ppm 실험구와 모든 대조구에서는 폐사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20 g 크기에서의 LT50-96은 용존산소 농도 0, 1, 2, 3, 4, 5 및 6 ppm에서 조사한 결과 각각 30분, 38분, 3시간 42분, 5시간 11분 및 53시간 12분으로 조사되었고, 모든 대조구와 용존산소 6 ppm에서는 폐사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다만 용존산소 5 ppm에서 총 40마리의 조사한 미꾸라지 중 4마리가 조사시간 96시간 내에 폐사하였다. 장호흡의 필수 여부 실험에서 조사된 결과로부터 장호흡이 꼭 필요한 용존산소 0, 1, 2, 3 및 4 ppm에서 미꾸라지 크기 5 g 그룹에서 용존산소 농도와 시간당 장호흡 횟수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각 용존산소 별 시간당 장호흡의 횟수는 37.3, 38.8, 26.9, 14.3 및 14.4회로 각각 나타났고, 20 g 크기에서의 각 용존산소별 시간당 장호흡의 횟수는 각각 36.1, 38.3, 29.8, 20.8 및 14회로 조사되었다. 이 결과 5가지 용존산소 농도에서 작은 미꾸라지와 큰 미꾸라지 간의 시간당 장호흡의 횟수는 크게 차이가 없었으며 두 크기 모두에서 수중 용존산소 농도가 증가할수록 시간당 장호흡의 횟수는 감소는 경향을 보였다. 미꾸라지의 기초산소소비량을 수온 15, 20, 25 및 30℃에서 조사한 결과 5 g 크기의 미꾸라지에서는 각 수온별로 각각 199.2, 204.3, 231.3 및 301.2 mg O₂/kg fish/h로 나타났으며, 20 g 크기의 미꾸라지에서는 각각 83.6, 109.2, 143.6 및 202.6 mg O₂/kg fish/hr로 조사되었다. 기초산소소비량은 5 g의 작은 개체가 20 g의 큰 개체보다 동일 수온에서 유의성 있게 높았다. 그리고 수온 15℃∼30℃ 사이에서 5 g 크기와 20 g 크기의 미꾸라지에서 수온과 기초산소소비량과의 관계는 각각 Y = 33.30 X + 150.78 및 Y = 39.19 X + 36.95 로 계산되었다. 수온 범위 15∼20℃, 20∼25℃ 및 25∼30℃의 3 구간에서 5 g 크기의 미꾸라지에서 Q10의 값은 각각 1.05, 1.28 및 1.7로 계산되었고, 20 g 크기의 미꾸라지에서는 각각 1.59, 1.73 및 1.99로 계산되었다. 미꾸라지 크기 20 g에서의 Q10의 값은 5 g 크기에서보다 항상 높았다. 그리고 Q10의 값은 수온이 상승하는 것과 비례하여 증가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수온 25℃에서 5 g 크기의 미꾸라지는 수중 용존산소 농도 3 ppm까지는 장호흡이 생존에 필수적이며, 20 g 크기의 미꾸라지는 용존산소 농도 4 ppm까지는 장호흡이 생존에 필수적이다. 용존산소 0∼4 ppm 사이에서 시간당 장호흡의 횟수는 용존산소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그 범위는 5 g 크기의 경우 14.4∼38.8회, 20 g 크기의 경우 14.0∼38.3회였다. 미꾸라지의 기초산소소비량은 수온 15, 20, 25 및 30℃에서 수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5 g 크기의 경우 기초산소소비량의 범위는 199.2∼301 mg O₂/kg fish/h 였고, 20 g 크기의 경우 83.6∼202.6 mg O₂/kg fish/h로 조사되었다. 수온 15℃에서 30℃까지 5℃ 간격으로 나눈 구간에서 Q10의 값은 수온이 상승할수록 증가하였으며 개체크기가 큰 20 g 이 5 g 개체보다 대사요구량이 높게 나타났다.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는 아가미 호흡 외에 장호흡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존산소 농도가 아주 낮고 유기물이 많은 물속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그러나 양식장 또는 자연에서 미꾸라지를 포획할 때 통발을 사용하게 되면 통발이 물속에 잠겨 있어 장호흡을 1∼2일간 못하게 될 때는 다량의 폐사가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결과를 보면 미꾸라지는 어떤 경우에는 장호흡이 생존에 필수적이지만 이에 대한 자료는 얻을 수가 없었기 때문에 이 종에 대한 장호흡의 필수성 여부를 5 g 과 20 g 크기의 미꾸라지를 이용하여 용존산소 농도 0, 1, 2, 3, 4, 5 및 6 ppm 물속에서 조사하였으며, 수온은 이 종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25℃에 맞추었다. 그리고 이들 두 가지 크기의 미꾸라지를 이용하여 수중 용존산소 농도와 시간 당 장호흡의 횟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이 외에 이 종의 기초산소소비량을 수온 15, 20, 25, 및 30℃에서 조사하여 이 종의 크기와 수온에 따른 기초산소소비량을 구하였다. 장호흡의 필수여부는 96시간 내에 50% 폐사하는 폐사율 (LT50-96)을 기준으로 측정하였으며 5 g 크기의 미꾸라지를 실험구 (장호흡을 못하게 한 그룹)와 대조구 (장호흡을 할 수 있게 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한 결과 용존산소 농도 0, 1, 2, 3 ppm에서는 평균 LT50-96은 각각 1시간 34분, 2시간 25분, 8시간 41분 및 56시간 50분으로 나타났고, 4 ppm 실험구와 모든 대조구에서는 폐사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20 g 크기에서의 LT50-96은 용존산소 농도 0, 1, 2, 3, 4, 5 및 6 ppm에서 조사한 결과 각각 30분, 38분, 3시간 42분, 5시간 11분 및 53시간 12분으로 조사되었고, 모든 대조구와 용존산소 6 ppm에서는 폐사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다만 용존산소 5 ppm에서 총 40마리의 조사한 미꾸라지 중 4마리가 조사시간 96시간 내에 폐사하였다. 장호흡의 필수 여부 실험에서 조사된 결과로부터 장호흡이 꼭 필요한 용존산소 0, 1, 2, 3 및 4 ppm에서 미꾸라지 크기 5 g 그룹에서 용존산소 농도와 시간당 장호흡 횟수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각 용존산소 별 시간당 장호흡의 횟수는 37.3, 38.8, 26.9, 14.3 및 14.4회로 각각 나타났고, 20 g 크기에서의 각 용존산소별 시간당 장호흡의 횟수는 각각 36.1, 38.3, 29.8, 20.8 및 14회로 조사되었다. 이 결과 5가지 용존산소 농도에서 작은 미꾸라지와 큰 미꾸라지 간의 시간당 장호흡의 횟수는 크게 차이가 없었으며 두 크기 모두에서 수중 용존산소 농도가 증가할수록 시간당 장호흡의 횟수는 감소는 경향을 보였다. 미꾸라지의 기초산소소비량을 수온 15, 20, 25 및 30℃에서 조사한 결과 5 g 크기의 미꾸라지에서는 각 수온별로 각각 199.2, 204.3, 231.3 및 301.2 mg O₂/kg fish/h로 나타났으며, 20 g 크기의 미꾸라지에서는 각각 83.6, 109.2, 143.6 및 202.6 mg O₂/kg fish/hr로 조사되었다. 기초산소소비량은 5 g의 작은 개체가 20 g의 큰 개체보다 동일 수온에서 유의성 있게 높았다. 그리고 수온 15℃∼30℃ 사이에서 5 g 크기와 20 g 크기의 미꾸라지에서 수온과 기초산소소비량과의 관계는 각각 Y = 33.30 X + 150.78 및 Y = 39.19 X + 36.95 로 계산되었다. 수온 범위 15∼20℃, 20∼25℃ 및 25∼30℃의 3 구간에서 5 g 크기의 미꾸라지에서 Q10의 값은 각각 1.05, 1.28 및 1.7로 계산되었고, 20 g 크기의 미꾸라지에서는 각각 1.59, 1.73 및 1.99로 계산되었다. 미꾸라지 크기 20 g에서의 Q10의 값은 5 g 크기에서보다 항상 높았다. 그리고 Q10의 값은 수온이 상승하는 것과 비례하여 증가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수온 25℃에서 5 g 크기의 미꾸라지는 수중 용존산소 농도 3 ppm까지는 장호흡이 생존에 필수적이며, 20 g 크기의 미꾸라지는 용존산소 농도 4 ppm까지는 장호흡이 생존에 필수적이다. 용존산소 0∼4 ppm 사이에서 시간당 장호흡의 횟수는 용존산소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그 범위는 5 g 크기의 경우 14.4∼38.8회, 20 g 크기의 경우 14.0∼38.3회였다. 미꾸라지의 기초산소소비량은 수온 15, 20, 25 및 30℃에서 수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5 g 크기의 경우 기초산소소비량의 범위는 199.2∼301 mg O₂/kg fish/h 였고, 20 g 크기의 경우 83.6∼202.6 mg O₂/kg fish/h로 조사되었다. 수온 15℃에서 30℃까지 5℃ 간격으로 나눈 구간에서 Q10의 값은 수온이 상승할수록 증가하였으며 개체크기가 큰 20 g 이 5 g 개체보다 대사요구량이 높게 나타났다.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has an ability to get oxygen from intestinal respiration in addition to the ordinary gill respiration. Therefore this fish can survive very low oxygen conditions in the water where organic substances are rich. However, when they are caught in the underwater trap net an...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has an ability to get oxygen from intestinal respiration in addition to the ordinary gill respiration. Therefore this fish can survive very low oxygen conditions in the water where organic substances are rich. However, when they are caught in the underwater trap net and they can not make intestinal respiration in it for one or two days, mass mortality was often observed by fish farmers. This means that this species needs intestinal respiration in some conditions. But there were not much information available about this. Therefore the necessity of intestinal respiration of 2 body size groups, 5g and 20g size, of this species under 6 different ambient oxygen concentrations, 0, 1, 2, 3, 4, 5, and 6 ppm, were investigated. The frequencies of intestinal respiration under 4 different ambient oxygen concentrations and basic oxygen consumption rates under 4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were also tested. For the necessity of intestinal respiration, 50% mortality in 96-hour (LT50-96) was measured. In the 5 g size treatment group (intestinal respiration not allowed group), the average LT50-96 of ambient oxygen concentration of 0, 1, 2 and 3 ppm were 1 hour 34 minute (1h 30m), 2h 25m, 8h 41m and 56h 50m, respectively. But there were no mortality observed in the all control groups (intestinal respiration allowed group) and the treatment of 4 ppm oxygen group within 96 hour period. The LT50-96 of 20 g size treatment group with the ambient oxygen concentrations of 0, 1, 2, 3 and 4 ppm were 0h 30m, 0h 38m, 3h 42m, 5h 11m, and 53h 12m, respectively. In the treatment of 5 ppm oxygen group, 4 out of 40fish were died within 96-h period. But no morality were observed in the all control and the treatments of 6 ppm oxygen group. The average frequencies of intestinal respiration in 5 g size groups under the ambient oxygen concentrations of 0, 1, 2, 3, and 4 ppm were 37.3, 38.8, 26.9, 14.3 and 14.4 times per hour, respectively while those of 20 g size groups were 36.1, 38.3, 29.8, 20.8 and 14.0 times per hour, respectively. Average frequencies of intestinal respiration of mud loach were decreased with the ambient oxygen concentration decrease in both size group.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the frequencies of intestinal respiration between two size groups. Basic oxygen consumption rates of 5 g size groups under the water temperatures of 15, 20, 25, and 30℃ were 199.2, 204.3, 231.3, and 301.2 mg O₂/kg fish/hr, respectively while those of 20 g size groups were 83.6, 109.2, 143.6, and 202.6 mg O₂/kg fish/hr, respectively. The basic oxygen consumption rates of 5 g size fish were always higher than those of 20 g size fish at the same tempera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weight and basic oxygen consumption rates within the temperature ranges of 15~30℃ of 5 g and 20 g size mud loach were Y= 33.30 X + 150.78 and Y = 39.19 X + 36.95, respectively. The Q10 of 5 g size groups mud loach in the range of 15∼20℃, 20∼25℃, and 25∼30℃ were 1.05, 1.28 and 1.70, respectively and those of 20 g size groups were 1.59, 1.73, and 1.99, respectively. The Q10 in 20 g size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in 5 g size group. Also Q10 is increased with temperature increase.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has an ability to get oxygen from intestinal respiration in addition to the ordinary gill respiration. Therefore this fish can survive very low oxygen conditions in the water where organic substances are rich. However, when they are caught in the underwater trap net and they can not make intestinal respiration in it for one or two days, mass mortality was often observed by fish farmers. This means that this species needs intestinal respiration in some conditions. But there were not much information available about this. Therefore the necessity of intestinal respiration of 2 body size groups, 5g and 20g size, of this species under 6 different ambient oxygen concentrations, 0, 1, 2, 3, 4, 5, and 6 ppm, were investigated. The frequencies of intestinal respiration under 4 different ambient oxygen concentrations and basic oxygen consumption rates under 4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were also tested. For the necessity of intestinal respiration, 50% mortality in 96-hour (LT50-96) was measured. In the 5 g size treatment group (intestinal respiration not allowed group), the average LT50-96 of ambient oxygen concentration of 0, 1, 2 and 3 ppm were 1 hour 34 minute (1h 30m), 2h 25m, 8h 41m and 56h 50m, respectively. But there were no mortality observed in the all control groups (intestinal respiration allowed group) and the treatment of 4 ppm oxygen group within 96 hour period. The LT50-96 of 20 g size treatment group with the ambient oxygen concentrations of 0, 1, 2, 3 and 4 ppm were 0h 30m, 0h 38m, 3h 42m, 5h 11m, and 53h 12m, respectively. In the treatment of 5 ppm oxygen group, 4 out of 40fish were died within 96-h period. But no morality were observed in the all control and the treatments of 6 ppm oxygen group. The average frequencies of intestinal respiration in 5 g size groups under the ambient oxygen concentrations of 0, 1, 2, 3, and 4 ppm were 37.3, 38.8, 26.9, 14.3 and 14.4 times per hour, respectively while those of 20 g size groups were 36.1, 38.3, 29.8, 20.8 and 14.0 times per hour, respectively. Average frequencies of intestinal respiration of mud loach were decreased with the ambient oxygen concentration decrease in both size group.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the frequencies of intestinal respiration between two size groups. Basic oxygen consumption rates of 5 g size groups under the water temperatures of 15, 20, 25, and 30℃ were 199.2, 204.3, 231.3, and 301.2 mg O₂/kg fish/hr, respectively while those of 20 g size groups were 83.6, 109.2, 143.6, and 202.6 mg O₂/kg fish/hr, respectively. The basic oxygen consumption rates of 5 g size fish were always higher than those of 20 g size fish at the same tempera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weight and basic oxygen consumption rates within the temperature ranges of 15~30℃ of 5 g and 20 g size mud loach were Y= 33.30 X + 150.78 and Y = 39.19 X + 36.95, respectively. The Q10 of 5 g size groups mud loach in the range of 15∼20℃, 20∼25℃, and 25∼30℃ were 1.05, 1.28 and 1.70, respectively and those of 20 g size groups were 1.59, 1.73, and 1.99, respectively. The Q10 in 20 g size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in 5 g size group. Also Q10 is increased with temperature increas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