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은 추상적인 구상(構想)에 그치지 않고 현실세계의 실천적(practical) 생활의 제 문제에서 핵심적으로 논의될 근거를 지닌다. 그러나 이강백의 공간에 대한 연구가 양적으로 적었고, 공간 자체가 희곡을 읽는 분석틀로 도입되기 쉽지 않았다는 점에서 문제를 제기하며 논의를 시작하였다. 논의를 위해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 개념, 미하일 바흐찐의 대화주의 개념, 마리안느 허쉬의 욕망 개념을 원용하였다. 연구 범위는 1971년부터 1979년까지, 1979년부터 1987년까지, 1987년부터 1998년까지에 두고, 각장의 1절에서 극중 공간과 그것이 구현된 무대 위 공간을 살핀 뒤, 2절에서 그 공간의 ...
공간은 추상적인 구상(構想)에 그치지 않고 현실세계의 실천적(practical) 생활의 제 문제에서 핵심적으로 논의될 근거를 지닌다. 그러나 이강백의 공간에 대한 연구가 양적으로 적었고, 공간 자체가 희곡을 읽는 분석틀로 도입되기 쉽지 않았다는 점에서 문제를 제기하며 논의를 시작하였다. 논의를 위해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 개념, 미하일 바흐찐의 대화주의 개념, 마리안느 허쉬의 욕망 개념을 원용하였다. 연구 범위는 1971년부터 1979년까지, 1979년부터 1987년까지, 1987년부터 1998년까지에 두고, 각장의 1절에서 극중 공간과 그것이 구현된 무대 위 공간을 살핀 뒤, 2절에서 그 공간의 컨텍스트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II장은 제한된 공간과 역사 재현의 욕망이라는 제목으로 공간의 생산 과정을 검증하는 가설을 세워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다섯>, <셋>, <파수꾼>은 통치 질서가 재현되는 공간의 생산 과정을 재현한다고 분석되었다. 둘째로는 <알>, <결혼>, <미술관에서의 혼돈과 정리>를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하나의 질서를 두고 그에 대한 문제제기가 나왔을 때 그에 대한 반응이 어떠한지를 재현하고자 하는 욕망(desire)이 외부세계에서 찾지 못하는 무결하고 절대적인 질서를 공간으로 창조해 냈다는 가설을 검증해, 우화들 속에서 이강백이 제기하는 문제는 현실적이고 정치적이라는 지점을 찾아낼 수 있다고 보았다. III장은 광장 공간과 대화의 욕망이라는 제목으로 광장 공간으로의 확장을 꾀하는 변모를 살펴보았다. <족보>, <쥬라기의 사람들>, <봄날>의 세 희곡은 금지된 기억을 발화하고 그를 언술함으로써 감추어져 있던 지배적인 공간의 생산 원리를 드러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호모 세파라투스>와 <유토피아를 먹고 잠들다>를 살폈는데, 먼저 사이-공간이라는 개념을 원용하여 극중 공간이 띠고 있는 체제 저항적인 성격을 검증하였다. 이강백이 여전히 제한된 공간 안에서 사회 실험을 한다는 데에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나 그 양상이 다르다는 점에서 구분된다고 보았다. 초기의 작품이 사회 실험을 통한 공간의 생산을 재현하는 것 자체에 목적을 두었다면 다음 시기의 작품은 그것을 넘어 이강백의 메시지를 대화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사회 실험이었다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IV장은 대안 공간과 무경계의 욕망이라는 제목으로 1987년부터의 작품을 정리하였다. 이 시기에 들어 이강백은 무경계로의 확장을 꾀하는데, 이에 대한 가치판단을 내리기 전에 이를 현동하는 세계에 대한 재현 욕망으로 이해하고 <칠산리>와 <영자와 진택>을 검증하였다. 다음 절에서 <물거품>을 경유해 <영월행 일기>, <뼈와 살>, <느낌, 극락 같은>에 두드러지는 비현실적인 세계의 중첩과 작품의 배경 확장을 살펴보았다. 작품을 통해 볼 때 이강백은 재고하고 또 재고하며, 문제를 던지고 또 던지는 행위를 통하여 작품세계를 이어가는 작가라고 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공간은 추상적인 구상(構想)에 그치지 않고 현실세계의 실천적(practical) 생활의 제 문제에서 핵심적으로 논의될 근거를 지닌다. 그러나 이강백의 공간에 대한 연구가 양적으로 적었고, 공간 자체가 희곡을 읽는 분석틀로 도입되기 쉽지 않았다는 점에서 문제를 제기하며 논의를 시작하였다. 논의를 위해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 개념, 미하일 바흐찐의 대화주의 개념, 마리안느 허쉬의 욕망 개념을 원용하였다. 연구 범위는 1971년부터 1979년까지, 1979년부터 1987년까지, 1987년부터 1998년까지에 두고, 각장의 1절에서 극중 공간과 그것이 구현된 무대 위 공간을 살핀 뒤, 2절에서 그 공간의 컨텍스트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II장은 제한된 공간과 역사 재현의 욕망이라는 제목으로 공간의 생산 과정을 검증하는 가설을 세워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다섯>, <셋>, <파수꾼>은 통치 질서가 재현되는 공간의 생산 과정을 재현한다고 분석되었다. 둘째로는 <알>, <결혼>, <미술관에서의 혼돈과 정리>를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하나의 질서를 두고 그에 대한 문제제기가 나왔을 때 그에 대한 반응이 어떠한지를 재현하고자 하는 욕망(desire)이 외부세계에서 찾지 못하는 무결하고 절대적인 질서를 공간으로 창조해 냈다는 가설을 검증해, 우화들 속에서 이강백이 제기하는 문제는 현실적이고 정치적이라는 지점을 찾아낼 수 있다고 보았다. III장은 광장 공간과 대화의 욕망이라는 제목으로 광장 공간으로의 확장을 꾀하는 변모를 살펴보았다. <족보>, <쥬라기의 사람들>, <봄날>의 세 희곡은 금지된 기억을 발화하고 그를 언술함으로써 감추어져 있던 지배적인 공간의 생산 원리를 드러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호모 세파라투스>와 <유토피아를 먹고 잠들다>를 살폈는데, 먼저 사이-공간이라는 개념을 원용하여 극중 공간이 띠고 있는 체제 저항적인 성격을 검증하였다. 이강백이 여전히 제한된 공간 안에서 사회 실험을 한다는 데에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나 그 양상이 다르다는 점에서 구분된다고 보았다. 초기의 작품이 사회 실험을 통한 공간의 생산을 재현하는 것 자체에 목적을 두었다면 다음 시기의 작품은 그것을 넘어 이강백의 메시지를 대화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사회 실험이었다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IV장은 대안 공간과 무경계의 욕망이라는 제목으로 1987년부터의 작품을 정리하였다. 이 시기에 들어 이강백은 무경계로의 확장을 꾀하는데, 이에 대한 가치판단을 내리기 전에 이를 현동하는 세계에 대한 재현 욕망으로 이해하고 <칠산리>와 <영자와 진택>을 검증하였다. 다음 절에서 <물거품>을 경유해 <영월행 일기>, <뼈와 살>, <느낌, 극락 같은>에 두드러지는 비현실적인 세계의 중첩과 작품의 배경 확장을 살펴보았다. 작품을 통해 볼 때 이강백은 재고하고 또 재고하며, 문제를 던지고 또 던지는 행위를 통하여 작품세계를 이어가는 작가라고 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Space is not only an abstract idea, but also has a basis for core discussion in the problems of practical life in the real world. However, the discussion began by raising the problem in that there were few quantitative studies on Lee Kang-baek's space of his play, and the space itself was not easy t...
Space is not only an abstract idea, but also has a basis for core discussion in the problems of practical life in the real world. However, the discussion began by raising the problem in that there were few quantitative studies on Lee Kang-baek's space of his play, and the space itself was not easy to be introduced as an analysis frame for reading plays. For discussion, Henri Lefebvre's concept of space, Mikhail Bachchin's concept of dialogue, and Marianne Hirsch's concept of desire were used. The scope of the study was set from 1971 to 1979, 1979 to 1987, and 1987 to 1998, and the discussion was conducted in the first verse of each chapter, looking at the space in which it was embodied, and then focusing on the context of the space in the second verse. Chapter II was discussed by establishing a hypothesis to verify the production process of space under the title of the desire to reproduce limited space and history. First, it was analyzed that , , and reproduce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space in which the ruling order is reproduced. Second, discussions were conducted on , , and . By verifying the hypothesis that the desire to reproduce the response when a question was raised about an order created a flawless and absolute order that could not be found in the outside world into space, we can find a point in the fables that Lee Kang-baek raises is realistic and political. Chapter III examined the transformation of expanding into the square space under the title of Square Space and Desire for Conversa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three plays of , , and reveal the principle of production of the hidden dominant space by uttering forbidden memories and describing them. and were examined, and first, the concept of in-betweenness was used to verify the system-resistance character of space in the play. It was considered that Lee Kang-baek still has something in common in that he conducts social experiments within a limited space, but it is distinguished in that the patterns are different. If the initial work was aimed at reproducing the production of space through social experiments itself, it was summarized that the work of the next period was a social experiment to communicate Lee Kang-baek's message in a conversational manner. Chapter IV summarizes works from 1987 under the title of alternative space and borderless desire. During this period, Lee Kang-baek sought to expand to the borderless road, and before making a value judgment on it, he understood it as a desire to reproduce the modern world and verified and In the next section, we looked at the overlap of the unrealistic world and the expansion of the background of the work, which stands out in , , and .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ork, it was concluded that Lee Kang-baek could be seen as a writer who continues the world of the work through the act of reconsidering and rethinking and throwing problems and throwing problems.
Space is not only an abstract idea, but also has a basis for core discussion in the problems of practical life in the real world. However, the discussion began by raising the problem in that there were few quantitative studies on Lee Kang-baek's space of his play, and the space itself was not easy to be introduced as an analysis frame for reading plays. For discussion, Henri Lefebvre's concept of space, Mikhail Bachchin's concept of dialogue, and Marianne Hirsch's concept of desire were used. The scope of the study was set from 1971 to 1979, 1979 to 1987, and 1987 to 1998, and the discussion was conducted in the first verse of each chapter, looking at the space in which it was embodied, and then focusing on the context of the space in the second verse. Chapter II was discussed by establishing a hypothesis to verify the production process of space under the title of the desire to reproduce limited space and history. First, it was analyzed that , , and reproduce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space in which the ruling order is reproduced. Second, discussions were conducted on , , and . By verifying the hypothesis that the desire to reproduce the response when a question was raised about an order created a flawless and absolute order that could not be found in the outside world into space, we can find a point in the fables that Lee Kang-baek raises is realistic and political. Chapter III examined the transformation of expanding into the square space under the title of Square Space and Desire for Conversa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three plays of , , and reveal the principle of production of the hidden dominant space by uttering forbidden memories and describing them. and were examined, and first, the concept of in-betweenness was used to verify the system-resistance character of space in the play. It was considered that Lee Kang-baek still has something in common in that he conducts social experiments within a limited space, but it is distinguished in that the patterns are different. If the initial work was aimed at reproducing the production of space through social experiments itself, it was summarized that the work of the next period was a social experiment to communicate Lee Kang-baek's message in a conversational manner. Chapter IV summarizes works from 1987 under the title of alternative space and borderless desire. During this period, Lee Kang-baek sought to expand to the borderless road, and before making a value judgment on it, he understood it as a desire to reproduce the modern world and verified and In the next section, we looked at the overlap of the unrealistic world and the expansion of the background of the work, which stands out in , , and .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ork, it was concluded that Lee Kang-baek could be seen as a writer who continues the world of the work through the act of reconsidering and rethinking and throwing problems and throwing problems.
Keyword
#이강백 공간 공간성 욕망 대화 Lee Kang-baek Space Spatiallity Desire Dialogue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민주
학위수여기관
중앙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국어국문학과 현대문학전공
지도교수
박명진
발행연도
2023
총페이지
ii, 201 p.
키워드
이강백 공간 공간성 욕망 대화 Lee Kang-baek Space Spatiallity Desire Dialogu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