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살리우스는 그가 학생 때부터 줄곧 느껴왔던 ‘왜 해부학은 있는 그대로의 신체를 묘사하지 못 하는가’라는 문제의식에 골몰해 있었다. 해부학에 있어 이미지의 교육적인 중요성을 인식한 것이다. 그 결과, 그는 과거의 해부 체계를 대체할 새로운 표준적 인체체계를 보여주고 설명하는데 주목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에서 탄생한 책이 바로 ??파브리카??로 불리워지는 ??인간의 신체의 구조에 관하여(De Humani Corporis Fabrica Libri Septem, 1543)??이다. 본 논문은 신체 이미지의 총아라고 평가되어 지고 있는 ??파브리카??를 통해 베살리우스가 무엇을 변혁하고, 대체하려 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파브리카?? 안의 이미지들은 세 가지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새로운 몸에 대한 정확한 구조를 전달하기 위한 사실적 그림, 현상적인 각 신체들의 차이를 통합시켜 줄 수 있는 이상적(理想的) 그림, 그리고 기존의 해부학과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
베살리우스는 그가 학생 때부터 줄곧 느껴왔던 ‘왜 해부학은 있는 그대로의 신체를 묘사하지 못 하는가’라는 문제의식에 골몰해 있었다. 해부학에 있어 이미지의 교육적인 중요성을 인식한 것이다. 그 결과, 그는 과거의 해부 체계를 대체할 새로운 표준적 인체체계를 보여주고 설명하는데 주목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에서 탄생한 책이 바로 ??파브리카??로 불리워지는 ??인간의 신체의 구조에 관하여(De Humani Corporis Fabrica Libri Septem, 1543)??이다. 본 논문은 신체 이미지의 총아라고 평가되어 지고 있는 ??파브리카??를 통해 베살리우스가 무엇을 변혁하고, 대체하려 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파브리카?? 안의 이미지들은 세 가지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새로운 몸에 대한 정확한 구조를 전달하기 위한 사실적 그림, 현상적인 각 신체들의 차이를 통합시켜 줄 수 있는 이상적(理想的) 그림, 그리고 기존의 해부학과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알레고리(상징)적 이미지들이 그것이다.본 논문은 ??파브리카??에 투영된 그림들의 성격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 그림들이 기존의 해부관행을 개혁하고, 인체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재정립하기 위한 목적 아래 합치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특히 ??파브리카??에 수록된 이미지들 중 베살리우스의 초상화와 해부극장의 이미지는 르네상스 의학의 상태 및 나아가야 길을 알레고리 장치로 암시하고 있다. 즉 도상(plate)이 사실을 단순히 재현하기 위한 목적에서 그려지기 보다는 타인의 인식과 행동의 변화를 요청하는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어떤 대상의 ‘죽음’과 새로운 체계의 탄생을 암시하고 있다.본 논문은 ??파브리카??의 이미지 중 세 번째 성격인 알레고리에 주안하여 베살리우스가 가지고 있었던 정치적 기획의 내용을 밝히고자 한다. 더불어 그가 해부 개혁을 이루어 내기 위해 사용하였던 전술적인 수단이 이미지뿐만 아니라 해부극장의 소란과 논쟁을 사용하였다는 점에 주목한다. 특히 ??파브리카??의 타이틀 페이지는 이 해부극장의 모습을 매우 자세하게 묘사하고 있음으로 이를 통해서 해부극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소란의 성격을 분석해 낼 수 있다.해부극장에 보여지고 있는 ‘소동’의 이미지는 ‘변화(개혁)’라는 수사와 결합되어 있다. 베살리우스는 자신이 해부를 통해서 알게 된 신체 지식을 대중적으로 알리기 위한 최적의 장소로 해부극장을 선택하였다. 그 이유는 자신의 의견을 즉각적으로 확인해 주는 수많은 관객들이 존재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베살리우스의 의도와 달리 해부극장의 시연은 해부법령과 해부교본에 의해 통제되고 있었기 때문에, 그의 새로운 해부학 체계와 내용의 시연은 곧 바로 기존 의학체계와의 충돌을 의미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베살리우스는 베네딕투스가 언급한 해부극장의 ‘통제적’ 성격 안에 머물기 보다는 해부극장이 갖는 소란스러움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었다. 그 이유는 사회적 지위 뿐만 아니라 해부도서에 대해 더 많은 언어적 소양을 가지고 있었던 권위자들을 이기기 위해서는 몸의 구조가 해부서의 설명과 다르다는 것을 관객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자신에 대한 지지를 얻어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과정 중에 해부극장에서는 동의와 반대, 대화, 속삭임, 웅성거림, 경탄과 같은 소란이 발생하였다. 베살리우스에게 있어 소란은 이미지와 더불어 해부의례를 변화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전술이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의학 체계를 ‘해체’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였다.??파브리카??의 해부극장 그림을 그린 화가는 ‘소란’ 과 ‘변화’의 이미지를 혼합해 그가 일으킨 소동이 폭력적인 것이 아니라 새로운 해부의례를 탄생시키는 과정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베살리우스는 새롭게 태어난 해부의례의 선각자로 내?외과의 분리를 상징하던 카세드라를 폐기하고, 카데바를 직접 만져 의학 지식을 얻어 내는 개혁자로 묘사되어 있다. 그에게 있어 의사의 기본적 자질이란 이론의 습득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해부 텍스트인 카데바에 대한 접촉을 두려워하지 않는 데에 있었다.이와 같은 의사의 (직업)윤리적 측면은 고스란히 베살리우스 자신의 초상화로까지 확장되고 결합되어 있다. 손과 팔을 해부하고 있는 베살리우스의 모습이 그려진 초상화는 카데바, 테이블 위의 도구들, 독자를 바라보고 있는 그의 인정 욕구들과 상징적으로 연계 되면서 해부학이 새롭게 주목해야 할 인식의 대상과 접근 방식을 암시한다. 메스는 테이블 위의 두루마리 원고와 결합돼 외과의의 노동을 ‘정신’적인 측면으로까지 끌어 올리고 있으며, 베살리우스의 손은 고도의 신체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 해부 행위를 상징하고 있다. 즉 해부란 돌팔이 이발사가 참여해야 할 노동이 아니며, 신의 지성은 신비의 과정을 이해하고 있는 숙련의들의 카데바에 대한 접촉을 통해서만 밝혀질 수 있다.또한 육체에 반영된 신비는 신체의 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파악될 수 있었기 때문에 골격-혈관-힘줄-신경의 결합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손은 새롭게 주목해야 할 해부학의 인식 대상으로서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결국 (의사의 자질로서) 윤리학적 의미가 부여된 손이 (새로운 해부대상으로서) 인식론적 의미가 부여된 손을 해부하고 있는 이중적인 알레고리는 그가 말하고자 했던 해부개혁을 표상하고 있다.그에게 있어 해부극장의 소란은 죽어 있던 해부절차를 ‘재생’하고 새롭게 형성된 공동체를 ‘통합’하는 수단이었으며, 이미지는 새로운 인체 구조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과 ‘개혁’의 수단이었음을 알 수 있다.
베살리우스는 그가 학생 때부터 줄곧 느껴왔던 ‘왜 해부학은 있는 그대로의 신체를 묘사하지 못 하는가’라는 문제의식에 골몰해 있었다. 해부학에 있어 이미지의 교육적인 중요성을 인식한 것이다. 그 결과, 그는 과거의 해부 체계를 대체할 새로운 표준적 인체체계를 보여주고 설명하는데 주목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에서 탄생한 책이 바로 ??파브리카??로 불리워지는 ??인간의 신체의 구조에 관하여(De Humani Corporis Fabrica Libri Septem, 1543)??이다. 본 논문은 신체 이미지의 총아라고 평가되어 지고 있는 ??파브리카??를 통해 베살리우스가 무엇을 변혁하고, 대체하려 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파브리카?? 안의 이미지들은 세 가지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새로운 몸에 대한 정확한 구조를 전달하기 위한 사실적 그림, 현상적인 각 신체들의 차이를 통합시켜 줄 수 있는 이상적(理想的) 그림, 그리고 기존의 해부학과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알레고리(상징)적 이미지들이 그것이다.본 논문은 ??파브리카??에 투영된 그림들의 성격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 그림들이 기존의 해부관행을 개혁하고, 인체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재정립하기 위한 목적 아래 합치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특히 ??파브리카??에 수록된 이미지들 중 베살리우스의 초상화와 해부극장의 이미지는 르네상스 의학의 상태 및 나아가야 길을 알레고리 장치로 암시하고 있다. 즉 도상(plate)이 사실을 단순히 재현하기 위한 목적에서 그려지기 보다는 타인의 인식과 행동의 변화를 요청하는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어떤 대상의 ‘죽음’과 새로운 체계의 탄생을 암시하고 있다.본 논문은 ??파브리카??의 이미지 중 세 번째 성격인 알레고리에 주안하여 베살리우스가 가지고 있었던 정치적 기획의 내용을 밝히고자 한다. 더불어 그가 해부 개혁을 이루어 내기 위해 사용하였던 전술적인 수단이 이미지뿐만 아니라 해부극장의 소란과 논쟁을 사용하였다는 점에 주목한다. 특히 ??파브리카??의 타이틀 페이지는 이 해부극장의 모습을 매우 자세하게 묘사하고 있음으로 이를 통해서 해부극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소란의 성격을 분석해 낼 수 있다.해부극장에 보여지고 있는 ‘소동’의 이미지는 ‘변화(개혁)’라는 수사와 결합되어 있다. 베살리우스는 자신이 해부를 통해서 알게 된 신체 지식을 대중적으로 알리기 위한 최적의 장소로 해부극장을 선택하였다. 그 이유는 자신의 의견을 즉각적으로 확인해 주는 수많은 관객들이 존재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베살리우스의 의도와 달리 해부극장의 시연은 해부법령과 해부교본에 의해 통제되고 있었기 때문에, 그의 새로운 해부학 체계와 내용의 시연은 곧 바로 기존 의학체계와의 충돌을 의미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베살리우스는 베네딕투스가 언급한 해부극장의 ‘통제적’ 성격 안에 머물기 보다는 해부극장이 갖는 소란스러움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었다. 그 이유는 사회적 지위 뿐만 아니라 해부도서에 대해 더 많은 언어적 소양을 가지고 있었던 권위자들을 이기기 위해서는 몸의 구조가 해부서의 설명과 다르다는 것을 관객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자신에 대한 지지를 얻어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과정 중에 해부극장에서는 동의와 반대, 대화, 속삭임, 웅성거림, 경탄과 같은 소란이 발생하였다. 베살리우스에게 있어 소란은 이미지와 더불어 해부의례를 변화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전술이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의학 체계를 ‘해체’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였다.??파브리카??의 해부극장 그림을 그린 화가는 ‘소란’ 과 ‘변화’의 이미지를 혼합해 그가 일으킨 소동이 폭력적인 것이 아니라 새로운 해부의례를 탄생시키는 과정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베살리우스는 새롭게 태어난 해부의례의 선각자로 내?외과의 분리를 상징하던 카세드라를 폐기하고, 카데바를 직접 만져 의학 지식을 얻어 내는 개혁자로 묘사되어 있다. 그에게 있어 의사의 기본적 자질이란 이론의 습득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해부 텍스트인 카데바에 대한 접촉을 두려워하지 않는 데에 있었다.이와 같은 의사의 (직업)윤리적 측면은 고스란히 베살리우스 자신의 초상화로까지 확장되고 결합되어 있다. 손과 팔을 해부하고 있는 베살리우스의 모습이 그려진 초상화는 카데바, 테이블 위의 도구들, 독자를 바라보고 있는 그의 인정 욕구들과 상징적으로 연계 되면서 해부학이 새롭게 주목해야 할 인식의 대상과 접근 방식을 암시한다. 메스는 테이블 위의 두루마리 원고와 결합돼 외과의의 노동을 ‘정신’적인 측면으로까지 끌어 올리고 있으며, 베살리우스의 손은 고도의 신체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 해부 행위를 상징하고 있다. 즉 해부란 돌팔이 이발사가 참여해야 할 노동이 아니며, 신의 지성은 신비의 과정을 이해하고 있는 숙련의들의 카데바에 대한 접촉을 통해서만 밝혀질 수 있다.또한 육체에 반영된 신비는 신체의 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파악될 수 있었기 때문에 골격-혈관-힘줄-신경의 결합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손은 새롭게 주목해야 할 해부학의 인식 대상으로서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결국 (의사의 자질로서) 윤리학적 의미가 부여된 손이 (새로운 해부대상으로서) 인식론적 의미가 부여된 손을 해부하고 있는 이중적인 알레고리는 그가 말하고자 했던 해부개혁을 표상하고 있다.그에게 있어 해부극장의 소란은 죽어 있던 해부절차를 ‘재생’하고 새롭게 형성된 공동체를 ‘통합’하는 수단이었으며, 이미지는 새로운 인체 구조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과 ‘개혁’의 수단이었음을 알 수 있다.
Vesalius was engrossed in the question he had pondered on since his school days: why anatomy cannot describe human body preciously as the way it is? Since he ha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instructive power of anatomy, he concentrated on showing and explaining the new standardsystem of human b...
Vesalius was engrossed in the question he had pondered on since his school days: why anatomy cannot describe human body preciously as the way it is? Since he ha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instructive power of anatomy, he concentrated on showing and explaining the new standardsystem of human body that could replace the previous anatomical system. It was on this purpose that Vesalius published his De Humani Corporis Fabrica Libri Septem(1543), known as Fabrica. This article tries to depict what Vesalius tried to innovate and replace through Fabrica, the beloved child in the history of anatomical images of human body.Images in Fabrica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factual images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cise structure of newly viewed human body; second, ideal images for unifying the differences of individual bodies; finally, the allegorical images for connecting the new images with the traditional images in anatomy.Despit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se images were used by Vesalius in order to renovate the previous customs in anatomy and reestablish the new knowledge of human body. Especially, the portrait of Vesalius and the image of his anatomical theater illustrated in Fabrica were the allegorical contrivance illuminating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future vision of Renaissance anatomy. They suggests that a plate can carry ‘political’ nuance urging the change of thoughts and behaviors of the viewers and the ‘death’ of one system which leads to the birth of another, rather than simply reproduce the facts on a canvas.Specifically, this article tries to explain the political intention of Vesalius base on the allegorical characteristics of Fabrica. It also tries to show that his strategic method included not only images but also disputes and clamors produced in the anatomical theater. The title page of Fabrica, a detailed illustration of anatomical theater, is very useful in this aspect that it can analyze the feature of the clamor produced in the theater.The image of ‘clamor’ in the theater is related to the rhetoric of ‘change/renovation.’ Vesalius chose the anatomical theater in order to spread to the public his knowledge of anatomy gained by the human dissection because it was the proper place where many audiences could witness his opinion. Against his intention, it meant that his practice should meet the resistance of traditional anatomical custom since every performance was to be controlled by the standard anatomical rules and textbooks. Nevertheless, Vesalius needed to take advantage of the clamor in the theater rather than to stay inside the ‘controlling’ characteristics of the theater mentioned by Benedictus, since he could acquire the support of the audience by showing them through dissection that real human body is not identical to what is displayed in the textbook and thereby could defeat his seniors who had more fame and honor. Clamor, such as agreement and disagreement, conversation, whispering, murmuring, and exclamation, was created in the process. Clamor and image for Vesalius were practical strategy to change the anatomical rituals just as they were devices to deconstruct the previous medical system.The illustrator of the image of anatomical theater in Fabrica depicts the clamor created by Vesalius as not so much violent as to building a new anatomical ritual. In this aspect, Vesalius should be regarded as a pioneer of the new anatomical ritual who abandoned cathedra, the symbol of the division of the internal department and the department of surgery, and touched the cadaver with his own hands to gain knowledge from it. To him, the quality of a medical doctor did not depend on gaining theoretical knowledge, but the courage of being not afraid of touching cadaver as a real textbook of anatomy.Such an ethical sense is described in the portrait of Vesalius as well. The portrait depicting Vesalius dissecting hands and arms of a cadaver, a figure symbolically related to the tools on the cadaver table and Vesalius’ gaze at his audience that shows his desire for recognition, suggests the new target of the anatomy and the way of approaching it. The scalpel, related to the scrolled manuscript on the table, raises a surgeon’s labor to the spiritual status, and Vesalius’ hands represent the act of dissection based on the profound knowledge of human body. His portrait shows that human dissection is not a thing to be done by the labor of a quack barber, and the divine knowledge could be only revealed by trained surgeons’touch to the cadaver. Moreover, a hand gained significance as an anatomic target base on the fact that it is the most proper part where the connection of skeleton-vascular track-tendon-nerve could be shown. Therefore, the dual allegory of a hand endowed with an ethical sense dissecting a hand as a new anatomic object represents the reformation in anatomy which Vesalius intended.To Vesalius, the clamor in the anatomical theater was a method to create a ‘renaissance’ of the dead process of dissection and to ‘unite’the newly formed community, and the image was a method to ‘teach’ the new human structure and to ‘reform’ the previous rituals and customs in anatomy.
Vesalius was engrossed in the question he had pondered on since his school days: why anatomy cannot describe human body preciously as the way it is? Since he ha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instructive power of anatomy, he concentrated on showing and explaining the new standardsystem of human body that could replace the previous anatomical system. It was on this purpose that Vesalius published his De Humani Corporis Fabrica Libri Septem(1543), known as Fabrica. This article tries to depict what Vesalius tried to innovate and replace through Fabrica, the beloved child in the history of anatomical images of human body.Images in Fabrica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factual images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cise structure of newly viewed human body; second, ideal images for unifying the differences of individual bodies; finally, the allegorical images for connecting the new images with the traditional images in anatomy.Despit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se images were used by Vesalius in order to renovate the previous customs in anatomy and reestablish the new knowledge of human body. Especially, the portrait of Vesalius and the image of his anatomical theater illustrated in Fabrica were the allegorical contrivance illuminating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future vision of Renaissance anatomy. They suggests that a plate can carry ‘political’ nuance urging the change of thoughts and behaviors of the viewers and the ‘death’ of one system which leads to the birth of another, rather than simply reproduce the facts on a canvas.Specifically, this article tries to explain the political intention of Vesalius base on the allegorical characteristics of Fabrica. It also tries to show that his strategic method included not only images but also disputes and clamors produced in the anatomical theater. The title page of Fabrica, a detailed illustration of anatomical theater, is very useful in this aspect that it can analyze the feature of the clamor produced in the theater.The image of ‘clamor’ in the theater is related to the rhetoric of ‘change/renovation.’ Vesalius chose the anatomical theater in order to spread to the public his knowledge of anatomy gained by the human dissection because it was the proper place where many audiences could witness his opinion. Against his intention, it meant that his practice should meet the resistance of traditional anatomical custom since every performance was to be controlled by the standard anatomical rules and textbooks. Nevertheless, Vesalius needed to take advantage of the clamor in the theater rather than to stay inside the ‘controlling’ characteristics of the theater mentioned by Benedictus, since he could acquire the support of the audience by showing them through dissection that real human body is not identical to what is displayed in the textbook and thereby could defeat his seniors who had more fame and honor. Clamor, such as agreement and disagreement, conversation, whispering, murmuring, and exclamation, was created in the process. Clamor and image for Vesalius were practical strategy to change the anatomical rituals just as they were devices to deconstruct the previous medical system.The illustrator of the image of anatomical theater in Fabrica depicts the clamor created by Vesalius as not so much violent as to building a new anatomical ritual. In this aspect, Vesalius should be regarded as a pioneer of the new anatomical ritual who abandoned cathedra, the symbol of the division of the internal department and the department of surgery, and touched the cadaver with his own hands to gain knowledge from it. To him, the quality of a medical doctor did not depend on gaining theoretical knowledge, but the courage of being not afraid of touching cadaver as a real textbook of anatomy.Such an ethical sense is described in the portrait of Vesalius as well. The portrait depicting Vesalius dissecting hands and arms of a cadaver, a figure symbolically related to the tools on the cadaver table and Vesalius’ gaze at his audience that shows his desire for recognition, suggests the new target of the anatomy and the way of approaching it. The scalpel, related to the scrolled manuscript on the table, raises a surgeon’s labor to the spiritual status, and Vesalius’ hands represent the act of dissection based on the profound knowledge of human body. His portrait shows that human dissection is not a thing to be done by the labor of a quack barber, and the divine knowledge could be only revealed by trained surgeons’touch to the cadaver. Moreover, a hand gained significance as an anatomic target base on the fact that it is the most proper part where the connection of skeleton-vascular track-tendon-nerve could be shown. Therefore, the dual allegory of a hand endowed with an ethical sense dissecting a hand as a new anatomic object represents the reformation in anatomy which Vesalius intended.To Vesalius, the clamor in the anatomical theater was a method to create a ‘renaissance’ of the dead process of dissection and to ‘unite’the newly formed community, and the image was a method to ‘teach’ the new human structure and to ‘reform’ the previous rituals and customs in anatomy.
Keyword
#베살리우스 파브리카 해부극장 이미지 해부시연 소란과 통제 손의 이미지 신플라톤주의 손의 지성화 해부학 해부의례 초상화 도상 서문 골격-근육-혈관-신경 체계 해부학 개혁 vesalius fabrica anatomical theater image anatomy clamor and regulation the image of hand preface neoplatonism the intellectualization of hand anatomical ritual portrait plate skeleton-vascular track-tendon-nerve system anatomical reformation
학위논문 정보
저자
조성일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사학과
지도교수
설혜심
발행연도
2008
총페이지
v, 106 p.
키워드
베살리우스 파브리카 해부극장 이미지 해부시연 소란과 통제 손의 이미지 신플라톤주의 손의 지성화 해부학 해부의례 초상화 도상 서문 골격-근육-혈관-신경 체계 해부학 개혁 vesalius fabrica anatomical theater image anatomy clamor and regulation the image of hand preface neoplatonism the intellectualization of hand anatomical ritual portrait plate skeleton-vascular track-tendon-nerve system anatomical reform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