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유색보리의 Phenolic Compounds와 Anthocyanins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henolic Compounds and Anthocyanins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in colored Barley Germplasm원문보기
한글초록:최근 인공 합성 색소의 안전성 문제와 건강 및 기능성 식품의 선호도가 증가함에 따라 작물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색소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어 보리 유전자원 중에서 종피 및 과피색에 색소가 포함된 유색 쌀보리 28점, 겉보리 100점과 겉보리 16품종을 재료로 하여 색에 따라 분류하고, phenolic compounds 함량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항산화 능력과 관계있는 자유라디컬 소거 능력을 측정하였다.1. 유색 쌀보리는 자색 7점, 청색 2점, 갈색 19점, 겉보리는 자색 3점, 갈색 1 22, 갈색 2 38, 갈색 3 37점으로 8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2. 총 평균 phenolic compounds 함량은 쌀보리 그룹이 겉보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 중에서 쌀보리 청색 그룹의 함량이 311.66 μg/g으로 가장 높았고, 겉보리 갈색 1 그룹은 192.65 μg/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3. Chlorogenic acid와 myricetin이 phenolic acids와 flavonoids에서 각각 가장 높은 함량을 가진 성분이었고, 이 함량은 DPPH 자유라디컬 소거 능력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4. 겉보리 갈색 그룹에서는 종실의 색이 어두워질수록 총 phenolic compounds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역시 DPPH 자유라디컬 소거 능력과 정의 상관 (r = 0.931)을 나타내었다.5. 유색보리 색소 추출물을 비색계로 ...
한글초록:최근 인공 합성 색소의 안전성 문제와 건강 및 기능성 식품의 선호도가 증가함에 따라 작물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색소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어 보리 유전자원 중에서 종피 및 과피색에 색소가 포함된 유색 쌀보리 28점, 겉보리 100점과 겉보리 16품종을 재료로 하여 색에 따라 분류하고, phenolic compounds 함량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항산화 능력과 관계있는 자유라디컬 소거 능력을 측정하였다.1. 유색 쌀보리는 자색 7점, 청색 2점, 갈색 19점, 겉보리는 자색 3점, 갈색 1 22, 갈색 2 38, 갈색 3 37점으로 8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2. 총 평균 phenolic compounds 함량은 쌀보리 그룹이 겉보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 중에서 쌀보리 청색 그룹의 함량이 311.66 μg/g으로 가장 높았고, 겉보리 갈색 1 그룹은 192.65 μg/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3. Chlorogenic acid와 myricetin이 phenolic acids와 flavonoids에서 각각 가장 높은 함량을 가진 성분이었고, 이 함량은 DPPH 자유라디컬 소거 능력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4. 겉보리 갈색 그룹에서는 종실의 색이 어두워질수록 총 phenolic compounds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역시 DPPH 자유라디컬 소거 능력과 정의 상관 (r = 0.931)을 나타내었다.5. 유색보리 색소 추출물을 비색계로 scanning 한 결과 520nm 부근에서 최대 흡광계수를 보였고, 비색계와 HPLC로 anthocyanins 함량을 검정한 결과 정의 상관 (r = 0.936)을 나타내었다.6. 유색보리의 그룹별 평균 총 안토시아닌 함량이 자색 그룹에서는 60.22 μg/g, 갈색 그룹에서 18.56 μg/g으로 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자색 그룹은 delphinidin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청색과 갈색 그룹은 peonidin-3-glucosid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7. DPPH 자유라디컬 소거 능력은 평균적으로 쌀보리 그룹은 66.5 %, 겉보리 그룹은 66.5 %의 활성을 나타냈으며, 쌀보리 청색 그룹 (68.5 %)이 가장 높고 겉보리 자색 그룹 (63.5 %)이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다. 8. DPPH 자유라디컬 소거 능력은 남향보리가 86.4 %로 가장 높고, C-057이 46.4%로 가장 낮았고, 쌀보리 그룹에서는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자색그룹 (67.4 %)에서 갈색그룹 (63.5 %)보다 높은 저해 능력을 보였다영문초록: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classification, phenolic compounds and anthocyanins concentration, and relationship with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144 varieties and lines of colored barley. They were grouped into 8 by colormeter; purple, yellow, brown 1, 2, and 3 group in hulled barley and purple, blue, and brown group in naked barley lines. The total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varied from 161.78 to 588.12 μg/g. The total averag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 the naked barley groups (268.58 μg/g) was higher than the hulled barley (211.34 μg/g). Among the detected phenolic compounds, chlorogenic acid and myricetin were highest components in the colored barley. In contrast, m-coumaric acid, trans-cinnamic acid, naringenin, hesperetin, formonetin, and biochanin A were not detected. The colored barley was extracted with 80 % MeOH - 0.1 % HCl for 24 h at 4 ℃. The extracts determined pigment constitution using by UV-Vis spectrophotometer and HPLC. Maximum absorbance wavelength was near 520 nm. The total content of anthocyanins varied from 5.37 to 153.93 μg/g. The purple group barley (60.22 μg/g) contained higher content of total average anthocyanins comparing to the brown group (18.56 μg/g). The most common anthocyanin in purple and blue barley group was delphinidin, having 19.06 μg/g. And peonidin-3-glucoside was most abundant constituent in the blue and brown group. On the other hand, petunidin showed a low concentration in the colored barley. Peonidin and malvidin were not detected. In the colored barle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varied from 46.4 to 86.4 %. The average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the naked barley groups were 66.5 %, hulled barley groups were 64.1%. The highest activity was found in Namhyang (86.4 %) and the lowest was C-057 (46.4 %). In the naked barley, the purple groups contained higher total average content of anthocyanins an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those of groups
한글초록:최근 인공 합성 색소의 안전성 문제와 건강 및 기능성 식품의 선호도가 증가함에 따라 작물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색소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어 보리 유전자원 중에서 종피 및 과피색에 색소가 포함된 유색 쌀보리 28점, 겉보리 100점과 겉보리 16품종을 재료로 하여 색에 따라 분류하고, phenolic compounds 함량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항산화 능력과 관계있는 자유라디컬 소거 능력을 측정하였다.1. 유색 쌀보리는 자색 7점, 청색 2점, 갈색 19점, 겉보리는 자색 3점, 갈색 1 22, 갈색 2 38, 갈색 3 37점으로 8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2. 총 평균 phenolic compounds 함량은 쌀보리 그룹이 겉보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 중에서 쌀보리 청색 그룹의 함량이 311.66 μg/g으로 가장 높았고, 겉보리 갈색 1 그룹은 192.65 μg/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3. Chlorogenic acid와 myricetin이 phenolic acids와 flavonoids에서 각각 가장 높은 함량을 가진 성분이었고, 이 함량은 DPPH 자유라디컬 소거 능력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4. 겉보리 갈색 그룹에서는 종실의 색이 어두워질수록 총 phenolic compounds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역시 DPPH 자유라디컬 소거 능력과 정의 상관 (r = 0.931)을 나타내었다.5. 유색보리 색소 추출물을 비색계로 scanning 한 결과 520nm 부근에서 최대 흡광계수를 보였고, 비색계와 HPLC로 anthocyanins 함량을 검정한 결과 정의 상관 (r = 0.936)을 나타내었다.6. 유색보리의 그룹별 평균 총 안토시아닌 함량이 자색 그룹에서는 60.22 μg/g, 갈색 그룹에서 18.56 μg/g으로 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자색 그룹은 delphinidin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청색과 갈색 그룹은 peonidin-3-glucosid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7. DPPH 자유라디컬 소거 능력은 평균적으로 쌀보리 그룹은 66.5 %, 겉보리 그룹은 66.5 %의 활성을 나타냈으며, 쌀보리 청색 그룹 (68.5 %)이 가장 높고 겉보리 자색 그룹 (63.5 %)이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다. 8. DPPH 자유라디컬 소거 능력은 남향보리가 86.4 %로 가장 높고, C-057이 46.4%로 가장 낮았고, 쌀보리 그룹에서는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자색그룹 (67.4 %)에서 갈색그룹 (63.5 %)보다 높은 저해 능력을 보였다영문초록: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classification, phenolic compounds and anthocyanins concentration, and relationship with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144 varieties and lines of colored barley. They were grouped into 8 by colormeter; purple, yellow, brown 1, 2, and 3 group in hulled barley and purple, blue, and brown group in naked barley lines. The total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varied from 161.78 to 588.12 μg/g. The total averag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 the naked barley groups (268.58 μg/g) was higher than the hulled barley (211.34 μg/g). Among the detected phenolic compounds, chlorogenic acid and myricetin were highest components in the colored barley. In contrast, m-coumaric acid, trans-cinnamic acid, naringenin, hesperetin, formonetin, and biochanin A were not detected. The colored barley was extracted with 80 % MeOH - 0.1 % HCl for 24 h at 4 ℃. The extracts determined pigment constitution using by UV-Vis spectrophotometer and HPLC. Maximum absorbance wavelength was near 520 nm. The total content of anthocyanins varied from 5.37 to 153.93 μg/g. The purple group barley (60.22 μg/g) contained higher content of total average anthocyanins comparing to the brown group (18.56 μg/g). The most common anthocyanin in purple and blue barley group was delphinidin, having 19.06 μg/g. And peonidin-3-glucoside was most abundant constituent in the blue and brown group. On the other hand, petunidin showed a low concentration in the colored barley. Peonidin and malvidin were not detected. In the colored barle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varied from 46.4 to 86.4 %. The average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the naked barley groups were 66.5 %, hulled barley groups were 64.1%. The highest activity was found in Namhyang (86.4 %) and the lowest was C-057 (46.4 %). In the naked barley, the purple groups contained higher total average content of anthocyanins an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those of group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