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분 삭모 후 개두술을 시행한 환자들에게 봉합사를 제거하지 않은 수술 후 4일째 머리감기를 적용하여 조기 머리감기와 수술 후 창상 감염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개두술 후 상처간호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B 대학병원에서 2006년 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전체 삭모를 하지 않고 개두술을 시행한 환자 중 100명을 편의 표출하여 A 수술의에게 수술을 받고 봉합사 제거 전 머리를 감은 대상자 50명을 실험군으로, B 수술의에게 수술을 받고 봉합사 제거 후 머리를 감은 대상자 5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수술관련 특성은 구조화된 설문도구로, 수술 전, 수술 후 2일째, 수술 후 6일째 ...
본 연구는 부분 삭모 후 개두술을 시행한 환자들에게 봉합사를 제거하지 않은 수술 후 4일째 머리감기를 적용하여 조기 머리감기와 수술 후 창상 감염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개두술 후 상처간호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B 대학병원에서 2006년 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전체 삭모를 하지 않고 개두술을 시행한 환자 중 100명을 편의 표출하여 A 수술의에게 수술을 받고 봉합사 제거 전 머리를 감은 대상자 50명을 실험군으로, B 수술의에게 수술을 받고 봉합사 제거 후 머리를 감은 대상자 5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수술관련 특성은 구조화된 설문도구로, 수술 전, 수술 후 2일째, 수술 후 6일째 활력징후 측정 및 혈액검사는 의무기록 및 검사 결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술 후 2일째, 수술 후 6일째, 1차 외래방문 및 2차 외래방문 시 수술 창상 및 증상은 전담간호사와 연구자가 동시에 체크리스트를 통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동질성은 χ²-test, t-test 로 비교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중재 전·후 측정 시기 및 집단간의 활력징후 차이 비교는 repeated measure ANOVA으로, 중재 전·후 측정 시기 및 집단간의 혈액검사 차이는 repeated measure ANOVA 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술 후 4일째 머리를 감은 실험군과 봉합사 제거 후 머리를 감은 대조군에게서 활력징후는 측정시기 및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수술 후 4일째 머리를 감은 실험군과 봉합사 제거 후 머리를 감은 대조군에게서 백혈구와 적혈구 침강 속도의 측정 시기 및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술 전과 수술 후 2일째, 수술 후 2일째와 수술 후 6일째 대조군의 백혈구가 유의하게 증가 하였고, 수술 2일째와 수술 후 6일째 대조군의 적혈구 침강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수술 후 2일째 절개부위에 국소부종을 보인 환자가 대조군 1명, 수술 후 6일째 절개부위에 국소적인 부종을 보인 환자가 실험군 1명, 대조군 2명 있었다. 1차 외래방문, 2차 외래방문 시에는 수술 상처에 삼출물이나 열개, 동통, 열감, 국소부종을 보인 대상자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수술 후 4일째 머리감는 것은 활력징후, 혈액검사 및 수술 창상 증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머리를 감지 않았던 대조군은 활력징후 및 수술 창상 증상에는 관련이 없으나 혈액검사 수치 중 백혈구와 적혈구 침강 속도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기에 머리감는 것이 수술 후 창상 감염과 관련이 없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부분 삭모 후 개두술을 시행한 환자들에게 봉합사를 제거하지 않은 수술 후 4일째 머리감기를 적용하는 것이 개두술 후 불편감을 완화시키는 효과적인 간호중재로써 간호실무에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부분 삭모 후 개두술을 시행한 환자들에게 봉합사를 제거하지 않은 수술 후 4일째 머리감기를 적용하여 조기 머리감기와 수술 후 창상 감염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개두술 후 상처간호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B 대학병원에서 2006년 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전체 삭모를 하지 않고 개두술을 시행한 환자 중 100명을 편의 표출하여 A 수술의에게 수술을 받고 봉합사 제거 전 머리를 감은 대상자 50명을 실험군으로, B 수술의에게 수술을 받고 봉합사 제거 후 머리를 감은 대상자 5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수술관련 특성은 구조화된 설문도구로, 수술 전, 수술 후 2일째, 수술 후 6일째 활력징후 측정 및 혈액검사는 의무기록 및 검사 결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술 후 2일째, 수술 후 6일째, 1차 외래방문 및 2차 외래방문 시 수술 창상 및 증상은 전담간호사와 연구자가 동시에 체크리스트를 통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동질성은 χ²-test, t-test 로 비교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중재 전·후 측정 시기 및 집단간의 활력징후 차이 비교는 repeated measure ANOVA으로, 중재 전·후 측정 시기 및 집단간의 혈액검사 차이는 repeated measure ANOVA 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술 후 4일째 머리를 감은 실험군과 봉합사 제거 후 머리를 감은 대조군에게서 활력징후는 측정시기 및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수술 후 4일째 머리를 감은 실험군과 봉합사 제거 후 머리를 감은 대조군에게서 백혈구와 적혈구 침강 속도의 측정 시기 및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술 전과 수술 후 2일째, 수술 후 2일째와 수술 후 6일째 대조군의 백혈구가 유의하게 증가 하였고, 수술 2일째와 수술 후 6일째 대조군의 적혈구 침강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수술 후 2일째 절개부위에 국소부종을 보인 환자가 대조군 1명, 수술 후 6일째 절개부위에 국소적인 부종을 보인 환자가 실험군 1명, 대조군 2명 있었다. 1차 외래방문, 2차 외래방문 시에는 수술 상처에 삼출물이나 열개, 동통, 열감, 국소부종을 보인 대상자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수술 후 4일째 머리감는 것은 활력징후, 혈액검사 및 수술 창상 증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머리를 감지 않았던 대조군은 활력징후 및 수술 창상 증상에는 관련이 없으나 혈액검사 수치 중 백혈구와 적혈구 침강 속도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기에 머리감는 것이 수술 후 창상 감염과 관련이 없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부분 삭모 후 개두술을 시행한 환자들에게 봉합사를 제거하지 않은 수술 후 4일째 머리감기를 적용하는 것이 개두술 후 불편감을 완화시키는 효과적인 간호중재로써 간호실무에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rsing a patient’s wound after craniotomy by washing hair on the 4th day of non-outstitch after partial head shave, and by grasping the relations between early hair wash and postoperative wound infection. This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t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rsing a patient’s wound after craniotomy by washing hair on the 4th day of non-outstitch after partial head shave, and by grasping the relations between early hair wash and postoperative wound infection. This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the retrospective design of a non-equivalence control group.
One hundred study subjects were sampled at convenience from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craniotomy without a whole head shave at B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6 to September 2007. An experimental group of 50 subjects who had been operated on by surgeon A and who had washed their hair before outstitch, and a control group of 50 subjects who had been operated on by surgeon B, experimental group were washed hair on the 4th day after an operation without outstitch.
Data regarding the subjects’ general and operation-related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was administered before the operation. On the 2nd and 6th days after the operation, the vital signs of the subjects were measured and a blood test was conducted. Also on the 2ndand 6th days after the operation, the operation wound and the symptoms at the time of the 1st and 2nd outpatient services were measured by neurosurgical clinical experience, jointly with the researcher, based on a checklis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x-test, t-test, repeated measure ANOVA and pared t-test (SPSSWIN 12.0).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measurement periods and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the subjects’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pulses, breathing, and temperatures.
2. White blood cell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i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asurement periods and between the groups. Between before the operation and on the 2nd day after the operation, the white blood cell of the contro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and between the 2nd and 6th days after the operation,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3. There was one patient in the control group (2%) who exhibited regional edema at the incision part on the 2nd day after the operation, and one pati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2%) and two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4%) who exhibited the same on the 6th day after the operation. At the time of the 1st and 2nd outpatient services, no subjects showed oozing, buldging, pain, burning sensation, or regional edema in his or her operative wound.
It was shown in this study that washing their hair on the 4th day after their operation did not affect the subjects’ vital signs, blood test results, and operative wound symptoms, and that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wash their hair, did not experience any change in their vital signs and operative wound symptoms, but that the sediment velocity in their white blood cell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mong the blood test values, increased. It can thus be concluded that early hair washing does not affect a postoperative wound infect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washing the hair of patients who underwent craniotomy on the 4th day after an operation without outstitch, after partial head shave, should be included in the nursing services as it is effective in mitigating the patients’ discomfort after craniotom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rsing a patient’s wound after craniotomy by washing hair on the 4th day of non-outstitch after partial head shave, and by grasping the relations between early hair wash and postoperative wound infection. This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the retrospective design of a non-equivalence control group.
One hundred study subjects were sampled at convenience from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craniotomy without a whole head shave at B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6 to September 2007. An experimental group of 50 subjects who had been operated on by surgeon A and who had washed their hair before outstitch, and a control group of 50 subjects who had been operated on by surgeon B, experimental group were washed hair on the 4th day after an operation without outstitch.
Data regarding the subjects’ general and operation-related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was administered before the operation. On the 2nd and 6th days after the operation, the vital signs of the subjects were measured and a blood test was conducted. Also on the 2ndand 6th days after the operation, the operation wound and the symptoms at the time of the 1st and 2nd outpatient services were measured by neurosurgical clinical experience, jointly with the researcher, based on a checklis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x-test, t-test, repeated measure ANOVA and pared t-test (SPSSWIN 12.0).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measurement periods and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the subjects’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pulses, breathing, and temperatures.
2. White blood cell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i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asurement periods and between the groups. Between before the operation and on the 2nd day after the operation, the white blood cell of the contro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and between the 2nd and 6th days after the operation,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3. There was one patient in the control group (2%) who exhibited regional edema at the incision part on the 2nd day after the operation, and one pati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2%) and two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4%) who exhibited the same on the 6th day after the operation. At the time of the 1st and 2nd outpatient services, no subjects showed oozing, buldging, pain, burning sensation, or regional edema in his or her operative wound.
It was shown in this study that washing their hair on the 4th day after their operation did not affect the subjects’ vital signs, blood test results, and operative wound symptoms, and that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wash their hair, did not experience any change in their vital signs and operative wound symptoms, but that the sediment velocity in their white blood cell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mong the blood test values, increased. It can thus be concluded that early hair washing does not affect a postoperative wound infect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washing the hair of patients who underwent craniotomy on the 4th day after an operation without outstitch, after partial head shave, should be included in the nursing services as it is effective in mitigating the patients’ discomfort after craniotom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