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는 지식 · 정보화의 영향 및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경제 · 사회구조가 급변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생활환경에도 영향을 미쳐 소비자문제가 복잡하고 다양화됨으로써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미래의 소비주체인 어린이와 청소년이 자주적인 역량을 강화하여 사회대처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소비자교육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민간소비자단체의 청소년소비자교육 실태를 살펴보고 청소년소비자교육 발전방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민간소비자단체의 청소년소비자교육을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청소년소비자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대안마련에 부분적으로나마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 등록된 소비자단체의 실무자를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도구로는 구조화된 설문지와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면접조사를 위한 면접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소비자교육과 민간소비자단체의 현황에 관한 선행연구(김보금, 2006; 이득연 · 송순영, 1992; 홍연금, 1998)를 참고하여 청소년소비자교육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상세한 문항을 포함시켜 연구자가 작성한 것으로 조사단체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문항과 청소년소비자교육의 실시 현황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 별지에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진행된 청소년소비자교육의 제목, 교육회수,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직접 기입하도록 하였다. 민간소비자단체의 청소년소비자교육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청소년소비자 교육을 현장에서 2년 이상 실시하고 소비자부분 업무 경력 5년 이상의 요건을 갖춘 7명의 실무전문가와, 청소년소비자교육이 대부분 학교에서 이뤄지고 있어 교직경력 10년 이상인 교사를 대상으로 ...
21세기는 지식 · 정보화의 영향 및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경제 · 사회구조가 급변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생활환경에도 영향을 미쳐 소비자문제가 복잡하고 다양화됨으로써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미래의 소비주체인 어린이와 청소년이 자주적인 역량을 강화하여 사회대처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소비자교육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민간소비자단체의 청소년소비자교육 실태를 살펴보고 청소년소비자교육 발전방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민간소비자단체의 청소년소비자교육을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청소년소비자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대안마련에 부분적으로나마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 등록된 소비자단체의 실무자를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도구로는 구조화된 설문지와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면접조사를 위한 면접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소비자교육과 민간소비자단체의 현황에 관한 선행연구(김보금, 2006; 이득연 · 송순영, 1992; 홍연금, 1998)를 참고하여 청소년소비자교육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상세한 문항을 포함시켜 연구자가 작성한 것으로 조사단체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문항과 청소년소비자교육의 실시 현황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 별지에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진행된 청소년소비자교육의 제목, 교육회수,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직접 기입하도록 하였다. 민간소비자단체의 청소년소비자교육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청소년소비자 교육을 현장에서 2년 이상 실시하고 소비자부분 업무 경력 5년 이상의 요건을 갖춘 7명의 실무전문가와, 청소년소비자교육이 대부분 학교에서 이뤄지고 있어 교직경력 10년 이상인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우편설문조사 결과 회수된 66개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교육 내용분석에 42개 단체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 방법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을 이용하였다. 교육의 내용분석을 위해 사회소비자교육을 대상으로 연구한 이득연와 송순영(1992)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청소년소비자교육의 교육모형을 연구한 이기춘과 서정희(1992), 김영옥(1999), 홍연금(1999) 그리고 배윤정(2000)의 소비자교육의 분류기준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분석하였다. 청소년소비자교육의 실태와 교육내용 분석 그리고 전문실무자와 교사를 대상으로 면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민간소비자단체의 청소년소비자교육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답단체 대부분이 청소년소비자교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체의 연간 청소년소비자교육 회수는 10회 미만으로 대부분이 단기적 비연속적인 교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은 대부분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육방법은 대부분 강의식으로 나타났다. 교육 강사는 전문가와 상근직원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교육을 위한 전문가와 교육진행에 도움을 주는 비전문가는 대부분이 구성되어 있지 않았다. 청소년소비자교육 예산은 단체 소비자교육 예산의 10%미만을 대부분 차지하고 있어 부족한 편이었고, 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제약요인으로 '예산 부족',‘교육담당자 상근인력 확보의 어려움’그리고‘교육대상자 모집의 어려움’순으로 나타났다. 2. 민간소비자단체에서 2005년~2006년 동안 실시한 청소년소비자 교육영역은 두해 모두 연 10회 이상 신용, 합리적인 소비생활, 화폐, 경제원리, 소비자정보기술, 소비자불만처리, 소비자법제와 기구, 환경과 책임에 대한 주제였다. 반면, 두해 모두 연 10회 미만 실시된 주제로는 소비자욕구, 경제상황 변화, 소비자문제해결과정에 대한 것이었다. 또한 소비환경 변화와 소비자책임과 참여는 비교적 다뤄지지 않았으며, 세금과 소비자참여 형태의 소비자운동에 관한 영역은 거의 구성되어 있지 않았다. 3. 민간소비자단체의 청소년소비자교육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무자와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조사 결과 청소년소비자교육을 하는 이유로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소비자의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소비자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그리고 소비자운동의 일환으로 필요하다고 하였다. 반면 교육커리큘럼 개발의 부족과 기존의 교육방식을 답습하고 있어 행사 및 특강위주 교육방법을 지적했다. 교육 후 평가기준 마련과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단체의 소비자교육의 강점으로는 풍부한 사례를 통한 소비생활전반에 걸쳐 살아있는 교육이며 찾아가서 실시하는 교육 기동성이 뛰어나다는 것이었고, 교사들은 학교로 찾아오는 교육의 방향에 대해서 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 구성과 소그룹으로 참여와 체험식으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대상에 맞는 강의기법과 다양한 교육 자료를 사용하고 교육 후에 평가가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민간소비자단체의 청소년소비자교육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소비자단체의 차별화된 교육가치 방법론으로 학습자 중심, 수요자 중심으로 실용적인 측면의 내용을 구성하여 청소년소비자들이 건전한 소비가치 및 소비윤리를 확립하도록 한다. 청소년소비자교육 콘텐츠 개발과 공급의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면서 학교, 가정, 지역사회를 통합할 수 있는 소비자교육의 균형발전을 이룩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교육방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해야 한다. 학습자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강의와 토론을 병행하는 등 역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소비생활 체험의 통합학습의 장인 캠프운영을 제안한다. 셋째, 인적자원을 개발해야 한다. 청소년대상 소비자교육은 모둠별 체험식의 교육진행으로 보조역할을 할 지도자가 필요하다. 실무자 역량개발과 지도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의 인적자원을 활용할 네트워크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미래 경제사회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청소년소비자교육에 대한 중앙정부나 자치단체의 재정적·제도적 지원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소비자교육을 기획하고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21세기는 지식 · 정보화의 영향 및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경제 · 사회구조가 급변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생활환경에도 영향을 미쳐 소비자문제가 복잡하고 다양화됨으로써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미래의 소비주체인 어린이와 청소년이 자주적인 역량을 강화하여 사회대처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소비자교육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민간소비자단체의 청소년소비자교육 실태를 살펴보고 청소년소비자교육 발전방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민간소비자단체의 청소년소비자교육을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청소년소비자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대안마련에 부분적으로나마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 등록된 소비자단체의 실무자를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도구로는 구조화된 설문지와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면접조사를 위한 면접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소비자교육과 민간소비자단체의 현황에 관한 선행연구(김보금, 2006; 이득연 · 송순영, 1992; 홍연금, 1998)를 참고하여 청소년소비자교육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상세한 문항을 포함시켜 연구자가 작성한 것으로 조사단체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문항과 청소년소비자교육의 실시 현황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 별지에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진행된 청소년소비자교육의 제목, 교육회수,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직접 기입하도록 하였다. 민간소비자단체의 청소년소비자교육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청소년소비자 교육을 현장에서 2년 이상 실시하고 소비자부분 업무 경력 5년 이상의 요건을 갖춘 7명의 실무전문가와, 청소년소비자교육이 대부분 학교에서 이뤄지고 있어 교직경력 10년 이상인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우편설문조사 결과 회수된 66개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교육 내용분석에 42개 단체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 방법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을 이용하였다. 교육의 내용분석을 위해 사회소비자교육을 대상으로 연구한 이득연와 송순영(1992)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청소년소비자교육의 교육모형을 연구한 이기춘과 서정희(1992), 김영옥(1999), 홍연금(1999) 그리고 배윤정(2000)의 소비자교육의 분류기준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분석하였다. 청소년소비자교육의 실태와 교육내용 분석 그리고 전문실무자와 교사를 대상으로 면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민간소비자단체의 청소년소비자교육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답단체 대부분이 청소년소비자교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체의 연간 청소년소비자교육 회수는 10회 미만으로 대부분이 단기적 비연속적인 교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은 대부분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육방법은 대부분 강의식으로 나타났다. 교육 강사는 전문가와 상근직원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교육을 위한 전문가와 교육진행에 도움을 주는 비전문가는 대부분이 구성되어 있지 않았다. 청소년소비자교육 예산은 단체 소비자교육 예산의 10%미만을 대부분 차지하고 있어 부족한 편이었고, 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제약요인으로 '예산 부족',‘교육담당자 상근인력 확보의 어려움’그리고‘교육대상자 모집의 어려움’순으로 나타났다. 2. 민간소비자단체에서 2005년~2006년 동안 실시한 청소년소비자 교육영역은 두해 모두 연 10회 이상 신용, 합리적인 소비생활, 화폐, 경제원리, 소비자정보기술, 소비자불만처리, 소비자법제와 기구, 환경과 책임에 대한 주제였다. 반면, 두해 모두 연 10회 미만 실시된 주제로는 소비자욕구, 경제상황 변화, 소비자문제해결과정에 대한 것이었다. 또한 소비환경 변화와 소비자책임과 참여는 비교적 다뤄지지 않았으며, 세금과 소비자참여 형태의 소비자운동에 관한 영역은 거의 구성되어 있지 않았다. 3. 민간소비자단체의 청소년소비자교육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무자와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조사 결과 청소년소비자교육을 하는 이유로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소비자의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소비자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그리고 소비자운동의 일환으로 필요하다고 하였다. 반면 교육커리큘럼 개발의 부족과 기존의 교육방식을 답습하고 있어 행사 및 특강위주 교육방법을 지적했다. 교육 후 평가기준 마련과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단체의 소비자교육의 강점으로는 풍부한 사례를 통한 소비생활전반에 걸쳐 살아있는 교육이며 찾아가서 실시하는 교육 기동성이 뛰어나다는 것이었고, 교사들은 학교로 찾아오는 교육의 방향에 대해서 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 구성과 소그룹으로 참여와 체험식으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대상에 맞는 강의기법과 다양한 교육 자료를 사용하고 교육 후에 평가가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민간소비자단체의 청소년소비자교육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소비자단체의 차별화된 교육가치 방법론으로 학습자 중심, 수요자 중심으로 실용적인 측면의 내용을 구성하여 청소년소비자들이 건전한 소비가치 및 소비윤리를 확립하도록 한다. 청소년소비자교육 콘텐츠 개발과 공급의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면서 학교, 가정, 지역사회를 통합할 수 있는 소비자교육의 균형발전을 이룩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교육방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해야 한다. 학습자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강의와 토론을 병행하는 등 역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소비생활 체험의 통합학습의 장인 캠프운영을 제안한다. 셋째, 인적자원을 개발해야 한다. 청소년대상 소비자교육은 모둠별 체험식의 교육진행으로 보조역할을 할 지도자가 필요하다. 실무자 역량개발과 지도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의 인적자원을 활용할 네트워크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미래 경제사회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청소년소비자교육에 대한 중앙정부나 자치단체의 재정적·제도적 지원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소비자교육을 기획하고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21st century, the emergence of knowledge-based,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and the advance in scientific technology have fueled rapid changes in socioeconomic structure. That affects the living environments of consumers as well, giving rise to complicated and diverse consumer problems. Thi...
In the 21st century, the emergence of knowledge-based,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and the advance in scientific technology have fueled rapid changes in socioeconomic structure. That affects the living environments of consumers as well, giving rise to complicated and diverse consumer problems. This phenomenon is one of grave social problems that need an immediate attention. The necessity of consumer education is absolute as a way to teach children and the youth, who are prospective consumers, to become more independent and better respond to changing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youth consumer education provided by private consumer groups and to determin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youth consumer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help private consumer groups offer better youth consumer education, and to make some contribution to policy setting related to tha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working-level people from consumer groups that registered with Korea Consumer Group Council.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tructured and open-end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 interview was implemented as well. The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by this researcher based on earlier studies on the state of consumer education and private consumer groups to get an accurate grasp of the state of youth consumer education. The questionnaires cove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state of youth consumer education. The working-level people were asked to write down on separate sheet the title of youth consumer education they provided in 2005 and 2006, content of education, education frequency, teaching method, place and number of students. To acquire detailed information on consumer education methodology,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on seven working-level experts and teachers with a 10-year or more career from six different schools. The experts had provided youth consumer education for two years or more and had been in charge of relevant work for five years or more. As youth consumer education was conducted mostly in school, the teachers who worked in six different schools were interviewed as well. Out of the schools, three provided youth consumer education, and the others didn't. After the survey was taken by mail, the collected answer sheets from 66 respondents were analyzed, and data on youth consumer education offered by 42 groups were analyzed as well.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were acquired. To make a content analysis of youth consumer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is researcher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of consumer education utilized by earlier studies on social and youth consumer education. All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tent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mbined to show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youth consumer education by private consumer group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for the reality of youth consumer education by the private consumer groups, most of the private consumer groups offered consumer education to adolescents. They did it less than 10 times a year, on a short-term and irregular basis. Youth consumer education was mostly conducted in school and in the form of lecture. Specialists and the full- time employees of the consumer groups served as lecturers. The majority of the youth groups weren't equipped with specialists in youth consumer education and assistants who could lend assistance to that education, and the budget for that education accounted for less than 10 percent of the overall consumer education budget of the organizations, which indicated that there wasn't sufficient budget earmarked for that education. The greatest hurdle to that education was inadequate budget, and the second most dominant obstacle was that it's not easy to secure full-time educators and to attract students who would receive that education. 2. The youth consumer education conducted by the private consumer groups in 2005 and 2006 leaned toward credit, rational consumer life, money, economic principles,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 grievance handling, consumer law, relevant organs, the environment and liability. The private consumer groups didn't give weight to education about consumer needs, changes in economic situations, and problem-solving process, and they rarely dealt with changes in consumer environments, consumer responsibility, consumer participation, tax and consumer campaign. 3. As a result of having an interview with the working-level people and teachers to gather information on youth consumer education methodology, the private consumer organizations conducted youth consumer education to make up for unsystematic school education, to improve practical consumer ability and to prevent consumers from suffering any harm in advance. In relation to the reality of the education, they pointed out a lack of curriculum, sticking to existing teaching methods, a shortage of post-education evaluation criteria and insufficient budget as problems with that education. In fact, however, the consumer organizations provided extensive and practical education by presenting plenty of cases, and went anywhere to teach adolescent. Their youth consumer education was comprehensive enough to handle consumer ability, philosophy and even ethics. The teachers interviewed placed emphasis on practical and applicable consumer education by class or small group, the use of diverse and experiential teaching methods tailored to each group of students, and the necessity of post-education evaluation.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youth consumer education provided by private consumer organizations: First, private consumer groups should adopt a differentiated educational methodology to offer learner-centered, client-centered, and practical education. They should serve as a catalyst in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ry to actualize balanced consumer education. Second, a wide variety of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prepared and applied. Consum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conducted in a dynamic way. For instance, a combination of lecture and discussion method will boost interaction with learners. Students may participate in a camp to learn how to consume in an integrative manner. Third, qualified human resources should be developed. To offer experiential youth consumer education in group, assistant leaders are required. Assistant leaders should be nurtured in a systematic way, and every local community should take measures to take advantage of all the human resources available. Finally,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offer steady financial and institutional aid to dynamize youth consumer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he emergence of knowledge-based,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and the advance in scientific technology have fueled rapid changes in socioeconomic structure. That affects the living environments of consumers as well, giving rise to complicated and diverse consumer problems. This phenomenon is one of grave social problems that need an immediate attention. The necessity of consumer education is absolute as a way to teach children and the youth, who are prospective consumers, to become more independent and better respond to changing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youth consumer education provided by private consumer groups and to determin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youth consumer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help private consumer groups offer better youth consumer education, and to make some contribution to policy setting related to tha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working-level people from consumer groups that registered with Korea Consumer Group Council.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tructured and open-end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 interview was implemented as well. The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by this researcher based on earlier studies on the state of consumer education and private consumer groups to get an accurate grasp of the state of youth consumer education. The questionnaires cove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state of youth consumer education. The working-level people were asked to write down on separate sheet the title of youth consumer education they provided in 2005 and 2006, content of education, education frequency, teaching method, place and number of students. To acquire detailed information on consumer education methodology,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on seven working-level experts and teachers with a 10-year or more career from six different schools. The experts had provided youth consumer education for two years or more and had been in charge of relevant work for five years or more. As youth consumer education was conducted mostly in school, the teachers who worked in six different schools were interviewed as well. Out of the schools, three provided youth consumer education, and the others didn't. After the survey was taken by mail, the collected answer sheets from 66 respondents were analyzed, and data on youth consumer education offered by 42 groups were analyzed as well.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were acquired. To make a content analysis of youth consumer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is researcher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of consumer education utilized by earlier studies on social and youth consumer education. All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tent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mbined to show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youth consumer education by private consumer group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for the reality of youth consumer education by the private consumer groups, most of the private consumer groups offered consumer education to adolescents. They did it less than 10 times a year, on a short-term and irregular basis. Youth consumer education was mostly conducted in school and in the form of lecture. Specialists and the full- time employees of the consumer groups served as lecturers. The majority of the youth groups weren't equipped with specialists in youth consumer education and assistants who could lend assistance to that education, and the budget for that education accounted for less than 10 percent of the overall consumer education budget of the organizations, which indicated that there wasn't sufficient budget earmarked for that education. The greatest hurdle to that education was inadequate budget, and the second most dominant obstacle was that it's not easy to secure full-time educators and to attract students who would receive that education. 2. The youth consumer education conducted by the private consumer groups in 2005 and 2006 leaned toward credit, rational consumer life, money, economic principles,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 grievance handling, consumer law, relevant organs, the environment and liability. The private consumer groups didn't give weight to education about consumer needs, changes in economic situations, and problem-solving process, and they rarely dealt with changes in consumer environments, consumer responsibility, consumer participation, tax and consumer campaign. 3. As a result of having an interview with the working-level people and teachers to gather information on youth consumer education methodology, the private consumer organizations conducted youth consumer education to make up for unsystematic school education, to improve practical consumer ability and to prevent consumers from suffering any harm in advance. In relation to the reality of the education, they pointed out a lack of curriculum, sticking to existing teaching methods, a shortage of post-education evaluation criteria and insufficient budget as problems with that education. In fact, however, the consumer organizations provided extensive and practical education by presenting plenty of cases, and went anywhere to teach adolescent. Their youth consumer education was comprehensive enough to handle consumer ability, philosophy and even ethics. The teachers interviewed placed emphasis on practical and applicable consumer education by class or small group, the use of diverse and experiential teaching methods tailored to each group of students, and the necessity of post-education evaluation.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youth consumer education provided by private consumer organizations: First, private consumer groups should adopt a differentiated educational methodology to offer learner-centered, client-centered, and practical education. They should serve as a catalyst in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ry to actualize balanced consumer education. Second, a wide variety of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prepared and applied. Consum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conducted in a dynamic way. For instance, a combination of lecture and discussion method will boost interaction with learners. Students may participate in a camp to learn how to consume in an integrative manner. Third, qualified human resources should be developed. To offer experiential youth consumer education in group, assistant leaders are required. Assistant leaders should be nurtured in a systematic way, and every local community should take measures to take advantage of all the human resources available. Finally,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offer steady financial and institutional aid to dynamize youth consumer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