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共同體的 敎會論의 觀點에서 본 셀 敎會와 셀 리더십 硏究
Cell church and cell leadership from the view of community church 원문보기


심민수 (總神大學校 牧會神學專門大學院 교회성장학 전공 국내박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셀 운동은 전 세계적인 움직임으로 확산되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하나의 움직임이 거대한 운동으로 승화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방법론적인 향상을 통해서가 아니라 원천이 될 만한 동기부여와 원초적 필요가 그 근본에 토대를 이루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셀 교회에 대한 실천신학적 연구의 필요성은 중요한 의미를 차지한다. 차제에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교회의 본질이 공동체성에 있다는 점과 공동체적 교회야말로 교회의 본질을 가장 잘 보존할 수 있다는 점을 역사적 성경적 신학적 차원에서 논의하면서, 이러한 논의와 관련하여 공동체 교회의 한 형태로서 셀 교회의 공동체성을 실천신학적인 면에서 논구하고 실증적으로 입증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기존의 전통적인 교회들에서 나타나는 공동체성 상실의 근본 원인이 제도주의적 구조와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교권적 성직논리로 보고 그 대안으로서 셀 리더십을 제시하면서 여기에 따른 성경적 신학적 논의와 실증적 연구를 통해 그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상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의 연구 과제들을 선정하였다. 과제 1 : 공동체 교회가 역사적으로 어떤 모습과 양태를 취하였는가? 과제 2 : 공동체 교회의 성경적 신학적 원리는 무엇인가? 과제 3 : 현대의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 교회들의 강점과 약점은 무엇인가? 과제 4 : 새로운 역동적 공동체로서의 셀 교회의 구조와 원리는 무엇인가? 과제 5 : 셀 전환을 위한 쇄신의 과정과 전략들은 무엇인가? 과제 6 : 셀 리더십의 필요성과 탁월성은 무엇인가? 과제 7 : 셀 교회의 교회적 기능이 공동체성을 확보시켜 주는가? 본 연구는 제2장에서 교회 성장과 쇠퇴의 원인을 살폈다. 호지(Dean R.Hoge)와 루젠(David A. Roozen)의 「교회의 성장과 쇠퇴 이해 : 1950- 1978」Understanding Church Growth & Decline : 1950-1978 라고 하는 연구 논문집은 미국 교회의 성장과 쇠퇴에 관한 다양한 종교사회학적 자료들을 편집하여 제시해 주고 있다. 이 자료는 미국 교회 역사 중에 일정한 기간 즉, 1950년에서 1978년까지 30년이 채 안 되는 기간을 연구하였는데 이 기간은 미국의 교회 성장과 쇠퇴가 극명하게 드러나는 상황을 보여준다. 이것은 한국 교회의 지난 30년간(1960-1990)의 성장과 둔화의 원인에도 그대로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 가장 근본적이고 포괄적인 교회 쇠퇴 혹은 둔화의 원인을 공동체성의 상실로 보았다. 제3장에서는 본 논문의 토대가 되는 관심사인 공동체적 교회론의 역사적 기초를 확인하였다. 하나님의 백성의 현실 존재론적 특성은 크게 두 가지 모습으로 성경적 사건 혹은 역사적 사건으로 시간 속에서 그 모습을 드러내었다. 그 하나는 교권적 제도적 조직 중심의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신앙고백적 공동체 중심의 형태이다. 이 두 형태는 구약과 신약 그리고 2000년의 교회의 장구한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는 모습으로 이어져 왔다. 따라서 3장에서는 교회의 현존성이 공동체적이라는 점을 성경적 역사적 무대를 검토하는 가운데 확인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공동체 운동은 초대 교회 이후 교회가 제도주의에 몰입되는 것에 저항하여 역사의 모든 시간에 지속적으로 일어났던 운동이다. 둘째, 공동체 운동은 교회의 본질인 ‘성도의 교통’을 회복하고 철저한 제자도를 실천하기 위한 실천적 운동이었다. 셋째, 공동체 운동은 제도주의와 관료주의(성직주의)에 의해 가려지고 소실된 평신도들의 본연의 역할과 소임을 회복시키고 재발견 시킨 회복 운동이다. 넷째, 대부분의 기독교 공동체들은 세속 사회와는 뚜렷이 구별된 헌신과 거룩한 삶을 보였다. 다섯째, 많은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공동체 생활 혹은 공동체적 삶을 추구함으로써 성도 안에서 나눔과 섬김의 삶을 실천하였다. 여섯째, 기독교 공동체들은 대체로 단순하면서도 실제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일곱째, 대부분의 공동체들은 깊은 영성을 유지함으로써 기독교 본질의 영적 보고가 되었다. 여덟째, 기독교 공동체 운동은 일종의 갱신 운동으로서 제도권 안팎에서 일어났다. 아홉째, 제도권 밖의 여러 공동체 운동들은 역사적으로 지금까지 명맥을 유지하는 경우들이 있다. 이것은 제도권 밖의 공동체 운동이 나름의 정체성을 유지하는데 더 유력함을 어느 정도 시사해 준다. 열째, 기독교 공동체 운동의 주요 관심은 ‘진정한 교회의 본질 회복’이었다. 제4장에서는 공동체적 교회론의 성경적 신학적 원리들과 현대의 대안적인 공동체 교회에 대해 논구하였다. 교회는 본질적으로 공동체이며, 또 공동체성이 교회의 본질을 가장 잘 보존할 수 있는 성경적 모델이라고 하는 것을 성경과 실천 신학적 접근을 통해 확인하였다. 우선 성경적이 보여 주는 공동체적 양상에 대해서는 크게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즉,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가르침은 공동체의 정체성을 확보해 준다. ‘그리스도의 몸’이라고 하는 교훈은 공동체의 연합성과 지체의식을, 그리고 ‘성령의 전’이라고 하는 가르침은 공동체의 코이노니아(κοίνωνία)를 입증해 준다. 이러한 교훈은 성경의 자명한 증거 속에서 확보 가능한 공동체적 근거들이다. 뿐만 아니라 성경은 공동체로서의 교회가 지닌 신학적 원리들을 다방면에서 점검케 한다. 교회가 진정한 공동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다음의 필수적 요소가 있다. 성도의 교통, 이것은 공동체 안에서 성도들의 삶의 기본적인 토대가 된다. 평신도의 사역 신학, 이것은 제도권의 교회들이 상실하고 있었던 최대의 사역원리이다. 예배와 섬김의 공동체 양상, 이것은 공동체가 보여주어야 할 하나님과의 수직적인 관계와 사람들 사이의 수평적인 관계를 드러낸다. 은사중심의 구조, 이것은 공동체가 어떤 원초적 자발성을 지녀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원리이다. 또한 제도주의화를 거절해야할 강력한 근거가 된다. 철저한 제자도의 실천, 이것은 교회가 세상과 다른 공동체임을 입증하며 공동체성을 강화하는 데 필요한 가장 강력한 실천적 원리이다. 한편 4장에서는 대안적 공동체의 모델로서 현대에 영향을 나타내고 있는 여러 공동체 교회와 모임에 대해 살펴보면서 이런 공동체 교회들이 갖는 강점과 약점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그 강점으로는 첫째, 공동체는 그리스도인 생활의 정체성을 강력하게 드러낼 수 있다는 점 둘째, 공동체 생활은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성도간의 나눔과 섬김의 삶을 구현하는 데 가장 적절하다는 점 셋째, 공동체 교회는 제도주의가 가져오는 유기체의 화석화 혹은 경직성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 넷째, 공동체적 유형은 교회적 기능을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점 등이다. 그 밖에 공동체 교회 속에서 나타나는 약점은 다음의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폐쇄적 정체성의 문제, 지도자의 독단(교만)과 주관주의가 가져오는 공동체의 편향성의 문제, 시대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문제, 역사의식의 결여 문제 등이다. 제5장에서는 공동체 교회로서의 셀 교회가 지닌 본질적 특성과 구조적 기능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셀 전환을 주제로 다루었다. 논의 결과 셀 교회는 소그룹을 중심으로 하면서도 단순히 소그룹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그룹과 이 두 그룹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함께 작동되는 구조라고 하는 것이다. 또한 기초 공동체로서의 셀 교회의 공동체적 특징과 사역 원리를 몇 가지로 정리하면, 첫째, 셀은 그 자체로 하나의 교회라는 것이다. 둘째, 셀 안에서 모든 멤버들은 각자 받은 영적인 은사들을 활용하여 상호 의존한다. 셋째, 각 셀은 셀들의 필요에 따라 서로를 위해 봉사하고 대그룹 집회를 통해 같은 비전, 같은 소망을 얻음으로 일체감과 연합됨을 확인한다. 넷째, 셀 안의 교회적 기능은 셀 교회가 공동체성을 충실히 확보하게 한다. 이러한 셀 교회의 사역적 특징은 공동체적 교회론의 공동체의 본질과 특성을 그대로 재현하면서 다음의 강점을 나타낸다. ① 유연성을 지니고 있다 ② 유동성이 있다 ③ 포괄적이다 ④ 인격적이다 ⑤ 분할에 의해 성장할 수 있다 ⑥ 전도의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도 있다 ⑦ 최소한의 전문적인 지도력을 필요로 한다 ⑧ 그것은 제도적 교회에도 적응 가능하다는 점 등의 강점이 있다. 이런 점에서 셀 교회는 제도주의적 교회의 약점을 보완하면서도 공동체적 교회의 강점을 보존할 수 있는 새 시대의 부대라 할 수 있다. 셀 교회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먼저 쇄신의 과정이 필요하고 구체적인 전환 전략이 준비되어야 한다. 쇄신의 과정은 관념적 차원에서 비전 제시와 교회의 본질에 대한 의식이 쇄신되어야 하고 인력적 차원에서 제자 훈련을 통한 셀 리더의 배출이 이루어져야 하며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ay the cell church movement spreads out throughout the whole world. 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in order for a movement to develop into a giant movement not through methodological progress but through the motivation and fundamental need worth the source should be the foundation. In this respec...

주제어

#공동체 교회론 리더십 

학위논문 정보

저자 심민수
학위수여기관 總神大學校 牧會神學專門大學院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교회성장학 전공
발행연도 2007
총페이지 276p.
키워드 공동체 교회론 리더십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1017873&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