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가장 보편적인 주거형태로 자리 잡은 아파트는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사회, 경제적 여건이 변화하고 소비자들의 생활가치관이나 주거욕구의식 등이 다양화 되면서 아파트의 질적 공급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는 건설 기술 수준의 향상으로 아파트 상품이 평준화되면서 차별화 전략도 점차 보편화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업체들은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와 선호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최근에는 서구화되가는 우리의 생활패턴의 변화에 따라 거실공간 확대 위주의 공간변화에서 개인공간의 전용화와 기능성확대로 인한 개인공간의 확대로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실내 공간에서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주어 이전의 평면과는 다른 특성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주거문화의 새로운 흐름을 보여주는 주요 특성으로 새로운 변화를 연구하는 것은 주택건설시장에 유용한 정보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아파트 실내공간의 축이 되는 단위평면의 평형별 변화, 공간내에서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특징 및 공간별 변화 특성을 평형 및 유형에 따라 분석하여 최근 아파트의 실내공간 변화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05년도 이후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분양된 아파트 중 건설업체 시공순위를 기준으로 상위 업체 10개를 선정하고, 그에 따른 단위세대 평면을 수집하여 실제 평면사례에서 나타난 공간 변화를 분석하였다. 공간의 새로운 변화에서는 소비자의 남향 선호와 일조, 통풍, 조망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인해 단위주호에 진입하는 방식이 하나의 홀을 사이에 두고 두세대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식인 Y자,...
우리나라의 가장 보편적인 주거형태로 자리 잡은 아파트는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사회, 경제적 여건이 변화하고 소비자들의 생활가치관이나 주거욕구의식 등이 다양화 되면서 아파트의 질적 공급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는 건설 기술 수준의 향상으로 아파트 상품이 평준화되면서 차별화 전략도 점차 보편화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업체들은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와 선호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최근에는 서구화되가는 우리의 생활패턴의 변화에 따라 거실공간 확대 위주의 공간변화에서 개인공간의 전용화와 기능성확대로 인한 개인공간의 확대로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실내 공간에서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주어 이전의 평면과는 다른 특성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주거문화의 새로운 흐름을 보여주는 주요 특성으로 새로운 변화를 연구하는 것은 주택건설시장에 유용한 정보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아파트 실내공간의 축이 되는 단위평면의 평형별 변화, 공간내에서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특징 및 공간별 변화 특성을 평형 및 유형에 따라 분석하여 최근 아파트의 실내공간 변화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05년도 이후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분양된 아파트 중 건설업체 시공순위를 기준으로 상위 업체 10개를 선정하고, 그에 따른 단위세대 평면을 수집하여 실제 평면사례에서 나타난 공간 변화를 분석하였다. 공간의 새로운 변화에서는 소비자의 남향 선호와 일조, 통풍, 조망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인해 단위주호에 진입하는 방식이 하나의 홀을 사이에 두고 두세대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식인 Y자,코아형의 아파트 건물이 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단위주호의 평면형태도 정방형, 장방형, 특수형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모든 평형대에서 Bay의 수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남향배치가 가능한 실을 한 개라도 더 늘림으로서 소비자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가족실, 부속실(드레스룸, 파우더룸)등의 공간이 단위평면내에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기능도 강화되어 공간이 새롭게 변화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아파트 공간별로 변화특성을 분석한 결과 부부전용공간의 기능강화, 공동공간과 개인공간의 적절한 분리, 현관 앞 전실 적용 등으로 주거공간 내에 영역성과 프라이버시를 강조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거주자의 Life-Style을 고려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공간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가변형 계획요소를 제공하고 있으며,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와 공간의 위계변화로 인한 주방의 인식이 변화되어 위치나 향에서도 달라지고 있다. 또한 친환경적인 요소를 중요시하여 실내정원설치 나 포켓발코니 설치로 발코니의 기능을 다양화하고 발코니내에 수납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그 동안 획일화, 고정화된 우리나라 아파트 단위평면의 분양가가 자율화와 더불어 전략적인 아파트 상품을 개발하기 위한 브랜드 이미지와 함께 변화하고 있는 아파트를 대상으로 하여 이전에 없던 차별화된 특성과 주목할 만한 평면과 공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아파트의 새로운 공간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 및 생활양식의 변화 등 새로운 주거문화의 흐름에 대응하기 위한 공간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우리나라의 가장 보편적인 주거형태로 자리 잡은 아파트는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사회, 경제적 여건이 변화하고 소비자들의 생활가치관이나 주거욕구의식 등이 다양화 되면서 아파트의 질적 공급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는 건설 기술 수준의 향상으로 아파트 상품이 평준화되면서 차별화 전략도 점차 보편화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업체들은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와 선호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최근에는 서구화되가는 우리의 생활패턴의 변화에 따라 거실공간 확대 위주의 공간변화에서 개인공간의 전용화와 기능성확대로 인한 개인공간의 확대로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실내 공간에서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주어 이전의 평면과는 다른 특성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주거문화의 새로운 흐름을 보여주는 주요 특성으로 새로운 변화를 연구하는 것은 주택건설시장에 유용한 정보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아파트 실내공간의 축이 되는 단위평면의 평형별 변화, 공간내에서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특징 및 공간별 변화 특성을 평형 및 유형에 따라 분석하여 최근 아파트의 실내공간 변화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05년도 이후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분양된 아파트 중 건설업체 시공순위를 기준으로 상위 업체 10개를 선정하고, 그에 따른 단위세대 평면을 수집하여 실제 평면사례에서 나타난 공간 변화를 분석하였다. 공간의 새로운 변화에서는 소비자의 남향 선호와 일조, 통풍, 조망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인해 단위주호에 진입하는 방식이 하나의 홀을 사이에 두고 두세대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식인 Y자,코아형의 아파트 건물이 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단위주호의 평면형태도 정방형, 장방형, 특수형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모든 평형대에서 Bay의 수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남향배치가 가능한 실을 한 개라도 더 늘림으로서 소비자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가족실, 부속실(드레스룸, 파우더룸)등의 공간이 단위평면내에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기능도 강화되어 공간이 새롭게 변화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아파트 공간별로 변화특성을 분석한 결과 부부전용공간의 기능강화, 공동공간과 개인공간의 적절한 분리, 현관 앞 전실 적용 등으로 주거공간 내에 영역성과 프라이버시를 강조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거주자의 Life-Style을 고려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공간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가변형 계획요소를 제공하고 있으며,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와 공간의 위계변화로 인한 주방의 인식이 변화되어 위치나 향에서도 달라지고 있다. 또한 친환경적인 요소를 중요시하여 실내정원설치 나 포켓발코니 설치로 발코니의 기능을 다양화하고 발코니내에 수납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그 동안 획일화, 고정화된 우리나라 아파트 단위평면의 분양가가 자율화와 더불어 전략적인 아파트 상품을 개발하기 위한 브랜드 이미지와 함께 변화하고 있는 아파트를 대상으로 하여 이전에 없던 차별화된 특성과 주목할 만한 평면과 공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아파트의 새로운 공간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 및 생활양식의 변화 등 새로운 주거문화의 흐름에 대응하기 위한 공간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Consumer's values on living and requirements for housing that have been diversified with the changes of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since the latter 1990s hav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qualitative aspects of apartments that have become the most popular type of housing among urban dwellers of...
Consumer's values on living and requirements for housing that have been diversified with the changes of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since the latter 1990s hav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qualitative aspects of apartments that have become the most popular type of housing among urban dwellers of Korea. In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the commodity value of the supplied apartments was made equal and the strategy for differentiation has been generalized among constructors. Since then, constructors have made positive efforts to meet deverse requirements and preferences from competitor's while developing a strategic image. As this trend has influenced on the floor plans of apartments to display such trends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housing constructor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e for each space newly appeared on the space and the change for each pyeong-type as the axis of the indoor space of apartment with the pyeong-type and style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indoor space change in recent apartment. The subfect of survey for this study has been selected with top 10 apartment construction companies based on the construction work record in the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insce 2005, and the space change shown on the case of actual plan by collecting the unit housegold plan has been analyzed. In the new change of space, there is a tendency of placing value in consumers with the southern derection ideology, illumination, wind passage, wiew and the lide that it has frequent showing of Y-type to have two units facing each other with a gall to have the entry and core-type of apartment buildings, and the unit is shown in diverse type of quadruple-type, rectangular-type and other special type in units. In addition, in all pyeong sizes, the unmber of bay has shown to increase, and this is the result of accepting the demand of consumers by extending every size with the rooms toward the southern direction. Family room, incidental room (dress room and powder room) and others to have the growing weight in the unit plane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functions that the space is newly changed accordingly. As a result of analysis of characteristics in change for each apartment space, the tendency to emphasize the private and territory inside the residential space has been shown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couple's exclusive space, appropriate separation of the joint space and individual space, application of front room of the corridor and others. In consideration of the life-style of residents, variable-type of planning element is provided to change the space in diverse shape as demanded by the consumers, and with the change of social status of women and status change of space, the recognition of kitchen is changed with the location or direction. Furthermore, by placing value in environmentally-friendly elements, the functions of balcony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indoor garden or pocket balcony anr diversified and the effficiency of the storage space is strengthened. Together with the self-regulated policy, the sales price of apartment units of Korea that had been unilateral and fixed to this point is analyzed for the change of plane and space with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And this is not found previously with the subfect of apartment changing along with the brand image for developing apartment with strategy. by finding out the new space change in apartments, the above result is expected to facilitate as the basic data on the space development to respond to the flow of new residential culture, such an, diversi demend of user and change of life style and others.
Consumer's values on living and requirements for housing that have been diversified with the changes of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since the latter 1990s hav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qualitative aspects of apartments that have become the most popular type of housing among urban dwellers of Korea. In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the commodity value of the supplied apartments was made equal and the strategy for differentiation has been generalized among constructors. Since then, constructors have made positive efforts to meet deverse requirements and preferences from competitor's while developing a strategic image. As this trend has influenced on the floor plans of apartments to display such trends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housing constructor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e for each space newly appeared on the space and the change for each pyeong-type as the axis of the indoor space of apartment with the pyeong-type and style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indoor space change in recent apartment. The subfect of survey for this study has been selected with top 10 apartment construction companies based on the construction work record in the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insce 2005, and the space change shown on the case of actual plan by collecting the unit housegold plan has been analyzed. In the new change of space, there is a tendency of placing value in consumers with the southern derection ideology, illumination, wind passage, wiew and the lide that it has frequent showing of Y-type to have two units facing each other with a gall to have the entry and core-type of apartment buildings, and the unit is shown in diverse type of quadruple-type, rectangular-type and other special type in units. In addition, in all pyeong sizes, the unmber of bay has shown to increase, and this is the result of accepting the demand of consumers by extending every size with the rooms toward the southern direction. Family room, incidental room (dress room and powder room) and others to have the growing weight in the unit plane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functions that the space is newly changed accordingly. As a result of analysis of characteristics in change for each apartment space, the tendency to emphasize the private and territory inside the residential space has been shown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couple's exclusive space, appropriate separation of the joint space and individual space, application of front room of the corridor and others. In consideration of the life-style of residents, variable-type of planning element is provided to change the space in diverse shape as demanded by the consumers, and with the change of social status of women and status change of space, the recognition of kitchen is changed with the location or direction. Furthermore, by placing value in environmentally-friendly elements, the functions of balcony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indoor garden or pocket balcony anr diversified and the effficiency of the storage space is strengthened. Together with the self-regulated policy, the sales price of apartment units of Korea that had been unilateral and fixed to this point is analyzed for the change of plane and space with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And this is not found previously with the subfect of apartment changing along with the brand image for developing apartment with strategy. by finding out the new space change in apartments, the above result is expected to facilitate as the basic data on the space development to respond to the flow of new residential culture, such an, diversi demend of user and change of life style and othe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