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동기강화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the motivation intensified art therapy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y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강화상담이론을 접목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직업재활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D시 소재의 J사회복귀시설에 사회적응훈련을 받고 있는 정신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학력, 성별, 연령 등을 고려 하여 무선적으로 20명을 선정하였으며, 동질성 확보와 선발적 변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 사항과 지능검사인 K-WAIS 및 증상검사인 간이정신진단 검사를 실시하고 t-test를 통해 실험집단, 비교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하였다. 본 연구의 실시기간은 2008년 1월 2일부터 2008년 2월 27일까지 주 2회 60분간 총 15회기로, 미술활동(40 분), 느낌나누기(20분)로 진행하였다. 연구문제는 실험·비교집단 정신장애인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강화상담이론을 접목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직업재활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D시 소재의 J사회복귀시설에 사회적응훈련을 받고 있는 정신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학력, 성별, 연령 등을 고려 하여 무선적으로 20명을 선정하였으며, 동질성 확보와 선발적 변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 사항과 지능검사인 K-WAIS 및 증상검사인 간이정신진단 검사를 실시하고 t-test를 통해 실험집단, 비교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하였다. 본 연구의 실시기간은 2008년 1월 2일부터 2008년 2월 27일까지 주 2회 60분간 총 15회기로, 미술활동(40 분), 느낌나누기(20분)로 진행하였다. 연구문제는 실험·비교집단 정신장애인의 직업탐색 효능감, 자기효능감, 직업준비기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측정방법은 사전·사후·추수검사 기간을 고려하여 Repeated measurement ANOVA 검증과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서 상호작용이 있을 경우 단순 주효과의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ukey 사후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동기강화상담(신성만 외, 2006)의 이론 절차를 따랐으며, 정신장애인의 변화동기분석과 동기향상프로그램의 효과(강덕규, 2000)를 참고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따른 매체와 활동은 본 연구자가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기강화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이 일반 구직프로그램 집단보다 직업탐색효능감을 높이는 데에 효과적이다. 동기강화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은 사전검사, 사후검사, 추수검사에 따라 직업탐색효능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비교집단은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동기강화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이 일반 구직프로그램 집단보다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에 효과적이다. 동기강화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은 사전검사, 사후검사, 추수 검사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비교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동기강화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이 일반 구직프로그램 집단보다 직업준비기능을 높이는데에 효과적이다. 동기강화를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전검사와 추수검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비교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동기강화미술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직업탐색효능감, 자기 효능감, 직업준비기능을 높여 직업재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강화상담이론을 접목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직업재활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D시 소재의 J사회복귀시설에 사회적응훈련을 받고 있는 정신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학력, 성별, 연령 등을 고려 하여 무선적으로 20명을 선정하였으며, 동질성 확보와 선발적 변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 사항과 지능검사인 K-WAIS 및 증상검사인 간이정신진단 검사를 실시하고 t-test를 통해 실험집단, 비교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하였다. 본 연구의 실시기간은 2008년 1월 2일부터 2008년 2월 27일까지 주 2회 60분간 총 15회기로, 미술활동(40 분), 느낌나누기(20분)로 진행하였다. 연구문제는 실험·비교집단 정신장애인의 직업탐색 효능감, 자기효능감, 직업준비기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측정방법은 사전·사후·추수검사 기간을 고려하여 Repeated measurement ANOVA 검증과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서 상호작용이 있을 경우 단순 주효과의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ukey 사후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동기강화상담(신성만 외, 2006)의 이론 절차를 따랐으며, 정신장애인의 변화동기분석과 동기향상프로그램의 효과(강덕규, 2000)를 참고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따른 매체와 활동은 본 연구자가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기강화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이 일반 구직프로그램 집단보다 직업탐색효능감을 높이는 데에 효과적이다. 동기강화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은 사전검사, 사후검사, 추수검사에 따라 직업탐색효능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비교집단은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동기강화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이 일반 구직프로그램 집단보다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에 효과적이다. 동기강화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은 사전검사, 사후검사, 추수 검사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비교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동기강화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이 일반 구직프로그램 집단보다 직업준비기능을 높이는데에 효과적이다. 동기강화를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전검사와 추수검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비교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동기강화미술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직업탐색효능감, 자기 효능감, 직업준비기능을 높여 직업재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The research aims at how an art therapy, which integrates motivation intensified counseling theory influences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object of study is academic background, gender and age-considered random sample of twenty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who are getting society adaptation trai...
The research aims at how an art therapy, which integrates motivation intensified counseling theory influences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object of study is academic background, gender and age-considered random sample of twenty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who are getting society adaptation training in a halfway house. In order to minimize entropy and selecting variables K-WAIS, an intelligence test and a simple psychognosis as an examination of symptom were performed, and then through T-test, twenty people are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This research was proceeded from January 2 to February 27, 2008, twice a week, There were fifteen sessions, and each session consists of forty minutes of art activity and twenty minutes of feedback. The research focuses on exploring job search efficacy, self-efficacy, and job preparation function of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Considered the period of pre, post, and follow-up test, Tukey post-test method is us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of simple effect in case there is an interaction between repeated measurement ANOVA verification and efficacy of the program verification. This study follows the theory process of motivation intensified counseling, and refers to motivation of change analysis and effect of motivation improvement program, however the researcher reorganized media and activities according to programs for the purpose of study. The consequence of research is as follows : First, the group of people who have taken motivation intensified art therapy more effectively reacted to job search efficacy than that of general job-seeking program. It showed difference of job search efficacy according to pre, post, and follow-up test while the comparison group didn't. Secondly, the experiment group vigorously responded to self-efficacy as well. Thirdly, this group more easily got to improve job preparation function than the other group. In conclusion, the motivation intensified art therapy targeting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y improves their job search efficacy, self-efficacy, and job preparation function,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research aims at how an art therapy, which integrates motivation intensified counseling theory influences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object of study is academic background, gender and age-considered random sample of twenty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who are getting society adaptation training in a halfway house. In order to minimize entropy and selecting variables K-WAIS, an intelligence test and a simple psychognosis as an examination of symptom were performed, and then through T-test, twenty people are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This research was proceeded from January 2 to February 27, 2008, twice a week, There were fifteen sessions, and each session consists of forty minutes of art activity and twenty minutes of feedback. The research focuses on exploring job search efficacy, self-efficacy, and job preparation function of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Considered the period of pre, post, and follow-up test, Tukey post-test method is us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of simple effect in case there is an interaction between repeated measurement ANOVA verification and efficacy of the program verification. This study follows the theory process of motivation intensified counseling, and refers to motivation of change analysis and effect of motivation improvement program, however the researcher reorganized media and activities according to programs for the purpose of study. The consequence of research is as follows : First, the group of people who have taken motivation intensified art therapy more effectively reacted to job search efficacy than that of general job-seeking program. It showed difference of job search efficacy according to pre, post, and follow-up test while the comparison group didn't. Secondly, the experiment group vigorously responded to self-efficacy as well. Thirdly, this group more easily got to improve job preparation function than the other group. In conclusion, the motivation intensified art therapy targeting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y improves their job search efficacy, self-efficacy, and job preparation function,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vocational rehabilit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