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의료 서비스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토대로 입원환자의 시각에서 병원 선택요인들이 환자의 의료 서비스 만족도 즉, 지각하는 가치와 병원선택 만족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이들 변수들이 병원 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문헌적인 연구와 실증적인 연구를 병행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병원을 비롯한 종합 병원 4곳, 중소형 병원 5곳, 전문요양 병원 3곳 등 모두 12개 병원을 대상으로 2006년 12월 12일부터 2007년 1월 10일까지 30일간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총 1000부를 배포하여 850부를 회수하여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일관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818부의 유효 설문지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설문지의 구체적인 실증분석은 ...
본 연구는 의료 서비스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토대로 입원환자의 시각에서 병원 선택요인들이 환자의 의료 서비스 만족도 즉, 지각하는 가치와 병원선택 만족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이들 변수들이 병원 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문헌적인 연구와 실증적인 연구를 병행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병원을 비롯한 종합 병원 4곳, 중소형 병원 5곳, 전문요양 병원 3곳 등 모두 12개 병원을 대상으로 2006년 12월 12일부터 2007년 1월 10일까지 30일간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총 1000부를 배포하여 850부를 회수하여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일관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818부의 유효 설문지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설문지의 구체적인 실증분석은 SAS 9.1, SPSS 11.0, LISREL 8.52(AMOS 4.0)를 활용하여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먼저 각 문항에 대한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여 문항간의 신뢰도를 측정하여 예측가능성, 정확성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타당도 분석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인 경로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병원 선택요인이 지각하는 가치와 병원 선택 만족도의 경로를 통해 병원 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구조적인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병원 선택요인은 의료 서비스 만족도 즉, 지각하는 가치와 병원선택 만족도의 매개를 통해서 병원 충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도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검증되었으며, 더불어 고객이 지각하는 가치가 높을수록 병원 충성도는 증가한다고 분석할 수 있다. 셋째, 병원 평판의 경우에, 지각하는 가치와 병원선택 만족도에 대해서 p<0.001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병원 충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여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지 못한다고 검증되었다. 넷째, 인구 통계적 특성 및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병원 선택요인에 대한 평가 차이에 관한 분석결과, 인적 서비스 품질(5.73), 병원선택 만족도(5.34), 병원의 평판(5.33), 의료 서비스 품질(5.23), 내적 물리적 환경(5.19), 지각하는 가치(5.19), 병원 충성도(5.11), 외적 물리적 환경(4.83) 순으로 분석 되었다. 다섯째,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치료중인 질환의 종류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외적 물리적 환경 요인에 대해서는 간질환 환자들이 이 요인에 대해서 높은 응답을 하였으며, 병원의 평판에 대해서는 천식 및 호흡기 질환 환자들이 가장 높은 평가를 하였고, 내적 물리적 환경 요인에 대해서는 치매 환자들이 가장 높은 평가를 하였다. 여섯째, 질병 치료 기간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치료기간이 짧을수록 외적 물리적 환경 요인, 인적 서비스 품질 요인, 의료 서비스 품질 요인에 대해서 p<0.01 수준에서 높은 평가를 하였으며, 입원기간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6개월에서 1년 동안 입원한 환자들이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의료기관 선택에 있어 환자들은 의료의 질적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의료 서비스에 대한 환자 만족도는 사회, 의학적 치료의 평가에서도 점차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인적 서비스 품질에 대한 환자가 지각하는 가치나 병원선택 만족도는 궁극적으로 병원 충성도에 직·간접적으로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의료 서비스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토대로 입원환자의 시각에서 병원 선택요인들이 환자의 의료 서비스 만족도 즉, 지각하는 가치와 병원선택 만족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이들 변수들이 병원 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문헌적인 연구와 실증적인 연구를 병행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병원을 비롯한 종합 병원 4곳, 중소형 병원 5곳, 전문요양 병원 3곳 등 모두 12개 병원을 대상으로 2006년 12월 12일부터 2007년 1월 10일까지 30일간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총 1000부를 배포하여 850부를 회수하여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일관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818부의 유효 설문지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설문지의 구체적인 실증분석은 SAS 9.1, SPSS 11.0, LISREL 8.52(AMOS 4.0)를 활용하여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먼저 각 문항에 대한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여 문항간의 신뢰도를 측정하여 예측가능성, 정확성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타당도 분석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인 경로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병원 선택요인이 지각하는 가치와 병원 선택 만족도의 경로를 통해 병원 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구조적인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병원 선택요인은 의료 서비스 만족도 즉, 지각하는 가치와 병원선택 만족도의 매개를 통해서 병원 충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도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검증되었으며, 더불어 고객이 지각하는 가치가 높을수록 병원 충성도는 증가한다고 분석할 수 있다. 셋째, 병원 평판의 경우에, 지각하는 가치와 병원선택 만족도에 대해서 p<0.001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병원 충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여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지 못한다고 검증되었다. 넷째, 인구 통계적 특성 및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병원 선택요인에 대한 평가 차이에 관한 분석결과, 인적 서비스 품질(5.73), 병원선택 만족도(5.34), 병원의 평판(5.33), 의료 서비스 품질(5.23), 내적 물리적 환경(5.19), 지각하는 가치(5.19), 병원 충성도(5.11), 외적 물리적 환경(4.83) 순으로 분석 되었다. 다섯째,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치료중인 질환의 종류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외적 물리적 환경 요인에 대해서는 간질환 환자들이 이 요인에 대해서 높은 응답을 하였으며, 병원의 평판에 대해서는 천식 및 호흡기 질환 환자들이 가장 높은 평가를 하였고, 내적 물리적 환경 요인에 대해서는 치매 환자들이 가장 높은 평가를 하였다. 여섯째, 질병 치료 기간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치료기간이 짧을수록 외적 물리적 환경 요인, 인적 서비스 품질 요인, 의료 서비스 품질 요인에 대해서 p<0.01 수준에서 높은 평가를 하였으며, 입원기간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6개월에서 1년 동안 입원한 환자들이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의료기관 선택에 있어 환자들은 의료의 질적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의료 서비스에 대한 환자 만족도는 사회, 의학적 치료의 평가에서도 점차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인적 서비스 품질에 대한 환자가 지각하는 가치나 병원선택 만족도는 궁극적으로 병원 충성도에 직·간접적으로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research based on existing studies of medical service presents how hospital selection factor influences patients'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 (i.e.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hospital selection) from the patients' view. In addi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ether such factors h...
This research based on existing studies of medical service presents how hospital selection factor influences patients'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 (i.e.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hospital selection) from the patients' view. In addi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ether such factors have a direct effect on hospital loyalty using empirical studies and documentary surveys.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 total of 1,0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t 12 hospitals- four general hospitals including university hospitals, five medium-sized hospitals, and three medical care centers in Busan metropolitan city- for a month from Dec. 12, 2006 to Jan. 10, 2007. 85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information from 818 valid ones was taken and used in statistical analysis after omitting those lacking either consistency or truthfulness. To verify the survey models for the research, all the questionnaires were examined in significance level p<.05 using SAS 9.1, SPSS 11.0, LISREL 8.52(AMOS 4.0). To begin with, predictability and accuracy were checked by using reliability test of each question. Also, constative factor analysis as valid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used to prove the hypotheses. Through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examination of a structural research model on whether hospital selection factor through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hospital selection has a direct impact on hospital loyalty is proved to be compatible. 2. It is proved that hospital selection factor through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 including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hospital selection has a both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the loyalty toward hospital. Moreover, it can be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value becomes, the more the hospital loyalty increases. 3. Hospital reput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hospital selection in significance level p<.001, but does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hospital loyalty. 4. Hospital selection factors depending on patients' general character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as followings: human service quality(5.73), satisfaction of hospital selection(5.34), hospital reputation(5.33), medical service quality(5.23), internal physical environment(5.19), perceived value(5.19), hospital loyalty(5.11), external physical environment(4.83). 5. The kind of a disease, one of the patients' general characters shows various results. Those patients with epilepsy gave the highest response to external physical environment of hospital and asthmatic and respiratory patients placed the most emphasis on hospital reputation. Patients with dementia was the most sensitive to internal physical environment of hospital. 6. On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reatment duration, shorter periods resulted in higher evaluation on external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human service quality factors, medical service quality factors in significance level p<.01. Regarding hospitalization, those hospitalized in 6 months to a year showed the highest response and reaction. In selecting a medical institution, patients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medical treatment. Patients' satisfaction regarding medical service is becoming considered as more important in its evaluation of social and medical treatment. Also, patients'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hospital selection on the quality of human service ultimately have the most influence on the hospital royalty directly and indirectly.
This research based on existing studies of medical service presents how hospital selection factor influences patients'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 (i.e.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hospital selection) from the patients' view. In addi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ether such factors have a direct effect on hospital loyalty using empirical studies and documentary surveys.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 total of 1,0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t 12 hospitals- four general hospitals including university hospitals, five medium-sized hospitals, and three medical care centers in Busan metropolitan city- for a month from Dec. 12, 2006 to Jan. 10, 2007. 85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information from 818 valid ones was taken and used in statistical analysis after omitting those lacking either consistency or truthfulness. To verify the survey models for the research, all the questionnaires were examined in significance level p<.05 using SAS 9.1, SPSS 11.0, LISREL 8.52(AMOS 4.0). To begin with, predictability and accuracy were checked by using reliability test of each question. Also, constative factor analysis as valid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used to prove the hypotheses. Through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examination of a structural research model on whether hospital selection factor through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hospital selection has a direct impact on hospital loyalty is proved to be compatible. 2. It is proved that hospital selection factor through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 including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hospital selection has a both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the loyalty toward hospital. Moreover, it can be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value becomes, the more the hospital loyalty increases. 3. Hospital reput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hospital selection in significance level p<.001, but does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hospital loyalty. 4. Hospital selection factors depending on patients' general character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as followings: human service quality(5.73), satisfaction of hospital selection(5.34), hospital reputation(5.33), medical service quality(5.23), internal physical environment(5.19), perceived value(5.19), hospital loyalty(5.11), external physical environment(4.83). 5. The kind of a disease, one of the patients' general characters shows various results. Those patients with epilepsy gave the highest response to external physical environment of hospital and asthmatic and respiratory patients placed the most emphasis on hospital reputation. Patients with dementia was the most sensitive to internal physical environment of hospital. 6. On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reatment duration, shorter periods resulted in higher evaluation on external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human service quality factors, medical service quality factors in significance level p<.01. Regarding hospitalization, those hospitalized in 6 months to a year showed the highest response and reaction. In selecting a medical institution, patients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medical treatment. Patients' satisfaction regarding medical service is becoming considered as more important in its evaluation of social and medical treatment. Also, patients'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hospital selection on the quality of human service ultimately have the most influence on the hospital royalty directly and indirectl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