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한국 희곡의 일반적인 개념은 개화기에 일본을 통해 들어온 사실주의극에 기반해 있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부터 다양한 형식 실험과 전통극의 활성화를 위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70년대에 등단한 이강백 역시 알레고리와 우화적 기법을 차용하여 비사실주의 작가 부류에 속한다. 그런 이유로 이강백 희곡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알레고리적 측면에서 다루어졌고, 인식되어 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동안 이강백 희곡에서 자세히 다루지 않은 서사극적 양상을 아스무트가 제시한 서사적 준거의 틀을 바탕으로 고찰하고, 그 특징을 논하였다. 또한 서사극적 양상의 특징이 관객에게 끼치는 영향과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는데, 「쥬라기의 사람들」, 「봄날」, 「칠산리」, 「동지섣달 꽃 본 듯이」, 「영월행 일기」, 「느낌, 극락같은」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Ⅱ장에서는 서사극적 양상의 특징과 효과를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생소화 효과’가 비유와 비판적 성찰을 유도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생소화 효과’는 크게 이질적 요소를 삽입하거나 의도적인 노출 방식을 통해 일어난다. 이는 관객이 극에 몰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적극적인 참여자로 만든다. 둘째, 시공간과 결말이 열려 있어 관객의 상상력을 확장시킨다. 서사극은 개방형의 드라마 구조를 띠고 있다. 개방희곡은 시공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오히려 사건 진행에서 해방되어 열려 있다. 열려 있다는 것은 빈 여백이 존재하는 것이고, 그 빈 틈은 관객의 상상력으로 채워나가는 것이다. 이강백 희곡의 시공간은 겹시공간, 간소한 무대 장치, 상징적인 대사를 통해 열려 있다. 결말도 ‘미결정, 미해결’의 의미를 갖고 열려 있는데, 문제적 상황의 반복ㆍ변주ㆍ확장을 통해 다시 비유와 비판적 성찰로 관객을 이끌어간다. 셋째, 다양한 ...
지금까지 한국 희곡의 일반적인 개념은 개화기에 일본을 통해 들어온 사실주의극에 기반해 있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부터 다양한 형식 실험과 전통극의 활성화를 위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70년대에 등단한 이강백 역시 알레고리와 우화적 기법을 차용하여 비사실주의 작가 부류에 속한다. 그런 이유로 이강백 희곡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알레고리적 측면에서 다루어졌고, 인식되어 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동안 이강백 희곡에서 자세히 다루지 않은 서사극적 양상을 아스무트가 제시한 서사적 준거의 틀을 바탕으로 고찰하고, 그 특징을 논하였다. 또한 서사극적 양상의 특징이 관객에게 끼치는 영향과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는데, 「쥬라기의 사람들」, 「봄날」, 「칠산리」, 「동지섣달 꽃 본 듯이」, 「영월행 일기」, 「느낌, 극락같은」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Ⅱ장에서는 서사극적 양상의 특징과 효과를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생소화 효과’가 비유와 비판적 성찰을 유도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생소화 효과’는 크게 이질적 요소를 삽입하거나 의도적인 노출 방식을 통해 일어난다. 이는 관객이 극에 몰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적극적인 참여자로 만든다. 둘째, 시공간과 결말이 열려 있어 관객의 상상력을 확장시킨다. 서사극은 개방형의 드라마 구조를 띠고 있다. 개방희곡은 시공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오히려 사건 진행에서 해방되어 열려 있다. 열려 있다는 것은 빈 여백이 존재하는 것이고, 그 빈 틈은 관객의 상상력으로 채워나가는 것이다. 이강백 희곡의 시공간은 겹시공간, 간소한 무대 장치, 상징적인 대사를 통해 열려 있다. 결말도 ‘미결정, 미해결’의 의미를 갖고 열려 있는데, 문제적 상황의 반복ㆍ변주ㆍ확장을 통해 다시 비유와 비판적 성찰로 관객을 이끌어간다. 셋째, 다양한 서술자를 통해 소통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는 부가텍스트 안의 서술자, 내부적 소통 구조 안의 서술자, 내부적 소통 구조 밖의 서술자로 나뉜다. 부가텍스트 안의 서술자는 작가가 자세히 서술하고 있는 무대지시문과 행동지시문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이는 인물에 대한 구체적 묘사, 무대와 조명 제시, 오브제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서술자는 공연진을 통해 전달되므로 관객과의 소통 거리가 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내부적 소통 구조 안의 서술자는 「느낌, 극락같은」의 조숭인, 「쥬라기의 사람들」의 등장인물들, 「영월행 일기」의 조당전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들은 극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개별적이고, 관객을 몰입시키면서도 차단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인다. 내부적 소통 구조 밖의 서술자는 「칠산리」, 「동지섣달 꽃 본 듯이」, 「봄날」의 자식들이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다수의 인물이 모여 코러스의 역할을 할 때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인물의 행위를 보고, 지시 및 감독한다. 관객은 내부적 소통 구조 밖의 서술자와 같은 위치에서 극을 관찰하고 개입한다. 마지막으로 놀이성을 통해 서사극적 양상이 확장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서사극의 진지함 속에 숨겨진 놀이성은 극의 깊이와 재미를 이끌어낸다. 놀이성을 보여주는 다양한 방식으로 극중극 형식, 언어의 반복 및 따라하기, 서술자와 관객의 공모, 인물과 인물의 공모를 통해 드러난다. 그동안 서사극적 양상에 관한 논의는 단편적인 언급에 그쳤고, 깊이 있는 이해와 분석이 부족했다. 그래서 본 논문은 이강백 희곡의 서사극적 양상의 특징을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는데, 그러한 특징이 관객에게 다양한 효과를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강백은 현역 희곡작가이기에 앞으로도 다양한 작품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그의 작품세계에 관한 논의는 총체적인 접근과 함께 새로운 관점으로 재해석 되고 조명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한국 희곡의 일반적인 개념은 개화기에 일본을 통해 들어온 사실주의극에 기반해 있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부터 다양한 형식 실험과 전통극의 활성화를 위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70년대에 등단한 이강백 역시 알레고리와 우화적 기법을 차용하여 비사실주의 작가 부류에 속한다. 그런 이유로 이강백 희곡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알레고리적 측면에서 다루어졌고, 인식되어 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동안 이강백 희곡에서 자세히 다루지 않은 서사극적 양상을 아스무트가 제시한 서사적 준거의 틀을 바탕으로 고찰하고, 그 특징을 논하였다. 또한 서사극적 양상의 특징이 관객에게 끼치는 영향과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는데, 「쥬라기의 사람들」, 「봄날」, 「칠산리」, 「동지섣달 꽃 본 듯이」, 「영월행 일기」, 「느낌, 극락같은」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Ⅱ장에서는 서사극적 양상의 특징과 효과를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생소화 효과’가 비유와 비판적 성찰을 유도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생소화 효과’는 크게 이질적 요소를 삽입하거나 의도적인 노출 방식을 통해 일어난다. 이는 관객이 극에 몰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적극적인 참여자로 만든다. 둘째, 시공간과 결말이 열려 있어 관객의 상상력을 확장시킨다. 서사극은 개방형의 드라마 구조를 띠고 있다. 개방희곡은 시공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오히려 사건 진행에서 해방되어 열려 있다. 열려 있다는 것은 빈 여백이 존재하는 것이고, 그 빈 틈은 관객의 상상력으로 채워나가는 것이다. 이강백 희곡의 시공간은 겹시공간, 간소한 무대 장치, 상징적인 대사를 통해 열려 있다. 결말도 ‘미결정, 미해결’의 의미를 갖고 열려 있는데, 문제적 상황의 반복ㆍ변주ㆍ확장을 통해 다시 비유와 비판적 성찰로 관객을 이끌어간다. 셋째, 다양한 서술자를 통해 소통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는 부가텍스트 안의 서술자, 내부적 소통 구조 안의 서술자, 내부적 소통 구조 밖의 서술자로 나뉜다. 부가텍스트 안의 서술자는 작가가 자세히 서술하고 있는 무대지시문과 행동지시문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이는 인물에 대한 구체적 묘사, 무대와 조명 제시, 오브제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서술자는 공연진을 통해 전달되므로 관객과의 소통 거리가 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내부적 소통 구조 안의 서술자는 「느낌, 극락같은」의 조숭인, 「쥬라기의 사람들」의 등장인물들, 「영월행 일기」의 조당전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들은 극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개별적이고, 관객을 몰입시키면서도 차단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인다. 내부적 소통 구조 밖의 서술자는 「칠산리」, 「동지섣달 꽃 본 듯이」, 「봄날」의 자식들이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다수의 인물이 모여 코러스의 역할을 할 때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인물의 행위를 보고, 지시 및 감독한다. 관객은 내부적 소통 구조 밖의 서술자와 같은 위치에서 극을 관찰하고 개입한다. 마지막으로 놀이성을 통해 서사극적 양상이 확장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서사극의 진지함 속에 숨겨진 놀이성은 극의 깊이와 재미를 이끌어낸다. 놀이성을 보여주는 다양한 방식으로 극중극 형식, 언어의 반복 및 따라하기, 서술자와 관객의 공모, 인물과 인물의 공모를 통해 드러난다. 그동안 서사극적 양상에 관한 논의는 단편적인 언급에 그쳤고, 깊이 있는 이해와 분석이 부족했다. 그래서 본 논문은 이강백 희곡의 서사극적 양상의 특징을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는데, 그러한 특징이 관객에게 다양한 효과를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강백은 현역 희곡작가이기에 앞으로도 다양한 작품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그의 작품세계에 관한 논의는 총체적인 접근과 함께 새로운 관점으로 재해석 되고 조명되어야 한다.
The general conception of Korean dramas has been on the basis of realism theaters introduced from Japan at the time of civilization. But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experiments to activate diverse dramatic forms including traditional dramas in the 1970s. Made a literary debut in the 1970s, Lee Gang...
The general conception of Korean dramas has been on the basis of realism theaters introduced from Japan at the time of civilization. But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experiments to activate diverse dramatic forms including traditional dramas in the 1970s. Made a literary debut in the 1970s, Lee Gang-baek belongs to the category of nonrealistic dramatists who using allegories and fabulous techniques. In this vein, studies on Lee Gang-baek's drama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aspects of allegories. However, the investigator has examined the epic modality and characteristic of Lee Gang-baek's dramas that had not been precisely dealt in the preceding studies on his dramas, on the basis of the frame of epic criteria presented by Asmuth. In addition, the influence and effect of epic modality and characteristic upon audience was analyzed, centering on 「Jurassic People」, 「A Spring Day」, 「Chilsan Village」, 「As Viewing a Flower in the Winter」, 「A Diary of Yeongwol Trip」, and 「An Elysian Sense」 in this study. In the second chapter, the influence and effect of epic modality was analytically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in general.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making strange' induces allegories and critical self-examinations. 'The effect of making strange' derives from the insertion of heterogeneous components or the technique of intentional exposure. This cuts audience off from being immersed in a drama and then makes them active partakers. Second, because time & space, and conclusion are not confined, his dramas extend audience's imagination. An epic drama has an open-type structure, and an open-type drama, therefore, is not influenced by time and space. This type drama is free from the proceeding of an event and open to a variety of possibilities. Opening means there is a blank space, and the blank space is filled by audience' imagination. The time and space of Lee Gang-baek's dramas is open by an overlapped time and space, simple stage equipments, and a symbolic speech. The conclusion that has the meaning of 'unsettled' and 'unsolved' is also open, and attracts audience with allegories and critical self-examinations on the basis of the repetition, thematic variation, and extension of problematic situations. Third, the method of communication was examined through a variety of narrators. Narrator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1) the one who is within an additional text; (2) the one who is within the internal communication structure; and (3) the one who is outside the internal communication structure. The narrator who is within an additional text is mainly composed with stage instructions and behavior directions about which the dramatist describes precisely. This was examined through concrete description of characters, presentation of stage lighting, and objects. This narrator communicates with audience via performers, and therefore the distance from them is far. The narrator being in the internal communication structure has been examined through Jo Sung-in of 「An Elysian Sense」, characters of 「Jurassic People」, and Jo Dang-jeon of 「A Diary of Yeongwol Trip」. Theses narra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a drama, and show a twofold image―individualistic, and making audience being immersed in and cutting them off from a drama. The narrators being outside the internal communication structure were the children of 「Chilsan Village」, 「As Viewing a Flower in the Winter」, and 「A Spring Day」. They are outstanding when many people get together and play a role of chorus, and observe characters' behavior and instruct and supervise them. Audience observes a drama and intervenes in it from the same position with the narrator who are outside the internal communication structure Finally, through a playful nature,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extension of epic modality. Hiding under the sincerity of an epic drama, playfulness derives the depth and pleasure of a drama. Playfulness is presented in a variety of techniques such as the formation of a drama of dramas, repetitive mentioning and mimicking, the conspiracy among narrators and audience, and the conspiracy among characters. To date, the discussion on epic modality has been fragmentary, and lack of in-depth understanding and analysis. In this regard,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pic modality of Lee Gang-baek's dramas in detail. Study findings show that such characteristics have a variety of influences upon audience. Because he is an active dramatist, it is possible for him to write a variety of dramas in the future. Therefore, the discussion on his world of dramas must be approached comprehensively, and reinterpreted and highlighted with a new viewpoint.
The general conception of Korean dramas has been on the basis of realism theaters introduced from Japan at the time of civilization. But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experiments to activate diverse dramatic forms including traditional dramas in the 1970s. Made a literary debut in the 1970s, Lee Gang-baek belongs to the category of nonrealistic dramatists who using allegories and fabulous techniques. In this vein, studies on Lee Gang-baek's drama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aspects of allegories. However, the investigator has examined the epic modality and characteristic of Lee Gang-baek's dramas that had not been precisely dealt in the preceding studies on his dramas, on the basis of the frame of epic criteria presented by Asmuth. In addition, the influence and effect of epic modality and characteristic upon audience was analyzed, centering on 「Jurassic People」, 「A Spring Day」, 「Chilsan Village」, 「As Viewing a Flower in the Winter」, 「A Diary of Yeongwol Trip」, and 「An Elysian Sense」 in this study. In the second chapter, the influence and effect of epic modality was analytically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in general.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making strange' induces allegories and critical self-examinations. 'The effect of making strange' derives from the insertion of heterogeneous components or the technique of intentional exposure. This cuts audience off from being immersed in a drama and then makes them active partakers. Second, because time & space, and conclusion are not confined, his dramas extend audience's imagination. An epic drama has an open-type structure, and an open-type drama, therefore, is not influenced by time and space. This type drama is free from the proceeding of an event and open to a variety of possibilities. Opening means there is a blank space, and the blank space is filled by audience' imagination. The time and space of Lee Gang-baek's dramas is open by an overlapped time and space, simple stage equipments, and a symbolic speech. The conclusion that has the meaning of 'unsettled' and 'unsolved' is also open, and attracts audience with allegories and critical self-examinations on the basis of the repetition, thematic variation, and extension of problematic situations. Third, the method of communication was examined through a variety of narrators. Narrator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1) the one who is within an additional text; (2) the one who is within the internal communication structure; and (3) the one who is outside the internal communication structure. The narrator who is within an additional text is mainly composed with stage instructions and behavior directions about which the dramatist describes precisely. This was examined through concrete description of characters, presentation of stage lighting, and objects. This narrator communicates with audience via performers, and therefore the distance from them is far. The narrator being in the internal communication structure has been examined through Jo Sung-in of 「An Elysian Sense」, characters of 「Jurassic People」, and Jo Dang-jeon of 「A Diary of Yeongwol Trip」. Theses narra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a drama, and show a twofold image―individualistic, and making audience being immersed in and cutting them off from a drama. The narrators being outside the internal communication structure were the children of 「Chilsan Village」, 「As Viewing a Flower in the Winter」, and 「A Spring Day」. They are outstanding when many people get together and play a role of chorus, and observe characters' behavior and instruct and supervise them. Audience observes a drama and intervenes in it from the same position with the narrator who are outside the internal communication structure Finally, through a playful nature,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extension of epic modality. Hiding under the sincerity of an epic drama, playfulness derives the depth and pleasure of a drama. Playfulness is presented in a variety of techniques such as the formation of a drama of dramas, repetitive mentioning and mimicking, the conspiracy among narrators and audience, and the conspiracy among characters. To date, the discussion on epic modality has been fragmentary, and lack of in-depth understanding and analysis. In this regard,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pic modality of Lee Gang-baek's dramas in detail. Study findings show that such characteristics have a variety of influences upon audience. Because he is an active dramatist, it is possible for him to write a variety of dramas in the future. Therefore, the discussion on his world of dramas must be approached comprehensively, and reinterpreted and highlighted with a new viewpoi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