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 뇌출혈을 발견하는데 있어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과 고식적인 자기공명영상 기법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대상 및 방법 : 미세 뇌출혈을 가진 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군에서 경사 에코 T2* 강조 영상 (GRE), T2 강조 영상 (T2WI), 액체 감약 반전 회복 (FLAIR), 그리고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 (SWI)들을 얻었다. 각각의 자기공명영상 기법에서 미세 뇌출혈의 개수를 세었다. 또한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발견된 미세 뇌출혈의 개수를 100%로 하고 다른 자기공명영상 기법에서 비교 자료 (%)를 산정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Mann-Whitney Rank Sum Test를 이용하였고 P value가 0.05 미만일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생각했다. 결과 : 경사 에코, T2 강조영상, 그리고 액체 감약 반전 회복을 포함하는 다른 고식적인 자기공명영상 기법에서보다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미세 뇌출혈의 발견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 (100%)에 대한 비교 자료 (%,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 뇌출혈을 발견하는데 있어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과 고식적인 자기공명영상 기법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대상 및 방법 : 미세 뇌출혈을 가진 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군에서 경사 에코 T2* 강조 영상 (GRE), T2 강조 영상 (T2WI), 액체 감약 반전 회복 (FLAIR), 그리고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 (SWI)들을 얻었다. 각각의 자기공명영상 기법에서 미세 뇌출혈의 개수를 세었다. 또한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발견된 미세 뇌출혈의 개수를 100%로 하고 다른 자기공명영상 기법에서 비교 자료 (%)를 산정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Mann-Whitney Rank Sum Test를 이용하였고 P value가 0.05 미만일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생각했다. 결과 : 경사 에코, T2 강조영상, 그리고 액체 감약 반전 회복을 포함하는 다른 고식적인 자기공명영상 기법에서보다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미세 뇌출혈의 발견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 (100%)에 대한 비교 자료 (%, mean ± standard deviation)는 다음과 같다: 경사 에코 대 자화율 강조 영상 (63.5 ± 19.3 대 100, p < 0.01), 액체 감약 반전 회복 대 경사 에코 (13.5 ± 17.4 대 63.5 ± 19.3, p < 0.01), T2 강조 영상 대 경사 에코 (16.5 ± 17.5 대 63.5 ±19.3, p < 0.01), 그리고 T2 강조 영상 대 액체 감약 반전 회복 (16.5 ± 17.5 대 13.5 ± 17.4, p = 0.518). 결론 :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은 경사에코와 다른 고식적인 자기공명영상 기법과 비교하여 미세 뇌출혈의 발견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높은 민감도를 보인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 뇌출혈을 발견하는데 있어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과 고식적인 자기공명영상 기법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대상 및 방법 : 미세 뇌출혈을 가진 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군에서 경사 에코 T2* 강조 영상 (GRE), T2 강조 영상 (T2WI), 액체 감약 반전 회복 (FLAIR), 그리고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 (SWI)들을 얻었다. 각각의 자기공명영상 기법에서 미세 뇌출혈의 개수를 세었다. 또한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발견된 미세 뇌출혈의 개수를 100%로 하고 다른 자기공명영상 기법에서 비교 자료 (%)를 산정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Mann-Whitney Rank Sum Test를 이용하였고 P value가 0.05 미만일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생각했다. 결과 : 경사 에코, T2 강조영상, 그리고 액체 감약 반전 회복을 포함하는 다른 고식적인 자기공명영상 기법에서보다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미세 뇌출혈의 발견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 (100%)에 대한 비교 자료 (%, mean ± standard deviation)는 다음과 같다: 경사 에코 대 자화율 강조 영상 (63.5 ± 19.3 대 100, p < 0.01), 액체 감약 반전 회복 대 경사 에코 (13.5 ± 17.4 대 63.5 ± 19.3, p < 0.01), T2 강조 영상 대 경사 에코 (16.5 ± 17.5 대 63.5 ±19.3, p < 0.01), 그리고 T2 강조 영상 대 액체 감약 반전 회복 (16.5 ± 17.5 대 13.5 ± 17.4, p = 0.518). 결론 :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은 경사에코와 다른 고식적인 자기공명영상 기법과 비교하여 미세 뇌출혈의 발견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높은 민감도를 보인다.
Objective.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compare susceptibility-weighted imaging (SWI) to conventional MR imaging sequences in the detection of cerebral microbleeds.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17 patients (9 men, 8 women; mean age, 58 years) with microbleeds. In all subjects, gradient-e...
Objective.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compare susceptibility-weighted imaging (SWI) to conventional MR imaging sequences in the detection of cerebral microbleeds.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17 patients (9 men, 8 women; mean age, 58 years) with microbleeds. In all subjects, gradient-echo T2*-weighted imaging (GRE), T2-weighted imaging (T2WI),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FLAIR), and SWI were obtained. The number of microbleeds was counted on each MR imaging sequence. We also computed the comparative data (%) to SWI (100%). The Mann-Whitney Rank Sum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a P value of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detection rate of microbleeds on SW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conventional MR imaging sequences including GRE, T2WI, and FLAIR. Comparative data (%, mean ± standard deviation) to SWI (100%) were as follows: GRE vs. SWI (63.5 ± 19.3 vs. 100, p < 0.01), FLAIR vs. GRE (13.5 ± 17.4 vs. 63.5 ± 19.3, p < 0.01), T2WI vs. GRE (16.5 ± 17.5 vs. 63.5 ±19.3, p < 0.01), and T2WI vs. FLAIR (16.5 ± 17.5 vs. 13.5 ± 17.4, p = 0.518). Conclusion. SWI demonstrates a significantly higher sensitivity in the detection of microbleeds comparing to GRE and other conventional MR imaging sequences.
Objective.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compare susceptibility-weighted imaging (SWI) to conventional MR imaging sequences in the detection of cerebral microbleeds.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17 patients (9 men, 8 women; mean age, 58 years) with microbleeds. In all subjects, gradient-echo T2*-weighted imaging (GRE), T2-weighted imaging (T2WI),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FLAIR), and SWI were obtained. The number of microbleeds was counted on each MR imaging sequence. We also computed the comparative data (%) to SWI (100%). The Mann-Whitney Rank Sum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a P value of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detection rate of microbleeds on SW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conventional MR imaging sequences including GRE, T2WI, and FLAIR. Comparative data (%, mean ± standard deviation) to SWI (100%) were as follows: GRE vs. SWI (63.5 ± 19.3 vs. 100, p < 0.01), FLAIR vs. GRE (13.5 ± 17.4 vs. 63.5 ± 19.3, p < 0.01), T2WI vs. GRE (16.5 ± 17.5 vs. 63.5 ±19.3, p < 0.01), and T2WI vs. FLAIR (16.5 ± 17.5 vs. 13.5 ± 17.4, p = 0.518). Conclusion. SWI demonstrates a significantly higher sensitivity in the detection of microbleeds comparing to GRE and other conventional MR imaging sequenc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