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아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그에 따른 영아기 교육이 더욱 구체화되고 계획화 되어가는 상황에서 영아미술교육 또한 이러한 흐름 속에 발맞추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영아를 위한 미술교육에 있어 그 교육적 가치를 이미 인정받고 있는 그림책을 활용함으로써 가정에서도 적용 가능한 구체적 교육프로그램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많은 시간을 가정에서 보내게 되는 영아로 하여금 구체적이고 계획된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하며, 주 양육자이자 교...
본 연구는 영아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그에 따른 영아기 교육이 더욱 구체화되고 계획화 되어가는 상황에서 영아미술교육 또한 이러한 흐름 속에 발맞추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영아를 위한 미술교육에 있어 그 교육적 가치를 이미 인정받고 있는 그림책을 활용함으로써 가정에서도 적용 가능한 구체적 교육프로그램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많은 시간을 가정에서 보내게 되는 영아로 하여금 구체적이고 계획된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하며, 주 양육자이자 교육자인 어머니에게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영아미술교육에 대한 정보와 방법을 제시해 줄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그림책에 대한 정의와 미술 교육적 가치, 미술 교육적 활용 등에 대한 선행연구와 문헌을 찾아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또한 적정한 월령에 알맞은 프로그램 구성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영아의 발달 단계적 특징, 미술표현의 특징 및 영아미술지도의 재료와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전국의 12개월-36개월 미만의 영아를 둔 어머니 62명을 대상으로 영아미술교육 및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미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주제로 설문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선정된 6종류의 그림책을 중심으로 수업안을 계획하고, 12개월-36개월 미만의 영아 12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각 수업안에 대해 영아들의 활동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또한 수업종료 후 12명의 영아 어머니(주 양육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을 분석, 정리하였고, 최종적으로 수업종료 후 20일여일이 경과한 후 실험대상 영아의 어머니(주 양육자) 5명과 전화통화로 사후 그림책 활용을 통한 미술교육현황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그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적 효과에 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은 영아와 어머니(주 양육자)에게 대체로 익숙한 그림책을 활용함으로 어머니가 미술교육의 소재에 대한 정보를 비교적 손쉽게 제공받아 가정에서 구체적이고 계획된 활동을 시작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은 표현하고자 하는 영아의 욕구를 가정에서도 자유롭게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는 시간을 가능하도록 해주었으며, 어머니와 가정에서 함께 하는 활동으로 영아의 정서적인 안정과 집중력에도 도움을 주었다.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은 학습적인 측면에서 볼 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어머니와의 자유로운 활동이 보장됨으로써 미술활동과 더불어 그림책 읽기 등 가정에서 행해지는 모든 활동이 연계되어 통합적인 교육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미술교육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 본 연구자는 몇 가지 사항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우선 양질의 미술교육 자료로써 그림책 활용에 대한 관심을 더욱 가져야 하며, 영아가 자주 접하게 되는 그림책을 볼 때마다 그 내용과 그림 등을 미술교육에 소재로 이끌어내 활용하려는 어머니들의 적극적인 자세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이를 위해 영아미술교육방법이나 발달단계별 지침서 등의 정보제공이 매우 시급하며 전문가들이 적극 참여하여 계획되는 그림책 활용 영아미술프로그램에 대한 개발도 요구된다.
본 연구는 영아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그에 따른 영아기 교육이 더욱 구체화되고 계획화 되어가는 상황에서 영아미술교육 또한 이러한 흐름 속에 발맞추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영아를 위한 미술교육에 있어 그 교육적 가치를 이미 인정받고 있는 그림책을 활용함으로써 가정에서도 적용 가능한 구체적 교육프로그램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많은 시간을 가정에서 보내게 되는 영아로 하여금 구체적이고 계획된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하며, 주 양육자이자 교육자인 어머니에게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영아미술교육에 대한 정보와 방법을 제시해 줄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그림책에 대한 정의와 미술 교육적 가치, 미술 교육적 활용 등에 대한 선행연구와 문헌을 찾아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또한 적정한 월령에 알맞은 프로그램 구성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영아의 발달 단계적 특징, 미술표현의 특징 및 영아미술지도의 재료와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전국의 12개월-36개월 미만의 영아를 둔 어머니 62명을 대상으로 영아미술교육 및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미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주제로 설문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선정된 6종류의 그림책을 중심으로 수업안을 계획하고, 12개월-36개월 미만의 영아 12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각 수업안에 대해 영아들의 활동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또한 수업종료 후 12명의 영아 어머니(주 양육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을 분석, 정리하였고, 최종적으로 수업종료 후 20일여일이 경과한 후 실험대상 영아의 어머니(주 양육자) 5명과 전화통화로 사후 그림책 활용을 통한 미술교육현황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그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적 효과에 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은 영아와 어머니(주 양육자)에게 대체로 익숙한 그림책을 활용함으로 어머니가 미술교육의 소재에 대한 정보를 비교적 손쉽게 제공받아 가정에서 구체적이고 계획된 활동을 시작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은 표현하고자 하는 영아의 욕구를 가정에서도 자유롭게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는 시간을 가능하도록 해주었으며, 어머니와 가정에서 함께 하는 활동으로 영아의 정서적인 안정과 집중력에도 도움을 주었다.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은 학습적인 측면에서 볼 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어머니와의 자유로운 활동이 보장됨으로써 미술활동과 더불어 그림책 읽기 등 가정에서 행해지는 모든 활동이 연계되어 통합적인 교육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미술교육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 본 연구자는 몇 가지 사항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우선 양질의 미술교육 자료로써 그림책 활용에 대한 관심을 더욱 가져야 하며, 영아가 자주 접하게 되는 그림책을 볼 때마다 그 내용과 그림 등을 미술교육에 소재로 이끌어내 활용하려는 어머니들의 적극적인 자세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이를 위해 영아미술교육방법이나 발달단계별 지침서 등의 정보제공이 매우 시급하며 전문가들이 적극 참여하여 계획되는 그림책 활용 영아미술프로그램에 대한 개발도 요구된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wareness of a need for changes in infant art education in step with the flow of greater understanding of importance of the infant period and the trend of more specific and planned infant education. Based on this ne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picture books, wh...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wareness of a need for changes in infant art education in step with the flow of greater understanding of importance of the infant period and the trend of more specific and planned infant education. Based on this ne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picture books, which have acknowledged educational value in infant art education, and present a specific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adapted in the home, too. This is expected to allow infants to be educated with a specific and planned educational program in the home, where they spend a lot of time, and present a variety of specific information on art methods and infant art education for mothers, who are the raisers and educators of infants. The following steps were taken in the study to reach this purpose. The definition of picture books and their art educational value, and use of picture books in art education were found through existing studies and books and analyzed, in chapter II. Nex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fant development stage, characteristics of artistic expressions, and the materials and method of infant art education were analyzed based on existing studies in order to structure an appropriate program fit for the infant period. In chapter III, a survey was carried out on 62 mothers nationwide of infants aged between 12 months and 36 months, on infant art education and the use of picture books in infant art education,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chapter IV, plans of lesson was designed based on the selected 6 types of picture books, and lessons were carried out to 12 infants aged between 12 months and 36 months. The activity contents of the infants according to each lesson design were analyzed. The mothers (main guardian) of the 12 infants were surveyed after the lesson, and their opinions on art educational programs using picture books were analyzed, and 20 days after the lesson, 5 mothers (main guardians) of the infant subjects were interviewed by telephone and their use of picture books in the art education field at the time was talked about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 the following results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using picture books for art educational programs. First, art education programs using picture books provided a point to start specific and planned activities in the home through the use of picture books the infant and mother (main guardian) were fairly familiar with, because the mother was able to comparatively easily access information on art education materials. Second, art educational programs using picture books allows time for the infant to freely and fully satisfy its needs of expression in the home, and activities with the mother in the home helped infants’ emotional stability and concentration. Third,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using picture books for art educational programs guaranteed free activities with the mother without any time restraints, and so it made all other combined education in the home in connection to art education possible, such as reading picture books, etc. This study presents a few points for more activation of infant art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First, mothers need to have more interest in the use of picture books as a form of quality art educational material, and have an active attitude of trying to use contents and pictures of picture books an infant sees frequently as art education materials. Information on methods of infant art education or guides for each stage of infant art education are very urgent matters in this respect, and there is also a need to develop infant art programs using picture books planned and made by the active participation of specialists.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wareness of a need for changes in infant art education in step with the flow of greater understanding of importance of the infant period and the trend of more specific and planned infant education. Based on this ne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picture books, which have acknowledged educational value in infant art education, and present a specific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adapted in the home, too. This is expected to allow infants to be educated with a specific and planned educational program in the home, where they spend a lot of time, and present a variety of specific information on art methods and infant art education for mothers, who are the raisers and educators of infants. The following steps were taken in the study to reach this purpose. The definition of picture books and their art educational value, and use of picture books in art education were found through existing studies and books and analyzed, in chapter II. Nex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fant development stage, characteristics of artistic expressions, and the materials and method of infant art education were analyzed based on existing studies in order to structure an appropriate program fit for the infant period. In chapter III, a survey was carried out on 62 mothers nationwide of infants aged between 12 months and 36 months, on infant art education and the use of picture books in infant art education,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chapter IV, plans of lesson was designed based on the selected 6 types of picture books, and lessons were carried out to 12 infants aged between 12 months and 36 months. The activity contents of the infants according to each lesson design were analyzed. The mothers (main guardian) of the 12 infants were surveyed after the lesson, and their opinions on art educational programs using picture books were analyzed, and 20 days after the lesson, 5 mothers (main guardians) of the infant subjects were interviewed by telephone and their use of picture books in the art education field at the time was talked about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 the following results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using picture books for art educational programs. First, art education programs using picture books provided a point to start specific and planned activities in the home through the use of picture books the infant and mother (main guardian) were fairly familiar with, because the mother was able to comparatively easily access information on art education materials. Second, art educational programs using picture books allows time for the infant to freely and fully satisfy its needs of expression in the home, and activities with the mother in the home helped infants’ emotional stability and concentration. Third,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using picture books for art educational programs guaranteed free activities with the mother without any time restraints, and so it made all other combined education in the home in connection to art education possible, such as reading picture books, etc. This study presents a few points for more activation of infant art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First, mothers need to have more interest in the use of picture books as a form of quality art educational material, and have an active attitude of trying to use contents and pictures of picture books an infant sees frequently as art education materials. Information on methods of infant art education or guides for each stage of infant art education are very urgent matters in this respect, and there is also a need to develop infant art programs using picture books planned and made by the active participation of specialis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