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현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 이지만 아직도‘현대미술’ ‘현대음악’ ‘현대무용’이라는 단어들과는 왠지 어렵고 멀게만 느껴진다. 우리가 살아나가는 기본적인 바탕의 대부분은 학교 교육으로 만들어 지는 것인 만큼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도 슬기롭게 적응해 나아갈 수 있는 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하루가 다르고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서 최근의 미술교육의 경향은 기존의 표현기능 중심학습으로 인해서 소홀이 다루어졌던 미술 이해교육과 미술 감상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이제까지의 우리나라 미술교육과정은 창의적 미술활동을 통한 자연적인 성장을 주요...
우리는 현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 이지만 아직도‘현대미술’ ‘현대음악’ ‘현대무용’이라는 단어들과는 왠지 어렵고 멀게만 느껴진다. 우리가 살아나가는 기본적인 바탕의 대부분은 학교 교육으로 만들어 지는 것인 만큼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도 슬기롭게 적응해 나아갈 수 있는 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하루가 다르고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서 최근의 미술교육의 경향은 기존의 표현기능 중심학습으로 인해서 소홀이 다루어졌던 미술 이해교육과 미술 감상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이제까지의 우리나라 미술교육과정은 창의적 미술활동을 통한 자연적인 성장을 주요로 하고 있는 창의성 중심의 미술교육과정이 지배적 이었으나, 점차 미술을 하나의 기술로 여기는 미술표현의 무목적성과 교사의 미술교육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로 인한 방임적인 수업방식의 문제점 등이 단점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래서 변화하는 교육제도에 맞추어 우리나라에서도 체계적인 미술수업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는 DBAE 이론을 제6차 7차 미술 교육과정에서 본격적으로 도입하게 되었다. DBAE 이론은 우리나라 미술교육에서 전인적인 인간양성에 목표를 두고 체계적인 미술의 통합적 지식과 미적안목을 길러 미술에 대한 이해와 감상교육을 강화하여 미술교과의 인식을 확립시키는 계기를 마련한 반면에 한편으로는 학문중심 미술교육과 같이 미술에 대한 지식전달에 중점을 두어 미술수업이 암기식 수업 또는 주입식 지식전달의 수업형태가 될 우려가 생기기도 하였다. 그리고 DBAE를 실행하는 현실적인 문제에서 구체적인 교육과정 프로그램과 교사의 능력, 지도방법의 제시가 아직 미흡하다는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그러므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와 학교 현장의 교육현실에 맞추어 지속적인 연구와 적극적인 노력으로 우리정서에 알맞은 교육과정으로 발전시키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문중심교육사상인 DBAE의 기본적인 모델의 바탕이 되었고 현행 미술교육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엘리어트 아이스너(E. W. Eisner 1933~)의 미술교육 사상을 이해하고, DBAE의 구체적인 특징과 요소를 알아보면서 우리나라에서 실행되어지는 실태와 장, 단점 들을 연구함으로써 앞으로 DBAE가 우리나라 미술교육에서 더욱 발전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이상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나아가 다가올 변화에 맞추어 새롭게 수용하게 될 또 다른 교육과정에 대한 진지한 자세를 기르고자 한다.
우리는 현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 이지만 아직도‘현대미술’ ‘현대음악’ ‘현대무용’이라는 단어들과는 왠지 어렵고 멀게만 느껴진다. 우리가 살아나가는 기본적인 바탕의 대부분은 학교 교육으로 만들어 지는 것인 만큼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도 슬기롭게 적응해 나아갈 수 있는 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하루가 다르고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서 최근의 미술교육의 경향은 기존의 표현기능 중심학습으로 인해서 소홀이 다루어졌던 미술 이해교육과 미술 감상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이제까지의 우리나라 미술교육과정은 창의적 미술활동을 통한 자연적인 성장을 주요로 하고 있는 창의성 중심의 미술교육과정이 지배적 이었으나, 점차 미술을 하나의 기술로 여기는 미술표현의 무목적성과 교사의 미술교육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로 인한 방임적인 수업방식의 문제점 등이 단점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래서 변화하는 교육제도에 맞추어 우리나라에서도 체계적인 미술수업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는 DBAE 이론을 제6차 7차 미술 교육과정에서 본격적으로 도입하게 되었다. DBAE 이론은 우리나라 미술교육에서 전인적인 인간양성에 목표를 두고 체계적인 미술의 통합적 지식과 미적안목을 길러 미술에 대한 이해와 감상교육을 강화하여 미술교과의 인식을 확립시키는 계기를 마련한 반면에 한편으로는 학문중심 미술교육과 같이 미술에 대한 지식전달에 중점을 두어 미술수업이 암기식 수업 또는 주입식 지식전달의 수업형태가 될 우려가 생기기도 하였다. 그리고 DBAE를 실행하는 현실적인 문제에서 구체적인 교육과정 프로그램과 교사의 능력, 지도방법의 제시가 아직 미흡하다는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그러므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와 학교 현장의 교육현실에 맞추어 지속적인 연구와 적극적인 노력으로 우리정서에 알맞은 교육과정으로 발전시키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문중심교육사상인 DBAE의 기본적인 모델의 바탕이 되었고 현행 미술교육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엘리어트 아이스너(E. W. Eisner 1933~)의 미술교육 사상을 이해하고, DBAE의 구체적인 특징과 요소를 알아보면서 우리나라에서 실행되어지는 실태와 장, 단점 들을 연구함으로써 앞으로 DBAE가 우리나라 미술교육에서 더욱 발전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이상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나아가 다가올 변화에 맞추어 새롭게 수용하게 될 또 다른 교육과정에 대한 진지한 자세를 기르고자 한다.
Although we are living in the modern times, we are still unfamiliar with the words, ‘modern art,’ ‘modern music,’ and ‘modern dance.’ As most of basic ground on which we are living is made by school education, we need an education with which we can cope with the future wisely. In a rapidly changing ...
Although we are living in the modern times, we are still unfamiliar with the words, ‘modern art,’ ‘modern music,’ and ‘modern dance.’ As most of basic ground on which we are living is made by school education, we need an education with which we can cope with the future wisely.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day by day, the latest art education is apt to build up art understanding and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at have been neglected due to the existing expressive function-centered learning. Korean art curriculum has been focused on creativity-centered education of which key is natural growth through creative art activities, but non-objectives of artistic expression in which art is considered just as a technique, and a laissez-faire lesson type due to the teachers’ passive attitude toward art education have emerged as a demerit. Thus, fitting for the changing educational system, DBAE theory suggesting a model of systematic art lesson has been introduced in a full-scale to the sixth and seventh art curriculum in Korea. While DBAE theory prepared a motive to set up recognitionof art education, aiming at education for the whole man, training systematic and integrated knowledge and artistic judgment, building up understanding of art and appreciation education, it caused worry of being a memorizing lesson or grinding focusing on delivering knowledge of art, like a study-centered art education. In addition, the actual matters executing DBAE have problems that the presentation of specific educational program, teacher’s capability, and instruction method is still lacking. Therefore, keeping pace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actual field of education, a study to improve curriculum fitting for our emotion will be required, along with continual research and positive effort. This essay is aimed at understanding E. W. Eisner (1933~)’s thought of art education that becomes a model of DBAE, thought of education centering on study, makes a basis of current art education, learning specific property and elements of DBAE, studying on the actual state and merit and demerit of DBAE being executed in Korea, groping for an ideal plan for DBAE to achieve more improved effect in Korean art education, and keeping a serious attitude toward another curriculum that will be accepted fitting to coming change.
Although we are living in the modern times, we are still unfamiliar with the words, ‘modern art,’ ‘modern music,’ and ‘modern dance.’ As most of basic ground on which we are living is made by school education, we need an education with which we can cope with the future wisely.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day by day, the latest art education is apt to build up art understanding and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at have been neglected due to the existing expressive function-centered learning. Korean art curriculum has been focused on creativity-centered education of which key is natural growth through creative art activities, but non-objectives of artistic expression in which art is considered just as a technique, and a laissez-faire lesson type due to the teachers’ passive attitude toward art education have emerged as a demerit. Thus, fitting for the changing educational system, DBAE theory suggesting a model of systematic art lesson has been introduced in a full-scale to the sixth and seventh art curriculum in Korea. While DBAE theory prepared a motive to set up recognitionof art education, aiming at education for the whole man, training systematic and integrated knowledge and artistic judgment, building up understanding of art and appreciation education, it caused worry of being a memorizing lesson or grinding focusing on delivering knowledge of art, like a study-centered art education. In addition, the actual matters executing DBAE have problems that the presentation of specific educational program, teacher’s capability, and instruction method is still lacking. Therefore, keeping pace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actual field of education, a study to improve curriculum fitting for our emotion will be required, along with continual research and positive effort. This essay is aimed at understanding E. W. Eisner (1933~)’s thought of art education that becomes a model of DBAE, thought of education centering on study, makes a basis of current art education, learning specific property and elements of DBAE, studying on the actual state and merit and demerit of DBAE being executed in Korea, groping for an ideal plan for DBAE to achieve more improved effect in Korean art education, and keeping a serious attitude toward another curriculum that will be accepted fitting to coming change.
Keyword
#한국미술 DBAE 중등학교 미술교육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