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방한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inter Cap in Joseon Dynasty of Korea 원문보기


김성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조선시대의 다양한 방한모에 대하여 성별, 신분별로 대별하여 형태, 재료, 용도 등을 살펴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방한모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기후 · 풍토 등의 자연환경과 지정학적인 영향으로 보아 상고시대부터 사용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우리나라의 겨울은 한대(寒帶)에 못지않은 추위와 강한 계절풍으로 인하여 의복은 추위를 막을 수 있는 구조로 발달하였다.
우리가 알고 있는 조선시대 난모(暖帽, 煖帽)에 대한 문헌기록은 태종실록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방한모는 대부분 머리 위쪽이 트여있는 형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겹으로 만들거나 안에 모피를 대어 사용했다. 조선초기의 문헌기록을 보면 관리들의 방한모에 쓰인 모피를 계급별로 정하기도 하여, 재료에 따라 귀천(貴賤)의 구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들어서면서부터 비교적 계급에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방한모가 사용되었다.
방한모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남녀노소 널리 착용하게 되면서 방한모의 수요도 함께 늘어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방한모의 제작과 판매를 둘러싸고 수공업자[匠人]와 상인간의 이권다툼은 잦은 소송으로 이어졌으며, 중국으로부터 방한모가 비싼값으로 수입되는 폐단이 생겨나게 되었다.
방한모를 남성용, 여성용, 남녀공용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특징과 착용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남성용 방한모에는 만선두리(滿縇頭里)와 휘항(揮項)이 있다. 만선두리는 무신(武臣)들이 공복에 착용했던 것으로, 모휘항(毛揮項)의 앞과 뒤 그리고 바깥쪽 가장자리를 초미(貂尾)로 선을 두른 것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휘항은 검은 공단에 모피를 넣어 만든 것으로 머리 위는 뚫려 있고, 쓰면 어깨까지 내려와 머리둘레와 양 볼은 물론 어깨까지 따뜻하도록 만들어진 방한모이다. 영조 50년(1774)에는 여자도 휘항을 썼다는 기록이 있어 남자들의 방한모로 알려진 것과 달리 남녀가 엄격한 구분을 두어 사용한 것은 아니었다.
여성용 방한모에는 아얌과 조바위가 있다. 아얌은 원래 조선시대 남자의 방한모이던 이엄(耳掩)에서 유래한 것으로 조선 말기에는 여성용 방한모로 변화되어 착용하면서 아얌이라 불렀다. 외출 시에 방한과 함께 장식적인 목적으로 일반 서민부녀자들과 젊은층에서 애용하였으며, 예장을 갖추지 못하였을 때는 이것으로 대신하기도 하였다.
조바위는 조선 말기에 생겨난 여성용 방한모로, 일반적인 형태는 빰에 닿는 부분을 동그랗게 하여 귀를 완전히 덮게 하고, 바람이 들어가지 않도록 가장자리가 오그라져 있어 방한의 구실을 한다. 또한 개화기에 반가 부녀자들이 예장을 갖추지 못하였을 때 이것으로 대신하기도 하여 의례적인 용도로 쓰이기도 하였다. 조바위는 쪽찐머리에 적합한 형태로 19세기말 여자들의 쪽찐머리가 일반화 되면서 쓰이기 시작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맞물려 개화기에 서양문물의 유입과 함께 여성들의 활동이 보편화 되고 활동성 있는 의복이 도입되면서, 아얌보다는 좀 더 간편한 형태인 조바위가 여성들의 방한모로 널리 사용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남녀 구별 없이 착용하던 방한모에는 남바위, 풍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tudy on the Winter Cap in Joseon Dynasty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shapes,
materials and uses of the winter cap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ccording to sex and social status. It is not certain when the winter caps were used from in Korea, but it seems that ...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성희
학위수여기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의류직물학과
발행연도 2007
총페이지 xii, 85 p.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0909341&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