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련과 홍련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잎과 뿌리로 각각 구분한 후 화학성분, 항산화활성(DPPH radical 소거활성, 환원력, 자동산화 억제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활성) 및 항암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백련과 홍련 잎과 뿌리의 ...
백련과 홍련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잎과 뿌리로 각각 구분한 후 화학성분, 항산화활성(DPPH radical 소거활성, 환원력, 자동산화 억제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활성) 및 항암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백련과 홍련 잎과 뿌리의 가용성 무질소물 함량은 각각 53.15±2.12%, 14.84±2.36%, 55.79±3.84 및 19.22±3.2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단백 및 조섬유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백련잎과 홍련잎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각각 K(1,427.72±84.23과 1,516.34 mg/100 g), Ca(1,313.31±19.57과 1,327.92± 66.32 mg/100 g) 및 P(464.34±5.62와 473.13±25.58 mg/100 g)로 나타났으며, 백련근과 홍련근에서는 K(401.30±23.24과 380.44±16.78 mg/100 g), P(101.56± 12.23과 84.02±4.52 mg/100 g) 및 Na(71.85±4.36과 57.53±6.24 mg/100 g)였다. 2. 백련과 홍련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유리당으로는 sucrose, glucose 및 fructose로 각각 나타났고, 백련과 홍련 잎과 뿌리에 함유되어 있는 총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6,385.57, 1,162.93, 6,003.01 및 1,242.20 mg/100 g이었다. 백련잎과 홍련잎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으로는 arginine,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였고, 백련근과 홍련근에서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및 phenylalanine으로 나타났다. 3.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 화합물은 백련잎에서 12.84 mg/g 및 24.33 mg/g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비타민 C함량은 각각 248.65, 20.99, 156.92 및 9.32 mg/100 g으로 나타났다. 백련과 홍련의 부위별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백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다. 4. 환원력도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환원력은 백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noleic acid를 이용한 자동산화 억제활성을 실험한 결과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과산화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tyrosinase 저해활성 역시 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5. 백련과 홍련의 부위별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활성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백련과 홍련잎 부탄올 분획물을 1 mg/mL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95.61%와 92.15%의 높은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보였다. 폐암세포와 결장암세포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백련과 홍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생육억제활성을 보였다.
백련과 홍련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잎과 뿌리로 각각 구분한 후 화학성분, 항산화활성(DPPH radical 소거활성, 환원력, 자동산화 억제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활성) 및 항암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백련과 홍련 잎과 뿌리의 가용성 무질소물 함량은 각각 53.15±2.12%, 14.84±2.36%, 55.79±3.84 및 19.22±3.2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단백 및 조섬유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백련잎과 홍련잎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각각 K(1,427.72±84.23과 1,516.34 mg/100 g), Ca(1,313.31±19.57과 1,327.92± 66.32 mg/100 g) 및 P(464.34±5.62와 473.13±25.58 mg/100 g)로 나타났으며, 백련근과 홍련근에서는 K(401.30±23.24과 380.44±16.78 mg/100 g), P(101.56± 12.23과 84.02±4.52 mg/100 g) 및 Na(71.85±4.36과 57.53±6.24 mg/100 g)였다. 2. 백련과 홍련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유리당으로는 sucrose, glucose 및 fructose로 각각 나타났고, 백련과 홍련 잎과 뿌리에 함유되어 있는 총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6,385.57, 1,162.93, 6,003.01 및 1,242.20 mg/100 g이었다. 백련잎과 홍련잎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으로는 arginine,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였고, 백련근과 홍련근에서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및 phenylalanine으로 나타났다. 3.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 화합물은 백련잎에서 12.84 mg/g 및 24.33 mg/g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비타민 C함량은 각각 248.65, 20.99, 156.92 및 9.32 mg/100 g으로 나타났다. 백련과 홍련의 부위별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백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다. 4. 환원력도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환원력은 백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noleic acid를 이용한 자동산화 억제활성을 실험한 결과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과산화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tyrosinase 저해활성 역시 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5. 백련과 홍련의 부위별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활성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백련과 홍련잎 부탄올 분획물을 1 mg/mL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95.61%와 92.15%의 높은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보였다. 폐암세포와 결장암세포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백련과 홍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생육억제활성을 보였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