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역에서 월동하는 쇠기러기의 개체수는 증가했으나, 도래지의 수는 오히려 감소하였고, 개체수가 큰 도래지의 경우 집중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낙동강유역과 형산강유역에서 조사된 쇠기러기 월동지에 대한 조사 결과 낙동강하구, 주남저수지, 우포 및 구미 등 4곳과 형산강지역 경주 안계저수지 등 모두 5곳으로 나타났으며, 과거와는 다른 패턴을 보였다. 낙동강유역에서 습지별 쇠기러기의 월동 개체수 변동은 지역별로 감소하였지만, 구미지역은 급격한 증가현상을 보였으며, 가장 큰 쇠기러기 월동지이였다. 안계저수지 역시 꾸준한 개체수 증가를 보이고 개체수 또한 큰 지역으로 나타나 쇠기러기가 월동지로 이용하기에 좋은 곳임을 보여 주었다. 해평습지에서 월동하는 쇠기러기의 일주행동을 분석한 결과, 장거리 이동형과 월동지 주변형으로 2가지 행동형이 나타났으며, 구미 낙동강의 폭넓은 ...
우리나라 전역에서 월동하는 쇠기러기의 개체수는 증가했으나, 도래지의 수는 오히려 감소하였고, 개체수가 큰 도래지의 경우 집중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낙동강유역과 형산강유역에서 조사된 쇠기러기 월동지에 대한 조사 결과 낙동강하구, 주남저수지, 우포 및 구미 등 4곳과 형산강지역 경주 안계저수지 등 모두 5곳으로 나타났으며, 과거와는 다른 패턴을 보였다. 낙동강유역에서 습지별 쇠기러기의 월동 개체수 변동은 지역별로 감소하였지만, 구미지역은 급격한 증가현상을 보였으며, 가장 큰 쇠기러기 월동지이였다. 안계저수지 역시 꾸준한 개체수 증가를 보이고 개체수 또한 큰 지역으로 나타나 쇠기러기가 월동지로 이용하기에 좋은 곳임을 보여 주었다. 해평습지에서 월동하는 쇠기러기의 일주행동을 분석한 결과, 장거리 이동형과 월동지 주변형으로 2가지 행동형이 나타났으며, 구미 낙동강의 폭넓은 모래톱이 쇠기러기의 월동 및 숙영에 가장 좋은 장소임이 확인되었다. 안계저수지에서 월동하는 쇠기러기 일주행동을 분석한 결과 숙영지인 저수지내에서 4무리를 이루고, 채식지로의 이동시 2무리씩 뭉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비행하며, 채식지 또한 서로 다른 곳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평습지와 안계저수지의 쇠기러기 일주행동을 비교한 결과, 채식지와 숙영지와의 거리차이로 인해 비행시간과 그에 따른 휴식 및 수면 시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루 2번의 주간 채식과 야간 숙영을 하는 규칙적인 패턴을 보였다. 대부분 비슷한 행동양상을 보였으나, 해평습지에서 월동하는 쇠기러기의 경우, 1월 중순쯤 지나 채식지로의 비행시간이 크게 증가하였고, 안계저수지의 쇠기러기는 월동기간동안 채식지로의 비행시간은 일정하였다. 안계저수지는 주변이 산으로 둘러 싸여 있고 사람을 비롯한 교란 원인이 적은 곳이며, 주변 채식지(안강들과 경주, 포항들)의 확보로 앞으로 쇠기러기의 중요한 월동지 중 한 곳이 될 것이라고 추정된다. 과거와는 다른 분포 패턴을 보인 만큼 무엇보다 많은 조사를 통해 그 실태를 파악하고, 쇠기러기 월동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이러한 지역들에 있어 보존하는 방안과 관리체계가 요구된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월동하는 쇠기러기의 개체수는 증가했으나, 도래지의 수는 오히려 감소하였고, 개체수가 큰 도래지의 경우 집중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낙동강유역과 형산강유역에서 조사된 쇠기러기 월동지에 대한 조사 결과 낙동강하구, 주남저수지, 우포 및 구미 등 4곳과 형산강지역 경주 안계저수지 등 모두 5곳으로 나타났으며, 과거와는 다른 패턴을 보였다. 낙동강유역에서 습지별 쇠기러기의 월동 개체수 변동은 지역별로 감소하였지만, 구미지역은 급격한 증가현상을 보였으며, 가장 큰 쇠기러기 월동지이였다. 안계저수지 역시 꾸준한 개체수 증가를 보이고 개체수 또한 큰 지역으로 나타나 쇠기러기가 월동지로 이용하기에 좋은 곳임을 보여 주었다. 해평습지에서 월동하는 쇠기러기의 일주행동을 분석한 결과, 장거리 이동형과 월동지 주변형으로 2가지 행동형이 나타났으며, 구미 낙동강의 폭넓은 모래톱이 쇠기러기의 월동 및 숙영에 가장 좋은 장소임이 확인되었다. 안계저수지에서 월동하는 쇠기러기 일주행동을 분석한 결과 숙영지인 저수지내에서 4무리를 이루고, 채식지로의 이동시 2무리씩 뭉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비행하며, 채식지 또한 서로 다른 곳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평습지와 안계저수지의 쇠기러기 일주행동을 비교한 결과, 채식지와 숙영지와의 거리차이로 인해 비행시간과 그에 따른 휴식 및 수면 시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루 2번의 주간 채식과 야간 숙영을 하는 규칙적인 패턴을 보였다. 대부분 비슷한 행동양상을 보였으나, 해평습지에서 월동하는 쇠기러기의 경우, 1월 중순쯤 지나 채식지로의 비행시간이 크게 증가하였고, 안계저수지의 쇠기러기는 월동기간동안 채식지로의 비행시간은 일정하였다. 안계저수지는 주변이 산으로 둘러 싸여 있고 사람을 비롯한 교란 원인이 적은 곳이며, 주변 채식지(안강들과 경주, 포항들)의 확보로 앞으로 쇠기러기의 중요한 월동지 중 한 곳이 될 것이라고 추정된다. 과거와는 다른 분포 패턴을 보인 만큼 무엇보다 많은 조사를 통해 그 실태를 파악하고, 쇠기러기 월동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이러한 지역들에 있어 보존하는 방안과 관리체계가 요구된다.
Wintering individual numbers of White fronted geese nationwide increased but wintering sites decreased instead. Wintering sites where large population of White fronted geese tended to be concentrated. Surveys at Nakdong River basin and Hyeongsan River basin showed five White fronted geese wintering ...
Wintering individual numbers of White fronted geese nationwide increased but wintering sites decreased instead. Wintering sites where large population of White fronted geese tended to be concentrated. Surveys at Nakdong River basin and Hyeongsan River basin showed five White fronted geese wintering sites as Nakdong River estuary, Junam reservoir, Upo, Gumi, and Gyeongju Angye reservoir at Hyeongsan River basin. The wintering individual numbers of White fronted geese in wetlands at Nakdong River estuary decreased by regions, but increased rapidly in Gumi area, the greatest wintering site of White fronted geese. Angye reservoir also showed a constant increase as an area of great wintering individual numbers, suggesting it is a good place for White fronted geese to use as a wintering site. The analysis of the daytime behaviors of wintering White fronted geese at Haepyeong wetland showed that there are two types of behavior, long distance moving and moving around the wintering site. The wide sandbar at Gumi Nakdong River was confirmed to be the best place for White fronted geese's wintering and roosting. The analysis of the daytime behaviors of wintering White fronted geese at Angye reservoir showed that they formed four groups, flied in different direction by two and two in moving to feeding places that are also located in different site. The comparison of the daytime behaviors of White fronted geese at Haepyeong wetland and Angye reservoir showed that the different distance from feeding place to roosting place resulted in different flying, resting, and sleeping time. Angye reservoir is estimated to be one of important wintering places for White fronted geese as it is surrounded by mountains with little factor of disturbance including people and is located near feeding places(Angang, Gyeongju and Pohang field). A preserving plan and administration system is required for these area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as wintering places of White fronted geese by grasping their actual condition through much investigation, since the pattern of distribution has changed from that of the past.
Wintering individual numbers of White fronted geese nationwide increased but wintering sites decreased instead. Wintering sites where large population of White fronted geese tended to be concentrated. Surveys at Nakdong River basin and Hyeongsan River basin showed five White fronted geese wintering sites as Nakdong River estuary, Junam reservoir, Upo, Gumi, and Gyeongju Angye reservoir at Hyeongsan River basin. The wintering individual numbers of White fronted geese in wetlands at Nakdong River estuary decreased by regions, but increased rapidly in Gumi area, the greatest wintering site of White fronted geese. Angye reservoir also showed a constant increase as an area of great wintering individual numbers, suggesting it is a good place for White fronted geese to use as a wintering site. The analysis of the daytime behaviors of wintering White fronted geese at Haepyeong wetland showed that there are two types of behavior, long distance moving and moving around the wintering site. The wide sandbar at Gumi Nakdong River was confirmed to be the best place for White fronted geese's wintering and roosting. The analysis of the daytime behaviors of wintering White fronted geese at Angye reservoir showed that they formed four groups, flied in different direction by two and two in moving to feeding places that are also located in different site. The comparison of the daytime behaviors of White fronted geese at Haepyeong wetland and Angye reservoir showed that the different distance from feeding place to roosting place resulted in different flying, resting, and sleeping time. Angye reservoir is estimated to be one of important wintering places for White fronted geese as it is surrounded by mountains with little factor of disturbance including people and is located near feeding places(Angang, Gyeongju and Pohang field). A preserving plan and administration system is required for these area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as wintering places of White fronted geese by grasping their actual condition through much investigation, since the pattern of distribution has changed from that of the pas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