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흡기 감염 전파 예방을 위한 기침예절 지식과 실행수준 및 영향요인에 관한 융합 연구
Knowledge, Compliance, and affecting factors of the Cough Etiquette to Prevent th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Transmission on Convergence Stud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0, 2018년, pp.389 - 398  

김옥선 (KC대학교 간호학과) ,  윤성원 (청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호흡기 감염 전파 예방을 위한 기침예절에 대한 지식과 실행수준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2018년 8월 13일부터 9월 19일까지 19세 이상 성인 250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중 213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기침예절 지식과 실행수준은 100점으로 환산 시 평균 지식수준이 $70.99{\pm}19.92$점, 실행수준은 $70.63{\pm}10.25$점으로 중간 수준이었다. 기침예절 지식과 실행수준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다중회귀분석에서 기침예절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평소 손수건을 가지고 다님, 평소 휴지를 가지고 다님, 일평균 손씻기 횟수, 기침예절에 대해 알고 있음, 기침예절 지식 수준이 유의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확인된 기침예절 실행 영향 요인을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기침예절 실행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호흡기 감염 전파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compliance and affecting factors of the cough etiquette to prevent th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transmission. Data were collected 250 self reporting questionnaires above 19 years old adult from Aug. 13th to Sep. 19th 2018. 213 questionnaires were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9세 이상 성인의 기침예절에 대한 지식과 실행 수준을 파악하고,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기침을 할 경우 소아나 노인에 비해 호흡기 비말이 멀리까지 전파될 가능성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기침예절에 대한 지식과 실행 수준을 확인하고, 실행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성인의 기침예절에 대한 지식과 실행수준을 파악하고,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호흡기 감염 전파 예방 중재로서 성인들의 기침예절에 대한 지식과 실천 정도인 기침예절 실행 수준을 확인하고, 기침예절 실행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로서 기침예절 준수를 생활화 할 수 있도록 실행 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호흡기 감염예방을 위한 교육 및 홍보를 위한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호흡기감염 전파 예방에 기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호흡기 감염 전파 예방 중재로서 성인들의 기침예절에 대한 지식과 실천 정도인 기침예절 실행 수준을 확인하고, 기침예절 실행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로서 기침예절 준수를 생활화 할 수 있도록 실행 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호흡기 감염예방을 위한 교육 및 홍보를 위한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호흡기감염 전파 예방에 기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침예절이란 무엇인가? 기침예절(cough etiquette)이란 용어는 2000년 Bone 등에 의해 사용되어 왔으며, 급성 호흡기 감염의 예방을 위한 중재로서 예방접종 등 약물을 이용한 방법이 아닌 비약물적 방법으로 세계보건기구 등에서 권고되고 있으며, 호흡기 감염을 유발하는 모든 원인균들이 공기나 주위 환경으로의 전파를 모두 차단할 수는 없으나 기침을 통한 직접적인 병원균의 전파를 다소 차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으로 보고되었다[8]. 이에 호흡기 감염 전파 차단을 위한 국내외 각종 권고사항에 기침예절을 포함시키고 있다[5,6].
호흡기 감염이 의심스러운 경우 기침예절 준수가 필요한 이유는? 기침예절의 주요 내용으로는 기침 시 코와 입을 모두 가리기, 기침 시 손이 아닌 소매를 이용하여 가리는 방법,기침 후 손씻기를 포함한 손위생, 객담은 주위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휴지에 싸서 버리는 방법을 포함하고 있어 감염된 사람의 호흡기 분비물이 다른 사람에게 직접 전파되지 않도록 할 뿐 아니라 주위 환경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이다[7]. 그러므로 호흡기 감염이 의심스러운 경우에는 질병 전파 예방을 위한 기침예절 준수가 필요하다.
호흡기 감염 예방법은 무엇인가? 호흡기 감염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주요 감염경로가 호흡기를 통한 감염이므로 호흡기 비말주의가 적용되며, 호흡기 감염 예방법으로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 피하기, 호흡기 바이러스 흡입을 예방하기 위한 마스크 착용, 예방접종을 통한 면역력 강화, 손씻기와 기침 예절을 준수하여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의 전파를 예방하는 등의 전략이 포함된다[3,6]. 이 중 기침예절은 호흡기 감염 전파 예방을 위한 중요한 행위이므로 질병관리본부에서는 홍보 포스터 등을 제작하여 국민들 대상으로 기침예절을 준수하도록 노력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Recent trend of pandemic influenza A (H1N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Online), http://www.cdc.go.kr/CDC/info/CdcKrInfo0301.jsp?menuIdsHOME006-MNU3003-MNU2950-MNU2951&cid12472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The 2015 MERS outbreak in the republic of Korea: learning from MERS. Sejong-si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Common cold.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Online), https://www.cdc.gov/dotw/common-cold/ 

  4. The Korean Society of Infectious Disease. (2014). Infectious Disease, Seoul : Koonja. 

  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Standard Guideline of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Prevention(20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Online), http://www.cdc.go.kr/CDC/together/CdcKrTogether0302.jsp?menuIdsHOME006-MNU2804-MNU3027-MNU2979&cid138061 

  6. J. D. Siegel, M. Jackson, L. Chiarello &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2017). Guideline for Isolation Precautions: Preventing Transmission of Infectious Agents in Healthcare Settings (200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Online), https://www.cdc.gov/infectioncontrol/pdf/guidelines/isolation-guidelines.pdf 

  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Correct cough etiquette is the first step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and to care for others.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Online), http://www.cdc.go.kr/CDC/notice/CdcKrIntro0201.jsp?menuIdsHOME006-MNU2804-MNU2937&cid64102 

  8. G. Zayas et al. (2013). Effectiveness of cough etiquette maneuvers in disrupting the chain of transmission of infectious respiratory disease. BMC Public Health, 13, 1-11. DOI : 10.1186/1471-2458-13-811 

  9. J. S. Choi & K. M. Kim. (2015). Predictors of respiratory hygiene/cough etiquette in a large community in Korea: A descriptive study.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44(11), e271-e273. DOI : 10.1016/j.ajic.2016.04.226 

  10. O. S. Kim, J. H. Oh & K. M. Kim. (2012). Knowledge of and compliance with cough etiquette among nursing and allied health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Nosocominal Infection Control, 17(2), 61-69. 

  11. T. D. Berry & A. K. Fournier. (2014). Examining university students' sneezing and coughing etiquette.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42(12), 1317-1318. DOI : 10.1016/j.ajic.2014.09.003 

  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Actual condition survey of cough etiquett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Online), http://www.nih.go.kr/NIH_NEW/not/NihKrListLink.jsp?menuIdsHOME005-MNU2091-MNU2349&fid28&q_typetitle&q_value%EA%B8%B0%EC%B9%A8%EC%98%88%EC%A0%88&cid61793&pageNum 

  13. M. S. Song & N. Y. Yang. (2017). Knowledge and compliance with cough etiquette among elderly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4(1), 52-60. DOI : 10.22705/jkashcn.2017.24.1.052 

  14. F. Sultana, F. A. Nizame, D. L. Southern, L. Unicomb, P. J. Winch & S. P. Luby. (2017). Pilot of an elementary school cough etiquette intervention: acceptability, feasibility, and potential for sustainability. The Americ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and Hygiene, 97(6), 1876-1885. DOI : 10.4269/ajtmh.16-0914 

  15. B. Y. Jin & S. Kim. (2015). University students' cough etiquette knowledge and practice to protect droplet infectio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7(4), 348-355. DOI : 10.7586/jkbns.2015.17.4.348 

  16. J. A, Shon, Y. Yang & J. H. Park. (2016). Factors influencing compliance for influenza infection control b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2), 161-171. DOI : 10.7739/jkafn.2016.23.2.161 

  17. M. J. Jo, K. J. Moon & E. Lee. (2018). Knowledge and behavior of visitors in the prevention of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an emergency service,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5(3), 210-219. DOI : 10.7739/jkafn.2018.25.3.210 

  18. B. Bodeker, D. Walter, S. Reiter & O. Wichmann. (2014). Cross-sectional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influenza vaccine uptake and pertussis vaccination status among pregnant women in Germany. Vaccine, 32(33), 4131-4139. DOI : 10.1016/j.vaccine.2014.06.007 

  19. O. S. Kim. (2017). Convergence study on the knowledge, compliance of infection prevention and influence factors of compliance to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nursing student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4), 19-26. DOI : 10.22156/CS4SMB.2017.7.4.019 

  20. I. S. Kim & S. Y. Kim. (2016). Converged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education and dental health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6(4), 107-114. DOI : 10.22156/CS4SMB.2016.6.4.107 

  21. M. J. Kim. (2017). The convergence study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preventive behaviors against MER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4), 149-157. DOI : 10.15207/JKCS.2017.8.4.149 

  22. O. S. Kim, J. H. Oh & K. H. Lee. (2016). The convergence study on anxiety, knowledge, infection possibility, preventive possibility and preventive behavior level of MER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3), 59-69. DOI : 10.15207/JKCS.2016.7.3.0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