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스포츠프로그램의 공공성과 콘텐츠시장 재구조화에 관한 연구 : 전문가 집단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ublicity of sports program and re-formation of the contents market :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in expert group원문보기
융합이라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공공성을 재개념화하려는 노력이 많이 이루어졌음에도 이념적, 철학적 차원에 머무는 경우가 많아 실천적 대안제시에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보다 구체화된 공공 이념과 공적가치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시대의 변화양상에 맞게 재 정의되어야 하는 방송 공공성의 개념을 스포츠프로그램을 구체적인 대상으로 하여, 그 공적가치 요인을 탐색해 내고 이를 바탕으로 융합미디어 시장에서 구현되어야 할 스포츠콘텐츠시장 모델을 도출해보고자 했다. 여러 장르 중에서 스포츠를 그 대상으로 하는 이유는 인기 스포츠프로그램이 다른 어느 장르나 프로그램보다도 학술적, 미디어 산업적, 정치적(방송권 거래 관련 갈등, 보편적 접근권 입법화 등)으로 첨예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공공성과 상업성이 강력하게 충돌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①스포츠프로그램의 공공성은 어떻게 규정지을 수 있는가 하는 문제와 ②현재 한국 스포츠콘텐츠 시장의 상황은 어떠하며 그 상황에 대한 관계집단 및 전문가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그리고 ③스포츠프로그램의 공공성을 담보할 수 있는 시장모델은 무엇인가를 찾아보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들을 풀기 위해, 이론적 고찰과 관련 ...
융합이라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공공성을 재개념화하려는 노력이 많이 이루어졌음에도 이념적, 철학적 차원에 머무는 경우가 많아 실천적 대안제시에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보다 구체화된 공공 이념과 공적가치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시대의 변화양상에 맞게 재 정의되어야 하는 방송 공공성의 개념을 스포츠프로그램을 구체적인 대상으로 하여, 그 공적가치 요인을 탐색해 내고 이를 바탕으로 융합미디어 시장에서 구현되어야 할 스포츠콘텐츠시장 모델을 도출해보고자 했다. 여러 장르 중에서 스포츠를 그 대상으로 하는 이유는 인기 스포츠프로그램이 다른 어느 장르나 프로그램보다도 학술적, 미디어 산업적, 정치적(방송권 거래 관련 갈등, 보편적 접근권 입법화 등)으로 첨예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공공성과 상업성이 강력하게 충돌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①스포츠프로그램의 공공성은 어떻게 규정지을 수 있는가 하는 문제와 ②현재 한국 스포츠콘텐츠 시장의 상황은 어떠하며 그 상황에 대한 관계집단 및 전문가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그리고 ③스포츠프로그램의 공공성을 담보할 수 있는 시장모델은 무엇인가를 찾아보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들을 풀기 위해, 이론적 고찰과 관련 자료분석, 연구자의 경험적 관찰, 국내 스포츠콘텐츠시장 행위자들과 전문가들에 대한 실증조사 분석을 통해 보다 실체적인 근거를 확보하고자 했다. 이론적 논의와 시장현황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의 스포츠방송의 공공성을 실천하기 위한 실천 이념은 공익성과 산업성이 조화를 이루는 ‘공사(公私)균형주의’ 이념으로 확장 정리하고, 그 이념을 기반으로 한 국내 스포츠콘텐츠 시장의 모델로 ‘사회적 시장’을 제안하고자 했다. 스포츠방송의 공적가치와 스포츠콘텐츠 자체의 상품성이 조화를 이루지 못해 스포츠콘텐츠 확보를 둘러싼 이해 당사자들의 갈등이 야기되고 그에 따른 사회적 손실과 수용자들의 복지가 훼손될 우려가 커지므로, 콘텐츠 시장에 대한 정책적 개입과 관련당사자들의 자율규제, 시장행위자들의 합리적인 거래행위에 의한 시장모델이 요구되는데 그 모델을 독일의 사회적 시장경제의 이념인 공정과 안정, 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사회적 시장’으로 제안하고자 한 것이다. 스포츠콘텐츠시장 행위자들과 전문가들에 대한 실증조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리 현실에 부합하는 스포츠프로그램의 공적가치 요인(가치)은 ① 다양성․균형성 추구 가치, ② 사회통합․공동체 가치, ③ 국민 시청권 보호 가치, ④ 시청자 참여 가치, ⑤ 글로벌 가치, ⑥ 오락․상업적 가치, ⑦ 공적 규제준수 가치, ⑧ 시장 내 자율경쟁 가치, ⑨ 정보․교육적 가치 등 모두 9개가치, 53개 요인으로 정리되었는데, 도출된 스포츠방송의 공적가치요인들의 효용성과 타당성에 대해 전문가집단들도 동의했다. 그러나 스포츠방송의 공적가치에 대해서 공영과 상업성을 대척점으로 하는 공사 추구이념별 집단과 방송제작과의 관계성을 기준으로 한 방송, 비(非)방송 집단에 따라 공적가치 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향후 스포츠방송의 공공성 구현을 위해서는 집단별로 다원화된 스포츠방송의 공적가치에 대한 의견들을 모두 수렴할 수 있는 균형적 시각이 필요함을 강력하게 시사한다고 하겠다. 또한 보편적 접근권 도입 등 법․제도적 장치, 스포츠 중계의 매체별 역할론, 스포츠방송권 시장, 스포츠 프로그램 편성과 보도세부 내용, 스포츠 프로그램(콘텐츠)상업적 문제, 기타 스포츠프로그램 관련 이슈 등이 포함된 스포츠프로그램(콘텐츠)시장상황 및 모델에 대해 공사 추구이념별 집단과 방송, 비(非)방송 집단 간 상당부분에서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영과 상업성을 대척점으로 하는 공사 추구이념별 집단 간에는 현재 국내 스포츠방송권 시장의 거래메커니즘이 불완전하고 문제가 있다는 점에는 동의했으나 스포츠방송권시장이라는 기본개념에서부터 매체별 역할론, 그리고 스포츠의 상업적 가치 등 다양한 측면에서 대립되는 의견들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적 논의와 실증조사를 통해 스포츠방송의 공공성 구현을 위해서는 ‘공사균형주의’적 시각이 필요함을 확인했다. 즉, 스포츠방송이 추구해야 할 공적가치는 특정집단이 추구하는 가치만을 일방적으로 중시하지 않고 공공성 이념과 시장원리의 조화를 위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사회적 합의를 이루기 위해서는 다양한 집단 간에 의견을 활발하게 교환할 수 있는 조직이나 기구의 설립이 요구되는바 강제적인 기구의 도입보다는 제도적 구속력이 비교적 신축적인 가칭 ‘스포츠방송의 선진화를 위한 다자간 협의체’ 등의 정례적인 협의회의를 구축하는 것을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겠다. 이 조직을 통해 다양한 스포츠방송과 관련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여 심포지엄과 공청회 개최, 그리고 스포츠방송의 선진화를 위한 공동연구수행, 스포츠방송의 공적가치 수렴을 통한 여론조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공성 이념과 시장원리의 조화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시장’이라는 구체적인 현실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①정부의 정책적 지원 및 제도화(분쟁조정제도 및 보편적 접근권 보장), ②시장행위자별 역할모델, ③시장정책의 다원화(국민적 관심스포츠 콘텐츠 확보는 지상파 우선보장, 프로스포츠는 자율경쟁에 의한 시장논리, 아마추어 종목의 공영방송 자율적 의무중계) 등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융합이라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공공성을 재개념화하려는 노력이 많이 이루어졌음에도 이념적, 철학적 차원에 머무는 경우가 많아 실천적 대안제시에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보다 구체화된 공공 이념과 공적가치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시대의 변화양상에 맞게 재 정의되어야 하는 방송 공공성의 개념을 스포츠프로그램을 구체적인 대상으로 하여, 그 공적가치 요인을 탐색해 내고 이를 바탕으로 융합미디어 시장에서 구현되어야 할 스포츠콘텐츠시장 모델을 도출해보고자 했다. 여러 장르 중에서 스포츠를 그 대상으로 하는 이유는 인기 스포츠프로그램이 다른 어느 장르나 프로그램보다도 학술적, 미디어 산업적, 정치적(방송권 거래 관련 갈등, 보편적 접근권 입법화 등)으로 첨예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공공성과 상업성이 강력하게 충돌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①스포츠프로그램의 공공성은 어떻게 규정지을 수 있는가 하는 문제와 ②현재 한국 스포츠콘텐츠 시장의 상황은 어떠하며 그 상황에 대한 관계집단 및 전문가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그리고 ③스포츠프로그램의 공공성을 담보할 수 있는 시장모델은 무엇인가를 찾아보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들을 풀기 위해, 이론적 고찰과 관련 자료분석, 연구자의 경험적 관찰, 국내 스포츠콘텐츠시장 행위자들과 전문가들에 대한 실증조사 분석을 통해 보다 실체적인 근거를 확보하고자 했다. 이론적 논의와 시장현황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의 스포츠방송의 공공성을 실천하기 위한 실천 이념은 공익성과 산업성이 조화를 이루는 ‘공사(公私)균형주의’ 이념으로 확장 정리하고, 그 이념을 기반으로 한 국내 스포츠콘텐츠 시장의 모델로 ‘사회적 시장’을 제안하고자 했다. 스포츠방송의 공적가치와 스포츠콘텐츠 자체의 상품성이 조화를 이루지 못해 스포츠콘텐츠 확보를 둘러싼 이해 당사자들의 갈등이 야기되고 그에 따른 사회적 손실과 수용자들의 복지가 훼손될 우려가 커지므로, 콘텐츠 시장에 대한 정책적 개입과 관련당사자들의 자율규제, 시장행위자들의 합리적인 거래행위에 의한 시장모델이 요구되는데 그 모델을 독일의 사회적 시장경제의 이념인 공정과 안정, 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사회적 시장’으로 제안하고자 한 것이다. 스포츠콘텐츠시장 행위자들과 전문가들에 대한 실증조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리 현실에 부합하는 스포츠프로그램의 공적가치 요인(가치)은 ① 다양성․균형성 추구 가치, ② 사회통합․공동체 가치, ③ 국민 시청권 보호 가치, ④ 시청자 참여 가치, ⑤ 글로벌 가치, ⑥ 오락․상업적 가치, ⑦ 공적 규제준수 가치, ⑧ 시장 내 자율경쟁 가치, ⑨ 정보․교육적 가치 등 모두 9개가치, 53개 요인으로 정리되었는데, 도출된 스포츠방송의 공적가치요인들의 효용성과 타당성에 대해 전문가집단들도 동의했다. 그러나 스포츠방송의 공적가치에 대해서 공영과 상업성을 대척점으로 하는 공사 추구이념별 집단과 방송제작과의 관계성을 기준으로 한 방송, 비(非)방송 집단에 따라 공적가치 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향후 스포츠방송의 공공성 구현을 위해서는 집단별로 다원화된 스포츠방송의 공적가치에 대한 의견들을 모두 수렴할 수 있는 균형적 시각이 필요함을 강력하게 시사한다고 하겠다. 또한 보편적 접근권 도입 등 법․제도적 장치, 스포츠 중계의 매체별 역할론, 스포츠방송권 시장, 스포츠 프로그램 편성과 보도세부 내용, 스포츠 프로그램(콘텐츠)상업적 문제, 기타 스포츠프로그램 관련 이슈 등이 포함된 스포츠프로그램(콘텐츠)시장상황 및 모델에 대해 공사 추구이념별 집단과 방송, 비(非)방송 집단 간 상당부분에서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영과 상업성을 대척점으로 하는 공사 추구이념별 집단 간에는 현재 국내 스포츠방송권 시장의 거래메커니즘이 불완전하고 문제가 있다는 점에는 동의했으나 스포츠방송권시장이라는 기본개념에서부터 매체별 역할론, 그리고 스포츠의 상업적 가치 등 다양한 측면에서 대립되는 의견들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적 논의와 실증조사를 통해 스포츠방송의 공공성 구현을 위해서는 ‘공사균형주의’적 시각이 필요함을 확인했다. 즉, 스포츠방송이 추구해야 할 공적가치는 특정집단이 추구하는 가치만을 일방적으로 중시하지 않고 공공성 이념과 시장원리의 조화를 위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사회적 합의를 이루기 위해서는 다양한 집단 간에 의견을 활발하게 교환할 수 있는 조직이나 기구의 설립이 요구되는바 강제적인 기구의 도입보다는 제도적 구속력이 비교적 신축적인 가칭 ‘스포츠방송의 선진화를 위한 다자간 협의체’ 등의 정례적인 협의회의를 구축하는 것을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겠다. 이 조직을 통해 다양한 스포츠방송과 관련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여 심포지엄과 공청회 개최, 그리고 스포츠방송의 선진화를 위한 공동연구수행, 스포츠방송의 공적가치 수렴을 통한 여론조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공성 이념과 시장원리의 조화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시장’이라는 구체적인 현실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①정부의 정책적 지원 및 제도화(분쟁조정제도 및 보편적 접근권 보장), ②시장행위자별 역할모델, ③시장정책의 다원화(국민적 관심스포츠 콘텐츠 확보는 지상파 우선보장, 프로스포츠는 자율경쟁에 의한 시장논리, 아마추어 종목의 공영방송 자율적 의무중계) 등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named as a convergence, even a lot of efforts have been made to re-generalize the publicity, they have their limits in making a practical alternative proposals as most of them stay in the boundaries of philosophy. Therefore, it raises a necessity of researches into the s...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named as a convergence, even a lot of efforts have been made to re-generalize the publicity, they have their limits in making a practical alternative proposals as most of them stay in the boundaries of philosophy. Therefore, it raises a necessity of researches into the specified concept of publicity and public value.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analyzes both the concept of broadcasting publicity to be re-defined to meet with a new phase of convergence era by dealing with sports programs as its specific object, and the factors of public value. Then based on this analysis, it sets up a purpose to derive a model for the sports contents market to be embodied in the converged media market. The reason why sports is slected as its object is that the popular sports programs are exposed to the target of sharp contoversy in academic way, media industrial way, and political way(a conflict regarding transactions of broadcasting rights, a legislation of public access, etc.) more than any other categories or programs, and moreover they are showing a serious conflict between the publicity and the commercialism This study is aiming for finding the followings; (1) how we define the publicity of sports program (2) how the current situation of sports contents market in Korea is, and how the related groups and experts perceive it, and (3) what is a market model which secures the publicity of sports program. To clear the above issues, this research is trying to guarantee more substantial basis through the theoretical inquiry and the analysis of the related data, the empirical observation of the researcher, and the actually surveyed analysis of the performers and the experts in domestic sports contents market. By the theoretical discussion and the market analysis, this research readjusts extendedly the concept of the publicity in sports broadcasting to a principle of "balance of publicity and privacy" in which the publicity is harmonized with the idustrialism. This study also suggests a "social market" as a model for the domestic sports contents market based on the principle. Due to the fact that the public value in sports broadcasting is out of accord with the commercial value in sports contents itself, a conflict is brought about by the interested parties with regard to the acquisition of the sports contents, and the possibility of the social loss and the damage to the welfare of the audience is increased continually. For coping with the situation, it requires a market model established on the political intervention to the contents market, a self-control among the related parties, and the reasonable transactions of the actors, and this research suggests it as the "social market" which enables justice, stability and efficiency-the priciples of German social market economy. Upon the actually surveyed analysis of the actors in sports contents market and the experts, the public value factors(values) in sports program which meets with the reality are arranged by 9 values and 53 factors as follows; (1) value in pursuit of diversity and equilibrium, (2) value in social unity-community, (3) value in protection of audience rights, (4) value in participation of audience, (5) global value, (6) entertainment-commercial value, (7) value in observance of public regulation, (8) vaule in self-competition in market, (9) information-educational value. Most of the experts group agree in the effectiveness and the validity of the public value factors in sports broadcasting. In the meantime,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ublic value factors in sports broadcasting differs from the groups seeking for the conflicting principles of the publicity and the commercialism on the one hand, and from the groups divided by the relation to the broadcasting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With a view to realizing the publicity in sports broadcasting from now on, it strongly presents the necessity of the balanced viewpoint, which accommodates all the opinions diversified by the groups concerning the public value factors in sports broadcasting. Furthermore, depending on the groups seeking for the conflicting principles and on the groups divided by the relation to the production, there exist a remarkably different point of view with regard to the market situation of sports program(contents) and its model, which comprises legal-institutial methods including the invitation of the public access rights, responsibilities of each platform in sports broadcasting, the market for the sports broadcasting rights, composition of sports program and specific contents of reports, commercial matters of sports program(contents), and the other issues regarding sports programs. Above all, among the groups seeking for the conflicting principles of the publicity and the commercialism, even there exists an agreemnent that currently the domestic market for the sports broadcasting rights has some problems including the unstable mechanism of transactions, still they have opposing opinions in various fileds, for instance, regarding the basic concept of the market for the sports broadcasting rights, responsibilities of each platform, and the commercial value of sports itself. The theoretical discussion and the actually surveyed analysis reveals the fact that there needs a perspective from the principle of "balance of publicity and privacy" to realize the publicity in sports broadcasting. In other words, the public value for which a sports broadcasting is aiming should not lay stress on the value suited to the exclusive group, but need a social consensus to harmonize the principle of the publicity with that of the market. To reach a social consensus, it requires an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 which allows a lively argument from various groups, and rather than an introduction of a compulsory organization, an introduction of a regular council, such as "multi-party council for the advanced sports broadcasting" with a relatively flexible binding power, could be an alternative proposal. Variuos interested parties of sports broadcasting can participate in this council, holding a symposium and public hearing, carrying out the joint-research for the advanced sports broadcasting, and surveying the public opinion by collecting the public values of sports broadcasting. Finally, there needs a specific reality named "social market" to fulfill the harmony of the principles of the publicity and the market, and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s should be put in practice; (1) political support and institutionalization from the government (arbitration system and guarantee of the public access rights), (2) role model of each market transactor, (3) diversification of market policy (guarantee of the priority of the terrestrial channels in securing the nationwidely popular sports contents, market theory by self-competition for the professional sports, self-regulating broadcast of amateur sports by the public broadcaster)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named as a convergence, even a lot of efforts have been made to re-generalize the publicity, they have their limits in making a practical alternative proposals as most of them stay in the boundaries of philosophy. Therefore, it raises a necessity of researches into the specified concept of publicity and public value.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analyzes both the concept of broadcasting publicity to be re-defined to meet with a new phase of convergence era by dealing with sports programs as its specific object, and the factors of public value. Then based on this analysis, it sets up a purpose to derive a model for the sports contents market to be embodied in the converged media market. The reason why sports is slected as its object is that the popular sports programs are exposed to the target of sharp contoversy in academic way, media industrial way, and political way(a conflict regarding transactions of broadcasting rights, a legislation of public access, etc.) more than any other categories or programs, and moreover they are showing a serious conflict between the publicity and the commercialism This study is aiming for finding the followings; (1) how we define the publicity of sports program (2) how the current situation of sports contents market in Korea is, and how the related groups and experts perceive it, and (3) what is a market model which secures the publicity of sports program. To clear the above issues, this research is trying to guarantee more substantial basis through the theoretical inquiry and the analysis of the related data, the empirical observation of the researcher, and the actually surveyed analysis of the performers and the experts in domestic sports contents market. By the theoretical discussion and the market analysis, this research readjusts extendedly the concept of the publicity in sports broadcasting to a principle of "balance of publicity and privacy" in which the publicity is harmonized with the idustrialism. This study also suggests a "social market" as a model for the domestic sports contents market based on the principle. Due to the fact that the public value in sports broadcasting is out of accord with the commercial value in sports contents itself, a conflict is brought about by the interested parties with regard to the acquisition of the sports contents, and the possibility of the social loss and the damage to the welfare of the audience is increased continually. For coping with the situation, it requires a market model established on the political intervention to the contents market, a self-control among the related parties, and the reasonable transactions of the actors, and this research suggests it as the "social market" which enables justice, stability and efficiency-the priciples of German social market economy. Upon the actually surveyed analysis of the actors in sports contents market and the experts, the public value factors(values) in sports program which meets with the reality are arranged by 9 values and 53 factors as follows; (1) value in pursuit of diversity and equilibrium, (2) value in social unity-community, (3) value in protection of audience rights, (4) value in participation of audience, (5) global value, (6) entertainment-commercial value, (7) value in observance of public regulation, (8) vaule in self-competition in market, (9) information-educational value. Most of the experts group agree in the effectiveness and the validity of the public value factors in sports broadcasting. In the meantime,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ublic value factors in sports broadcasting differs from the groups seeking for the conflicting principles of the publicity and the commercialism on the one hand, and from the groups divided by the relation to the broadcasting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With a view to realizing the publicity in sports broadcasting from now on, it strongly presents the necessity of the balanced viewpoint, which accommodates all the opinions diversified by the groups concerning the public value factors in sports broadcasting. Furthermore, depending on the groups seeking for the conflicting principles and on the groups divided by the relation to the production, there exist a remarkably different point of view with regard to the market situation of sports program(contents) and its model, which comprises legal-institutial methods including the invitation of the public access rights, responsibilities of each platform in sports broadcasting, the market for the sports broadcasting rights, composition of sports program and specific contents of reports, commercial matters of sports program(contents), and the other issues regarding sports programs. Above all, among the groups seeking for the conflicting principles of the publicity and the commercialism, even there exists an agreemnent that currently the domestic market for the sports broadcasting rights has some problems including the unstable mechanism of transactions, still they have opposing opinions in various fileds, for instance, regarding the basic concept of the market for the sports broadcasting rights, responsibilities of each platform, and the commercial value of sports itself. The theoretical discussion and the actually surveyed analysis reveals the fact that there needs a perspective from the principle of "balance of publicity and privacy" to realize the publicity in sports broadcasting. In other words, the public value for which a sports broadcasting is aiming should not lay stress on the value suited to the exclusive group, but need a social consensus to harmonize the principle of the publicity with that of the market. To reach a social consensus, it requires an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 which allows a lively argument from various groups, and rather than an introduction of a compulsory organization, an introduction of a regular council, such as "multi-party council for the advanced sports broadcasting" with a relatively flexible binding power, could be an alternative proposal. Variuos interested parties of sports broadcasting can participate in this council, holding a symposium and public hearing, carrying out the joint-research for the advanced sports broadcasting, and surveying the public opinion by collecting the public values of sports broadcasting. Finally, there needs a specific reality named "social market" to fulfill the harmony of the principles of the publicity and the market, and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s should be put in practice; (1) political support and institutionalization from the government (arbitration system and guarantee of the public access rights), (2) role model of each market transactor, (3) diversification of market policy (guarantee of the priority of the terrestrial channels in securing the nationwidely popular sports contents, market theory by self-competition for the professional sports, self-regulating broadcast of amateur sports by the public broadcaste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