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내외통제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휴대폰의 과다사용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nal-External Control, Academic Self-Efficacy, Overuse of Mobile Phone and Academic Achievement원문보기
휴대폰은 청소년들의 자기표현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유용한 도구이며, 지속적인 제품개발로 인해 점점 다기능, 고성능화 되어 감으로써 청소년들에게 필수품의 단계를 넘어 중독을 일으키는 매체가 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사이에 휴대폰은 이제 단순한 통신기기가 아닌, 자신만의 세계를 구성하고 또래집단간의 유대성을 강화하는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휴대폰이 청소년의 필수품이 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점을 예상할 수 있다. 휴대전화를 구입하고 유지하기 위해 원조교제나 금품 강탈, 절도등의 휴대폰으로 인한 여러 가지 부정적인 현상이 이미 일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폰이 청소년에게 미칠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문제의 심각성에 비해 아직까지 휴대폰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폰 과다사용과 ...
휴대폰은 청소년들의 자기표현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유용한 도구이며, 지속적인 제품개발로 인해 점점 다기능, 고성능화 되어 감으로써 청소년들에게 필수품의 단계를 넘어 중독을 일으키는 매체가 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사이에 휴대폰은 이제 단순한 통신기기가 아닌, 자신만의 세계를 구성하고 또래집단간의 유대성을 강화하는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휴대폰이 청소년의 필수품이 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점을 예상할 수 있다. 휴대전화를 구입하고 유지하기 위해 원조교제나 금품 강탈, 절도등의 휴대폰으로 인한 여러 가지 부정적인 현상이 이미 일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폰이 청소년에게 미칠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문제의 심각성에 비해 아직까지 휴대폰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폰 과다사용과 내외통제성,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본 연구자가 재직하는 경남 마산지역의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휴대폰 과다사용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 내외통제성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학생들의 학교 성적을 통계처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외 통제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서는 성별에 따른 내외 통제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휴대전화 과다사용 집단에 비해 비과다사용 집단의 내외통제성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남자가 여자에 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휴대전화 과다 사용여부에 따라서는 휴대전화 비과다 사용집단이 과다사용집단에 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고등학생들의 휴대전화 과다사용 정도를 조사한 결과, 휴대폰을 소지한 학생들의 과다사용점수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와 여자의 휴대전화 과다사용 정도가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강박적 금단현상과 사용통제의 어려움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과다사용 정도를 보였으나, 의존적 성향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휴대폰 사용기간도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휴대폰 사용기간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휴대전화의 사용이 6개월 미만인 집단은 휴대전화 과다사용 정도가 1년 이상인 집단에 비해 낮았으며, 그 외에 1년 이상 사용한 집단의 휴대전화 과다사용 정도는 차이가 없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학업성취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서는 휴대전화의 비과다 사용집단이 과다사용집단에 비해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휴대폰 사용기간은 휴대폰 과다사용과 정적인 상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휴대폰 과다사용은 학업적 자기 효능감, 내외통제성, 학업성취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휴대전화 과다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휴대전화 사용기간이 정적인 영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휴대전화 사용기간이 길수록 휴대전화 과다사용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고, 그 외 변인들은 휴대전화 과다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학업성취에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인만이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휴대폰 과다사용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은 청소년들의 자기표현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유용한 도구이며, 지속적인 제품개발로 인해 점점 다기능, 고성능화 되어 감으로써 청소년들에게 필수품의 단계를 넘어 중독을 일으키는 매체가 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사이에 휴대폰은 이제 단순한 통신기기가 아닌, 자신만의 세계를 구성하고 또래집단간의 유대성을 강화하는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휴대폰이 청소년의 필수품이 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점을 예상할 수 있다. 휴대전화를 구입하고 유지하기 위해 원조교제나 금품 강탈, 절도등의 휴대폰으로 인한 여러 가지 부정적인 현상이 이미 일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폰이 청소년에게 미칠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문제의 심각성에 비해 아직까지 휴대폰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폰 과다사용과 내외통제성,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본 연구자가 재직하는 경남 마산지역의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휴대폰 과다사용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 내외통제성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학생들의 학교 성적을 통계처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외 통제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서는 성별에 따른 내외 통제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휴대전화 과다사용 집단에 비해 비과다사용 집단의 내외통제성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남자가 여자에 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휴대전화 과다 사용여부에 따라서는 휴대전화 비과다 사용집단이 과다사용집단에 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고등학생들의 휴대전화 과다사용 정도를 조사한 결과, 휴대폰을 소지한 학생들의 과다사용점수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와 여자의 휴대전화 과다사용 정도가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강박적 금단현상과 사용통제의 어려움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과다사용 정도를 보였으나, 의존적 성향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휴대폰 사용기간도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휴대폰 사용기간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휴대전화의 사용이 6개월 미만인 집단은 휴대전화 과다사용 정도가 1년 이상인 집단에 비해 낮았으며, 그 외에 1년 이상 사용한 집단의 휴대전화 과다사용 정도는 차이가 없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학업성취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서는 휴대전화의 비과다 사용집단이 과다사용집단에 비해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휴대폰 사용기간은 휴대폰 과다사용과 정적인 상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휴대폰 과다사용은 학업적 자기 효능감, 내외통제성, 학업성취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휴대전화 과다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휴대전화 사용기간이 정적인 영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휴대전화 사용기간이 길수록 휴대전화 과다사용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고, 그 외 변인들은 휴대전화 과다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학업성취에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인만이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휴대폰 과다사용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ed to determine possible associations between teenage group's abuse of mobile phone and their own attributes such as internal/ external controllability, sense of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sake, the 3rd grade students of a high school in the urban area of Masan...
This study intended to determine possible associations between teenage group's abuse of mobile phone and their own attributes such as internal/ external controllability, sense of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sake, the 3rd grade students of a high school in the urban area of Masan, Gyeongnam province, which I work at, were asked to join a test for abuse of mobile phone, sens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inner /outer controllability. In additio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were used for statistical data process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survey about their internal/external controllability showed that there was not any difference in controllability depending on sex. But compared to the group of mobile abuse, control group had some -what higher inner/outer controllability. Notably, it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had a higher sense of academic self-efficacy than female ones. Depending on whether they use mobile phone excessively, it was noted that control group had a higher sense of academic self-efficacy than the group of mobile abuse. The findings of survey about how much high school students rely on mobile phone excessively showed that the students having mobile phone scored very low points in mobile abuse generally, and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ent of mobile abus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erms of obsessive withdrawal symptom and difficulty in the control of using mobile phone,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extent of mobile abuse than male ones, while male students had a higher tendency to rely on mobile phone than female ones. The findings of survey on the effectiveness i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showed that control group had higher achievements than the group of mobile abuse. Second, it was found that period of using mobile phone had positive associations with excessive use of mobile phone, while mobile abuse had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sense of academic self-efficacy, internal/ external controll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s. Third, it was noted that the period of using mobile phone was a factor having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s on mobile abuse, which indicates that the longer period of using mobile phone leads to the higher extent of mobile abuse. But other factors didn't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the abuse of mobile phone. Moreover, it was found that only sense of academic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while mobile abuse didn't have such effect.
This study intended to determine possible associations between teenage group's abuse of mobile phone and their own attributes such as internal/ external controllability, sense of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sake, the 3rd grade students of a high school in the urban area of Masan, Gyeongnam province, which I work at, were asked to join a test for abuse of mobile phone, sens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inner /outer controllability. In additio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were used for statistical data process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survey about their internal/external controllability showed that there was not any difference in controllability depending on sex. But compared to the group of mobile abuse, control group had some -what higher inner/outer controllability. Notably, it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had a higher sense of academic self-efficacy than female ones. Depending on whether they use mobile phone excessively, it was noted that control group had a higher sense of academic self-efficacy than the group of mobile abuse. The findings of survey about how much high school students rely on mobile phone excessively showed that the students having mobile phone scored very low points in mobile abuse generally, and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ent of mobile abus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erms of obsessive withdrawal symptom and difficulty in the control of using mobile phone,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extent of mobile abuse than male ones, while male students had a higher tendency to rely on mobile phone than female ones. The findings of survey on the effectiveness i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showed that control group had higher achievements than the group of mobile abuse. Second, it was found that period of using mobile phone had positive associations with excessive use of mobile phone, while mobile abuse had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sense of academic self-efficacy, internal/ external controll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s. Third, it was noted that the period of using mobile phone was a factor having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s on mobile abuse, which indicates that the longer period of using mobile phone leads to the higher extent of mobile abuse. But other factors didn't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the abuse of mobile phone. Moreover, it was found that only sense of academic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while mobile abuse didn't have such effec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