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주목적은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아동의 사교육 경험과 스트레스를 통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K구에 위치한 S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230명의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안지영(2000)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아동의 사교육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교육 실태와 관련된 연구들(김보림, 2007; 김수민, 2004; 박수진, 2001; 박지연, 2004)에 근거하여 아동이 일주일 동안 사교육을 받는 총 시간을 조사하였다. 아동의 스트레스는 한미현과 유안진(1995)의 척도를,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박병기와 송정화(2007)가 축소, 보완하여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변인들간의 ...
본 연구의 주목적은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아동의 사교육 경험과 스트레스를 통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K구에 위치한 S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230명의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안지영(2000)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아동의 사교육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교육 실태와 관련된 연구들(김보림, 2007; 김수민, 2004; 박수진, 2001; 박지연, 2004)에 근거하여 아동이 일주일 동안 사교육을 받는 총 시간을 조사하였다. 아동의 스트레스는 한미현과 유안진(1995)의 척도를,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박병기와 송정화(2007)가 축소, 보완하여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변인들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을 가질수록, 아동이 스트레스를 덜 경험한다고 지각할수록,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높았다.
둘째, 아동의 사교육 경험이 많을수록, 아동은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셋째, 어머니가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을 가질수록, 아동은 사교육을 덜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양육신념, 아동의 사교육 경험 및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아동의 사교육 경험 및 스트레스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가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을 가질수록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이와 동시에 어머니가 이러한 양육신념을 가질 때 아동은 사교육을 덜 경험하였고, 이러한 사교육 경험은 아동에게 스트레스를 덜 느끼게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아동은 보다 높은 주관적 안녕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아동의 사교육 경험은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아동의 스트레스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의 주목적은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아동의 사교육 경험과 스트레스를 통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K구에 위치한 S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230명의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안지영(2000)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아동의 사교육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교육 실태와 관련된 연구들(김보림, 2007; 김수민, 2004; 박수진, 2001; 박지연, 2004)에 근거하여 아동이 일주일 동안 사교육을 받는 총 시간을 조사하였다. 아동의 스트레스는 한미현과 유안진(1995)의 척도를,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박병기와 송정화(2007)가 축소, 보완하여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변인들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을 가질수록, 아동이 스트레스를 덜 경험한다고 지각할수록,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높았다.
둘째, 아동의 사교육 경험이 많을수록, 아동은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셋째, 어머니가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을 가질수록, 아동은 사교육을 덜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양육신념, 아동의 사교육 경험 및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아동의 사교육 경험 및 스트레스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가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을 가질수록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이와 동시에 어머니가 이러한 양육신념을 가질 때 아동은 사교육을 덜 경험하였고, 이러한 사교육 경험은 아동에게 스트레스를 덜 느끼게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아동은 보다 높은 주관적 안녕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인성을 강조하는 양육신념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아동의 사교육 경험은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아동의 스트레스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and stress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were 2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125 boys and 105 girls) and their mothers living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and stress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were 2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125 boys and 105 girls) and their mothers living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four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maternal parental belief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stress an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Maternal parental beliefs and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ere rated by mothers, and children's stress an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were rated by children themselves. Data were analys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was highe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and stress was lower,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was higher. Second, whe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higher, children's stress was higher. Third, when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was highe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Finally, results from analyses of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parental belief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children's stress, an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maternal parental beliefs directly influenced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Parental beliefs also it influenced indirectly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children's private education and stress. In other words, when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was highe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Agai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children's stress was lower. So,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ultimately was higher through the path.
This study found that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directly influenced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indirectly influenced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children's stres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and stress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were 2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125 boys and 105 girls) and their mothers living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four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maternal parental belief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stress an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Maternal parental beliefs and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ere rated by mothers, and children's stress an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were rated by children themselves. Data were analys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was highe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and stress was lower,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was higher. Second, whe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higher, children's stress was higher. Third, when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was highe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Finally, results from analyses of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parental belief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children's stress, an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maternal parental beliefs directly influenced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Parental beliefs also it influenced indirectly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children's private education and stress. In other words, when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was highe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Agai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as lower, children's stress was lower. So,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ultimately was higher through the path.
This study found that mother's beliefs emphasizing human achievement directly influenced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indirectly influenced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children's stres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