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전통적 사상은 우리 민족의 지리적 환경, 종교, 사상 등이 작용되어 표출된 조형의지로 인간 본연의 상징적 욕구를 지니고 있다. 우리의 문화는 5000년 역사를 통하여 찬란한 문화를 자랑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백제는 우리역사상 가장 뛰어난 백제금동대향로를 창조하였다. 이러한 백제금동대향로는 당시의 사회·문화·종교는 물론 그 주변의 문화까지도 잘 조화시킨 뛰어난 상징성을 가진 조형물로 현대적 미적 요소와 신비주의적 고대성을 함께 가지고 있어 더욱 우리의 선인들의 우수한 조형감각에 자부심을 자아낸다. 본 연구는 백제금동대향로의 형태미를 통해 조형적 특징을 인식하고 문양의 구성요소들의 상징적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백제향로에 내재된 백제인들의 정신세계를 이해하여 그 조형미의 원천에 이르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문헌 기록과 고구려벽화에 보이는 백제향로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여, 그 문양의 양식적 특징과 상징적 의미가 향로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백제금동대향로와 고구려벽화와의 연관된 대표적 요소를 통하여 주제와 소재, 형식과 기법 등을 응용 연구해 표현하였다. 이런 연구로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형적 요소인 점, 선, 면을 기본적으로 응용과 향로만이 가지고 있는 유연한 곡선미의 활용으로 단순화 시키면서도 현대적 이미지에 맞는 형태를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백제금동대향로의 구도적 특징인 천상세계(天上世界), 지상세계(地上世界), 수중세계(水中世界)를 기본으로 활용하였으며 각 구도의 상징에 따라 문양의 전체적 형태나 부분적인 형태의 활용으로 전통과 현대라는 시각을 좁혀 줄 뿐만 아니라 전통에 현대성이 가미되어 새롭고 다양한 상징성을 얻을 수 있었다. 셋째, 향로의 입체적 표현방식과 공간구성이 비슷한 고구려 벽화에 쓰여진 ...
우리의 전통적 사상은 우리 민족의 지리적 환경, 종교, 사상 등이 작용되어 표출된 조형의지로 인간 본연의 상징적 욕구를 지니고 있다. 우리의 문화는 5000년 역사를 통하여 찬란한 문화를 자랑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백제는 우리역사상 가장 뛰어난 백제금동대향로를 창조하였다. 이러한 백제금동대향로는 당시의 사회·문화·종교는 물론 그 주변의 문화까지도 잘 조화시킨 뛰어난 상징성을 가진 조형물로 현대적 미적 요소와 신비주의적 고대성을 함께 가지고 있어 더욱 우리의 선인들의 우수한 조형감각에 자부심을 자아낸다. 본 연구는 백제금동대향로의 형태미를 통해 조형적 특징을 인식하고 문양의 구성요소들의 상징적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백제향로에 내재된 백제인들의 정신세계를 이해하여 그 조형미의 원천에 이르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문헌 기록과 고구려벽화에 보이는 백제향로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여, 그 문양의 양식적 특징과 상징적 의미가 향로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백제금동대향로와 고구려벽화와의 연관된 대표적 요소를 통하여 주제와 소재, 형식과 기법 등을 응용 연구해 표현하였다. 이런 연구로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형적 요소인 점, 선, 면을 기본적으로 응용과 향로만이 가지고 있는 유연한 곡선미의 활용으로 단순화 시키면서도 현대적 이미지에 맞는 형태를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백제금동대향로의 구도적 특징인 천상세계(天上世界), 지상세계(地上世界), 수중세계(水中世界)를 기본으로 활용하였으며 각 구도의 상징에 따라 문양의 전체적 형태나 부분적인 형태의 활용으로 전통과 현대라는 시각을 좁혀 줄 뿐만 아니라 전통에 현대성이 가미되어 새롭고 다양한 상징성을 얻을 수 있었다. 셋째, 향로의 입체적 표현방식과 공간구성이 비슷한 고구려 벽화에 쓰여진 오방색을 참고하여 상징적의미의 색을 추출하였다. 또한 다양한 색채의 사용으로 문양마다의 온화한 심상이 잘 수용되어 우리 고유의 아름다움과 상징적 의미를 자연스럽게 조화시킬 수 있었다. 또 한 각 구도의 상징성을 위해 사용한 폐분, 석채와 뿌리기 기법의 사용으로 시각적 효과로 인한 질감에 의한 조형언어 창출을 찾을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는 백제금동대향로의 문양속 조형성은 당대의 백제인들이 지녔던 사상과 신념을 상징적으로 표출하고 향로를 통해 내재된 생명을 부여하고자 했던 당대 백제인의 장인정신에서 원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전통이란 그 위에 서서 미래로 발전해 나가는데 의의가 있다 할 때 당대 백제인의 작가적 도전정신과 조형의지는 현대의 새로운 시각과 감동에 의해 새롭게 재창조할 수 있도록 연구에 의의를 두었다.
우리의 전통적 사상은 우리 민족의 지리적 환경, 종교, 사상 등이 작용되어 표출된 조형의지로 인간 본연의 상징적 욕구를 지니고 있다. 우리의 문화는 5000년 역사를 통하여 찬란한 문화를 자랑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백제는 우리역사상 가장 뛰어난 백제금동대향로를 창조하였다. 이러한 백제금동대향로는 당시의 사회·문화·종교는 물론 그 주변의 문화까지도 잘 조화시킨 뛰어난 상징성을 가진 조형물로 현대적 미적 요소와 신비주의적 고대성을 함께 가지고 있어 더욱 우리의 선인들의 우수한 조형감각에 자부심을 자아낸다. 본 연구는 백제금동대향로의 형태미를 통해 조형적 특징을 인식하고 문양의 구성요소들의 상징적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백제향로에 내재된 백제인들의 정신세계를 이해하여 그 조형미의 원천에 이르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문헌 기록과 고구려벽화에 보이는 백제향로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여, 그 문양의 양식적 특징과 상징적 의미가 향로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백제금동대향로와 고구려벽화와의 연관된 대표적 요소를 통하여 주제와 소재, 형식과 기법 등을 응용 연구해 표현하였다. 이런 연구로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형적 요소인 점, 선, 면을 기본적으로 응용과 향로만이 가지고 있는 유연한 곡선미의 활용으로 단순화 시키면서도 현대적 이미지에 맞는 형태를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백제금동대향로의 구도적 특징인 천상세계(天上世界), 지상세계(地上世界), 수중세계(水中世界)를 기본으로 활용하였으며 각 구도의 상징에 따라 문양의 전체적 형태나 부분적인 형태의 활용으로 전통과 현대라는 시각을 좁혀 줄 뿐만 아니라 전통에 현대성이 가미되어 새롭고 다양한 상징성을 얻을 수 있었다. 셋째, 향로의 입체적 표현방식과 공간구성이 비슷한 고구려 벽화에 쓰여진 오방색을 참고하여 상징적의미의 색을 추출하였다. 또한 다양한 색채의 사용으로 문양마다의 온화한 심상이 잘 수용되어 우리 고유의 아름다움과 상징적 의미를 자연스럽게 조화시킬 수 있었다. 또 한 각 구도의 상징성을 위해 사용한 폐분, 석채와 뿌리기 기법의 사용으로 시각적 효과로 인한 질감에 의한 조형언어 창출을 찾을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는 백제금동대향로의 문양속 조형성은 당대의 백제인들이 지녔던 사상과 신념을 상징적으로 표출하고 향로를 통해 내재된 생명을 부여하고자 했던 당대 백제인의 장인정신에서 원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전통이란 그 위에 서서 미래로 발전해 나가는데 의의가 있다 할 때 당대 백제인의 작가적 도전정신과 조형의지는 현대의 새로운 시각과 감동에 의해 새롭게 재창조할 수 있도록 연구에 의의를 두었다.
Traditionally, Korean society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nfucius customs. Nevertheless, creativity and artistic sensitivity from their life are well reflected on the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Formative commitment expressed in coordination of geographical environments, regions, and thinking...
Traditionally, Korean society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nfucius customs. Nevertheless, creativity and artistic sensitivity from their life are well reflected on the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Formative commitment expressed in coordination of geographical environments, regions, and thinking of each ethnicity has a desire for symbolism inherent in human being. Korea boasts extraordinary cultural heritages throughout its 5000-year history. In particular, the Baekjae Dynasty made Baekje Incense Burner(gilt-bronze incense burner), the most excellent creation in history of Korea. As unrivaled artistic work with outstanding symbolism harmoniously incorporating to surrounding cultures as well as society, culture, and religion of the time, the Baekje Incense Burner makes us feel far more proud of excellent plastic sense of our ancestors, showing elements of modern art and mysterious features of the ancient times together.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urposes to understand plastic characteristics in the beauty of Baekje Incense Burner and examine symbolic meanings of elements of the patterns on it, in a bid to capture the mentality of the Baekjae people implied in the Baejae incense burner and thereby find the origin of such formative beauty. To this end, the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connection between historical records in the literature and Baejae incense burners on the Goguryeo mural painting, to investigate how the formative features and symbolic meanings of the patterns are expressed in the incense burner. Next, the application of the theme and the subject, form and technique was introduced, by means of representative elements related to the Baekje Incense Burner and the Goguryeo mural painting.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on the basis of formative elements such as dot, line, and plane, unique beauty of the curves in the incense burner was able to be simplified and expressed fit for modernistic image. Secondly, having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aekje Incense Burner, the heavenly, earthly, and underwater world as the foundation, overall or sectional shapes of patterns related to respective compositional symbolism were used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traditional and modernistic viewpoints and produce new and diversified symbolism in combination of tradition and modernity. Thirdly, the five Korean cardinal colors used in the Goguryeo mural paintings similar to the Baekje Incense Burner in a cubic expression method enabled the three-dimensional work on the plane, using colors. By using various colors to reflect warm image in every pattern, our traditional beauty and symbolic meaning were naturally harmonized. In addition, for respective compositional symbolism, sludge, stone powder, and sprinkling technique were used to create a texture-based plastic language through visual effects. Given the findings as outlined above, the author found that the formative features in the patterns of the Baekje Incense Burner originated from the craftsmanship of the Baekjae people attempting to symbolically show their ideas and beliefs and give intrinsic life to the incense burner. In the sense that tradition has an implication to pave the way for the future, the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has helped pioneering spirit of the Baekjae people as an artist and their formative commitment newly re-created by modern perspectives and sensitivity.
Traditionally, Korean society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nfucius customs. Nevertheless, creativity and artistic sensitivity from their life are well reflected on the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Formative commitment expressed in coordination of geographical environments, regions, and thinking of each ethnicity has a desire for symbolism inherent in human being. Korea boasts extraordinary cultural heritages throughout its 5000-year history. In particular, the Baekjae Dynasty made Baekje Incense Burner(gilt-bronze incense burner), the most excellent creation in history of Korea. As unrivaled artistic work with outstanding symbolism harmoniously incorporating to surrounding cultures as well as society, culture, and religion of the time, the Baekje Incense Burner makes us feel far more proud of excellent plastic sense of our ancestors, showing elements of modern art and mysterious features of the ancient times together.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urposes to understand plastic characteristics in the beauty of Baekje Incense Burner and examine symbolic meanings of elements of the patterns on it, in a bid to capture the mentality of the Baekjae people implied in the Baejae incense burner and thereby find the origin of such formative beauty. To this end, the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connection between historical records in the literature and Baejae incense burners on the Goguryeo mural painting, to investigate how the formative features and symbolic meanings of the patterns are expressed in the incense burner. Next, the application of the theme and the subject, form and technique was introduced, by means of representative elements related to the Baekje Incense Burner and the Goguryeo mural painting.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on the basis of formative elements such as dot, line, and plane, unique beauty of the curves in the incense burner was able to be simplified and expressed fit for modernistic image. Secondly, having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aekje Incense Burner, the heavenly, earthly, and underwater world as the foundation, overall or sectional shapes of patterns related to respective compositional symbolism were used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traditional and modernistic viewpoints and produce new and diversified symbolism in combination of tradition and modernity. Thirdly, the five Korean cardinal colors used in the Goguryeo mural paintings similar to the Baekje Incense Burner in a cubic expression method enabled the three-dimensional work on the plane, using colors. By using various colors to reflect warm image in every pattern, our traditional beauty and symbolic meaning were naturally harmonized. In addition, for respective compositional symbolism, sludge, stone powder, and sprinkling technique were used to create a texture-based plastic language through visual effects. Given the findings as outlined above, the author found that the formative features in the patterns of the Baekje Incense Burner originated from the craftsmanship of the Baekjae people attempting to symbolically show their ideas and beliefs and give intrinsic life to the incense burner. In the sense that tradition has an implication to pave the way for the future, the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has helped pioneering spirit of the Baekjae people as an artist and their formative commitment newly re-created by modern perspectives and sensitiv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