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 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D시에 거주하고, D아동센터 방과 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초등학교 4·6학년 저소득 가정 아동 중 자기효능감 질문지를 실시하여 아동 1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성공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상태의 중재전략을 활용하여 자신의 긍정적인 모습을 탐색과 인지재구성을 위해 프로그램의 전체 구성은 자기효능감의 인지적 측면을 고려하여 인지행동주의 집단상담의 과정을 바탕(Corey,1995)으로 하였으며, O'Connor(1991)가 제안한 구조화된 집단놀이모형을 적용하여, 자기 표현력이 약하고 에너지 수준이 낮은 아동들에게 집단의 참여를 높이며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구조화된 활동을 하였다. 1회 70분, 주 2회, 총 15회기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대상 아동의 자기효능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각 하위영역의 점수 변화를 혼합측정변량분석이(MixedANOVA)을 통해 점수를 비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 가정 실험집단 아동 8명의 사전-사후 비교에서 전체 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켰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 가정 실험집단 아동 8명의 사전-사후 비교에서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자신감,...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 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D시에 거주하고, D아동센터 방과 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초등학교 4·6학년 저소득 가정 아동 중 자기효능감 질문지를 실시하여 아동 1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성공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상태의 중재전략을 활용하여 자신의 긍정적인 모습을 탐색과 인지재구성을 위해 프로그램의 전체 구성은 자기효능감의 인지적 측면을 고려하여 인지행동주의 집단상담의 과정을 바탕(Corey,1995)으로 하였으며, O'Connor(1991)가 제안한 구조화된 집단놀이모형을 적용하여, 자기 표현력이 약하고 에너지 수준이 낮은 아동들에게 집단의 참여를 높이며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구조화된 활동을 하였다. 1회 70분, 주 2회, 총 15회기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대상 아동의 자기효능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각 하위영역의 점수 변화를 혼합측정변량분석이(MixedANOVA)을 통해 점수를 비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 가정 실험집단 아동 8명의 사전-사후 비교에서 전체 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켰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 가정 실험집단 아동 8명의 사전-사후 비교에서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자신감,자기조절 효능감을 증진시켰으나, 과제난이도 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저소득 가정 아동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 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D시에 거주하고, D아동센터 방과 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초등학교 4·6학년 저소득 가정 아동 중 자기효능감 질문지를 실시하여 아동 1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성공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상태의 중재전략을 활용하여 자신의 긍정적인 모습을 탐색과 인지재구성을 위해 프로그램의 전체 구성은 자기효능감의 인지적 측면을 고려하여 인지행동주의 집단상담의 과정을 바탕(Corey,1995)으로 하였으며, O'Connor(1991)가 제안한 구조화된 집단놀이모형을 적용하여, 자기 표현력이 약하고 에너지 수준이 낮은 아동들에게 집단의 참여를 높이며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구조화된 활동을 하였다. 1회 70분, 주 2회, 총 15회기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대상 아동의 자기효능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각 하위영역의 점수 변화를 혼합측정변량분석이(MixedANOVA)을 통해 점수를 비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 가정 실험집단 아동 8명의 사전-사후 비교에서 전체 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켰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 가정 실험집단 아동 8명의 사전-사후 비교에서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자신감,자기조절 효능감을 증진시켰으나, 과제난이도 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저소득 가정 아동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self-efficacy of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16 fourth- through sixth-year elementary students from low incomes families in D city who participated in after school programs at D child cen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self-efficacy of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16 fourth- through sixth-year elementary students from low incomes families in D city who participated in after school programs at D child center. Questionnaires on self-efficacy were distributed to the 16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eight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of eight student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led the students to explore their positive aspects using success experience, vicarious experience, verbal persuasion, and mediation strategies of sentimental state. In addition, the students' cognitions were reorganized on the basis of Corey's(1995) cognitive behaviorism group counseling process. Besides, a structured group play model suggested by O'Connor (1991) was applied to make children, who were less self-expressive and less energetic, participate more in the group therapy program. Furthermore, activities were structured to provide the students a stable environment. Every week, two sessions (one session: 70 minutes) of the 15 session program were held. In order to examine changes in the subjects' self-efficacy, their self-efficacy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rough mixed ANOVA, their scores for the sub-areas of self-efficacy were compa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study. First,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he tests hel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und that the group art therapy enhanced the self-efficacy of all of eight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came from low income families.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he tests hel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und that the group art therapy improved the sub-areas of self-efficacy, confidence and self-control efficacy, but exerted no effects on the subjects' preference for the level of difficulty of task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enhancing the self-efficacy of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self-efficacy of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16 fourth- through sixth-year elementary students from low incomes families in D city who participated in after school programs at D child center. Questionnaires on self-efficacy were distributed to the 16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eight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of eight student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led the students to explore their positive aspects using success experience, vicarious experience, verbal persuasion, and mediation strategies of sentimental state. In addition, the students' cognitions were reorganized on the basis of Corey's(1995) cognitive behaviorism group counseling process. Besides, a structured group play model suggested by O'Connor (1991) was applied to make children, who were less self-expressive and less energetic, participate more in the group therapy program. Furthermore, activities were structured to provide the students a stable environment. Every week, two sessions (one session: 70 minutes) of the 15 session program were held. In order to examine changes in the subjects' self-efficacy, their self-efficacy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rough mixed ANOVA, their scores for the sub-areas of self-efficacy were compa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study. First,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he tests hel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und that the group art therapy enhanced the self-efficacy of all of eight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came from low income families.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he tests hel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und that the group art therapy improved the sub-areas of self-efficacy, confidence and self-control efficacy, but exerted no effects on the subjects' preference for the level of difficulty of task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enhancing the self-efficacy of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