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병설유치원 만 5세 햇살반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리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지리교육 내용 및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도록 실행하여 그 과정에서 교사와 유아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햇살반에서 실시되고 있는 유아지리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은 무엇인가?
2. 유아지리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과정은 어떠한가?
3. 유아지리교육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유아와 교사는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연구자와 전라남도 G시의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박교사 및 박교사가 담당하는 햇살반 유아 22명이다. 연구방법은 유치원에서 실시되는 유아지리교육 실태 및 문제점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자와 교사의 반성적 실천 과정을 통해 유아기에 적절한 지리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실행연구(field action research)로 접근했다. 유아지리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본 연구의 실행연구모형은 Lewin의 실행연구모형의 핵심 특징을 포함해서 수정한 Kemmis의 모형을 토대로 실행했다. 유아지리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본 연구는 2008년 3월 22일부터 2008년 11월 1일까지 8개월 동안 지리교육내용 및 교수-방법에 대한 문헌탐구와 계획, 실행, 반성 및 검토, 재계획을 4차례에 걸쳐 반복하면서 참여관찰, 면담, 교사와 연구자의 저널, 기타 수업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자료의 처리 및 분석은 연구 진행시간과 지리교육활동과정의 변화 추이에 따라 자료를 정리하고 5가지 핵심지리개념(위치, 장소,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이동, 지역)과 지리적 기능(지리적 질문하기, 지리적 정보를 습득하기, 지리적 정보를 정리하기, 지리적 정보를 해석하기, 지리적 질문에 답하기)에 따라 나타난 실천 양상을 분석해보았다. 분석한 자료를 해석하기 위하여 참여 교사와 유아교육 전문가의 조언을 참고하였으며, 지리교육 관련 문헌을 통해 지리교육 이론을 참조하여 연구 결과를 맥락화 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햇살반에서 실시되고 있는 유아지리교육 실태를 조사한 후 문제점을 파악한 결과 교사는 교육활동을 통해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지만 전반적인 지리교육 내용보다는 제한적인 내용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유아들은 주변 환경에 대한 많은 관심이 있었지만 더 나은 지리교육을 위해 적절한 지원을 필요로 했다. 교사는 지리교육을 실천하고 있으면서도 유아기에 적절한 지리교육 내용이나 교수방법에 대해 뚜렷한 확신이 부족한 상태에서 유아에게 적절한 지리교육 내용과 교수 방법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고 교수 활동의 불확실성을 고민하고 있었다.
둘째, 햇살반의 유아지리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교사와 연구자는 1차 실행 방안을 계획하였다. 1차 실행은 지리교육 내용이 제한적으로 실천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핵심 지리개념 교육을 위주로 지리교육활동을 실시했다. 1차 실행 결과, 지리교육 활동이 유아의 흥미를 끌지 못하고 소극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유아의 지리 기능을 향상시키지 못했다고 평가하였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2차 실행은 지리적 기능 향상을 위한 지리교육 활동을 첨가하여 실행하게 되었다. 2차 실행 결과, 유아 지리 기능을 강조한 수업이 지리교육에는 변화가 있었지만 생활주제와 무관하게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3차 실행은 생활주제에 따라 지리교육 개념과 유아의 지리적 기능을 통합하여 실행했다. 3차 실행 결과, 교사가 계획한 활동보다 유아의 자발적 놀이를 통한 지리교육 활동이 유아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속적인 흥미를 이끌었다. 4차 실행에서는 유아의 자발적인 놀이를 통한 지리교육을 실시했다. 4차 실행 결과, 유아는 자발적 놀이를 통해 친구들과 상호주관적으로 협력하여 지리적 지식을 구성할 수 있었다. 유아는 흥미 있는 놀이를 통해 지리의 기초 개념과 지리 기능을 향상할 수 있었고 교사는 유아들의 지리교육 내용을 교육하기 위해 창의적 지원을 중시하게 되었다.
셋째, 유아지리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교사와 유아의 지리교육에 대한 관심이 변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교사는 지리교육 ...
본 연구는 병설유치원 만 5세 햇살반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리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지리교육 내용 및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도록 실행하여 그 과정에서 교사와 유아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햇살반에서 실시되고 있는 유아지리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은 무엇인가?
2. 유아지리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과정은 어떠한가?
3. 유아지리교육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유아와 교사는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연구자와 전라남도 G시의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박교사 및 박교사가 담당하는 햇살반 유아 22명이다. 연구방법은 유치원에서 실시되는 유아지리교육 실태 및 문제점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자와 교사의 반성적 실천 과정을 통해 유아기에 적절한 지리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실행연구(field action research)로 접근했다. 유아지리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본 연구의 실행연구모형은 Lewin의 실행연구모형의 핵심 특징을 포함해서 수정한 Kemmis의 모형을 토대로 실행했다. 유아지리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본 연구는 2008년 3월 22일부터 2008년 11월 1일까지 8개월 동안 지리교육내용 및 교수-방법에 대한 문헌탐구와 계획, 실행, 반성 및 검토, 재계획을 4차례에 걸쳐 반복하면서 참여관찰, 면담, 교사와 연구자의 저널, 기타 수업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자료의 처리 및 분석은 연구 진행시간과 지리교육활동과정의 변화 추이에 따라 자료를 정리하고 5가지 핵심지리개념(위치, 장소,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이동, 지역)과 지리적 기능(지리적 질문하기, 지리적 정보를 습득하기, 지리적 정보를 정리하기, 지리적 정보를 해석하기, 지리적 질문에 답하기)에 따라 나타난 실천 양상을 분석해보았다. 분석한 자료를 해석하기 위하여 참여 교사와 유아교육 전문가의 조언을 참고하였으며, 지리교육 관련 문헌을 통해 지리교육 이론을 참조하여 연구 결과를 맥락화 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햇살반에서 실시되고 있는 유아지리교육 실태를 조사한 후 문제점을 파악한 결과 교사는 교육활동을 통해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지만 전반적인 지리교육 내용보다는 제한적인 내용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유아들은 주변 환경에 대한 많은 관심이 있었지만 더 나은 지리교육을 위해 적절한 지원을 필요로 했다. 교사는 지리교육을 실천하고 있으면서도 유아기에 적절한 지리교육 내용이나 교수방법에 대해 뚜렷한 확신이 부족한 상태에서 유아에게 적절한 지리교육 내용과 교수 방법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고 교수 활동의 불확실성을 고민하고 있었다.
둘째, 햇살반의 유아지리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교사와 연구자는 1차 실행 방안을 계획하였다. 1차 실행은 지리교육 내용이 제한적으로 실천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핵심 지리개념 교육을 위주로 지리교육활동을 실시했다. 1차 실행 결과, 지리교육 활동이 유아의 흥미를 끌지 못하고 소극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유아의 지리 기능을 향상시키지 못했다고 평가하였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2차 실행은 지리적 기능 향상을 위한 지리교육 활동을 첨가하여 실행하게 되었다. 2차 실행 결과, 유아 지리 기능을 강조한 수업이 지리교육에는 변화가 있었지만 생활주제와 무관하게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3차 실행은 생활주제에 따라 지리교육 개념과 유아의 지리적 기능을 통합하여 실행했다. 3차 실행 결과, 교사가 계획한 활동보다 유아의 자발적 놀이를 통한 지리교육 활동이 유아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속적인 흥미를 이끌었다. 4차 실행에서는 유아의 자발적인 놀이를 통한 지리교육을 실시했다. 4차 실행 결과, 유아는 자발적 놀이를 통해 친구들과 상호주관적으로 협력하여 지리적 지식을 구성할 수 있었다. 유아는 흥미 있는 놀이를 통해 지리의 기초 개념과 지리 기능을 향상할 수 있었고 교사는 유아들의 지리교육 내용을 교육하기 위해 창의적 지원을 중시하게 되었다.
셋째, 유아지리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교사와 유아의 지리교육에 대한 관심이 변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교사는 지리교육 내용지식에 대한 이해력이 증진된 것을 알 수 있었고 현장학습과 놀이를 통한 지리교육을 중시하게 되었으며, 유아의 생활 속에서 지리교육을 자연스럽게 실시할 수 있었다. 유아지리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자와 협의 및 자료 탐구를 적극적으로 하게 되었다. 교사는 유아의 자발적인 놀이를 중시하고 유아의 놀이를 관찰한 후 상황에 적절한 지원을 통해 지리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음을 인식했다.
유아지리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을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실행과정에서 유아의 지리교육에 대한 관심의 변화도 볼 수 있었다. 유아들은 위치, 장소, 환경과 상호작용, 이동, 지역 등의 핵심지리개념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고, 지리적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해 지리적 정보를 수집하고 정보를 정리하며 해석하는 지리 기능이 점차 더 익숙해졌다. 유아는 시간이 지날수록 놀이와 생활 속에서 자발적으로 주변 환경과 지리적 현상에 관심이 많아졌으며 지도에 대한 관심도 많아졌다.
결론적으로 유아지리교육내용을 효율적으로 교수-학습하는 방법은 교사가 유아지리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인식해야 하고, 인식한 내용을 유아의 생활주제와 통합하고, 자발적인 놀이를 통해 접근할 때 유아들은 또래들과 협력하여 유아 스스로 지리적 기초 개념 지식을 구성할 수 있었고 지리적 정보를 수집해서 분석·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지리적 문제해결능력을 증진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병설유치원 만 5세 햇살반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리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지리교육 내용 및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도록 실행하여 그 과정에서 교사와 유아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햇살반에서 실시되고 있는 유아지리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은 무엇인가?
2. 유아지리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과정은 어떠한가?
3. 유아지리교육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유아와 교사는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연구자와 전라남도 G시의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박교사 및 박교사가 담당하는 햇살반 유아 22명이다. 연구방법은 유치원에서 실시되는 유아지리교육 실태 및 문제점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자와 교사의 반성적 실천 과정을 통해 유아기에 적절한 지리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실행연구(field action research)로 접근했다. 유아지리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본 연구의 실행연구모형은 Lewin의 실행연구모형의 핵심 특징을 포함해서 수정한 Kemmis의 모형을 토대로 실행했다. 유아지리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본 연구는 2008년 3월 22일부터 2008년 11월 1일까지 8개월 동안 지리교육내용 및 교수-방법에 대한 문헌탐구와 계획, 실행, 반성 및 검토, 재계획을 4차례에 걸쳐 반복하면서 참여관찰, 면담, 교사와 연구자의 저널, 기타 수업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자료의 처리 및 분석은 연구 진행시간과 지리교육활동과정의 변화 추이에 따라 자료를 정리하고 5가지 핵심지리개념(위치, 장소,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이동, 지역)과 지리적 기능(지리적 질문하기, 지리적 정보를 습득하기, 지리적 정보를 정리하기, 지리적 정보를 해석하기, 지리적 질문에 답하기)에 따라 나타난 실천 양상을 분석해보았다. 분석한 자료를 해석하기 위하여 참여 교사와 유아교육 전문가의 조언을 참고하였으며, 지리교육 관련 문헌을 통해 지리교육 이론을 참조하여 연구 결과를 맥락화 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햇살반에서 실시되고 있는 유아지리교육 실태를 조사한 후 문제점을 파악한 결과 교사는 교육활동을 통해 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지만 전반적인 지리교육 내용보다는 제한적인 내용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유아들은 주변 환경에 대한 많은 관심이 있었지만 더 나은 지리교육을 위해 적절한 지원을 필요로 했다. 교사는 지리교육을 실천하고 있으면서도 유아기에 적절한 지리교육 내용이나 교수방법에 대해 뚜렷한 확신이 부족한 상태에서 유아에게 적절한 지리교육 내용과 교수 방법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고 교수 활동의 불확실성을 고민하고 있었다.
둘째, 햇살반의 유아지리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교사와 연구자는 1차 실행 방안을 계획하였다. 1차 실행은 지리교육 내용이 제한적으로 실천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핵심 지리개념 교육을 위주로 지리교육활동을 실시했다. 1차 실행 결과, 지리교육 활동이 유아의 흥미를 끌지 못하고 소극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유아의 지리 기능을 향상시키지 못했다고 평가하였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2차 실행은 지리적 기능 향상을 위한 지리교육 활동을 첨가하여 실행하게 되었다. 2차 실행 결과, 유아 지리 기능을 강조한 수업이 지리교육에는 변화가 있었지만 생활주제와 무관하게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3차 실행은 생활주제에 따라 지리교육 개념과 유아의 지리적 기능을 통합하여 실행했다. 3차 실행 결과, 교사가 계획한 활동보다 유아의 자발적 놀이를 통한 지리교육 활동이 유아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속적인 흥미를 이끌었다. 4차 실행에서는 유아의 자발적인 놀이를 통한 지리교육을 실시했다. 4차 실행 결과, 유아는 자발적 놀이를 통해 친구들과 상호주관적으로 협력하여 지리적 지식을 구성할 수 있었다. 유아는 흥미 있는 놀이를 통해 지리의 기초 개념과 지리 기능을 향상할 수 있었고 교사는 유아들의 지리교육 내용을 교육하기 위해 창의적 지원을 중시하게 되었다.
셋째, 유아지리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교사와 유아의 지리교육에 대한 관심이 변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교사는 지리교육 내용지식에 대한 이해력이 증진된 것을 알 수 있었고 현장학습과 놀이를 통한 지리교육을 중시하게 되었으며, 유아의 생활 속에서 지리교육을 자연스럽게 실시할 수 있었다. 유아지리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자와 협의 및 자료 탐구를 적극적으로 하게 되었다. 교사는 유아의 자발적인 놀이를 중시하고 유아의 놀이를 관찰한 후 상황에 적절한 지원을 통해 지리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음을 인식했다.
유아지리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을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실행과정에서 유아의 지리교육에 대한 관심의 변화도 볼 수 있었다. 유아들은 위치, 장소, 환경과 상호작용, 이동, 지역 등의 핵심지리개념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고, 지리적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해 지리적 정보를 수집하고 정보를 정리하며 해석하는 지리 기능이 점차 더 익숙해졌다. 유아는 시간이 지날수록 놀이와 생활 속에서 자발적으로 주변 환경과 지리적 현상에 관심이 많아졌으며 지도에 대한 관심도 많아졌다.
결론적으로 유아지리교육내용을 효율적으로 교수-학습하는 방법은 교사가 유아지리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인식해야 하고, 인식한 내용을 유아의 생활주제와 통합하고, 자발적인 놀이를 통해 접근할 때 유아들은 또래들과 협력하여 유아 스스로 지리적 기초 개념 지식을 구성할 수 있었고 지리적 정보를 수집해서 분석·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지리적 문제해결능력을 증진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seeks to probe into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geography education in a class of 5 year-olds in a public kindergarten to take measures aimed at improving the contents of geography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xamine changes in teachers and children.
To this...
The present study seeks to probe into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geography education in a class of 5 year-olds in a public kindergarten to take measures aimed at improving the contents of geography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xamine changes in teachers and children.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posit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geography education in Sunshine Class?
2. What are the measures and procedures taken to improve the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in geography education at the early childhood stage?
3. How are the children and teachers changed in the process of geography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are a researcher in charge, a teacher at a kindergarten affiliated to an elementary school in G city in JeollaNamdo and 22 children in Sunshine class that Ms. Park is in charge of. The research methodology used is field action research through reflection-based actions by the researcher and the teacher, prob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geography education in the kindergarten for improvement in order to implement geography education that is appropriate for early childhood. An action research model used in this research for geography education at the early childhood stage is based on the model which was developed by Kemmis and revised incorporating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action research model by Lewin. Under the present research on geograph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documents on the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geography education were studi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s, journals by the teacher and the researcher, and other class materials while undertaking the cycle of planning, implementation, reflections and reviews, and re-planning four times from March 22 through November 1 in 2008.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findings, data were arrang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eriod and changes in the process of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and the findings were analyzed in terms of 5 core geography concepts (location, place, interactions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environment, movement and area) and geographical functions (asking geographic questions, Acquiring geographic information, arranging geographic information, Analyz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answering geographical questions).
To interpret the analyzed data, the teacher and expert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consulted, a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contextualized in reference to theories on geography education and documents on geography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of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geography education in Sunshine class indicates that the teacher has been teaching geography through educational activities, yet with limited contents rather than comprehensive contents of geography education. Children show substantial interest in the environment, but they are in need of adequate support for better geography education. It shows that the teacher is providing geography education, unsure of the appropriat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for geography education, and doubtful about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at the same time while looking for appropriat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for children.
Second, the teacher and the researcher planned the first action plan to improve the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geography education for Sunshine Class. The first action plan involved activities of geography education that focused on the core geographical concepts in order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contents. As a result, the activities could not draw the interest of the children who showed a passive response, and it failed to improve the geographical functions of the children. In order to improve on this drawback, the second action plan added activities aimed at improving the geographical functions.
After the second action plan was implemented, although the class focused on the geographical functions of children brought changes, but often it was conducted without including the themes of daily life. In order to complement this weakness, the third action plan integrated the concepts of geography education according to the themes of daily life and the geographical functions of children. As a result, the activities involving children's voluntary games drew active participation and steady interest of children rather than activities planned by the teacher. The fourth action plan included geography education through voluntary games by children. After the fourth action plan was carried out, children could learn geographical knowledge through voluntary games of their own in cooperation with friends interactively. Children could improve on the basic concepts of geography and geographical functions through interesting games, and consequently, the teacher considered creative support important for geography education for children.
Third, the result shows changes in the level of interest of the teacher and children in geography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appropriate contents and learning-teaching methods of geography education for children. The teacher could improve on the understanding of knowledge on geography education, give importance to geography education through field study and games, and teach geography naturally along with the routine life of children. In order to improve the contents and learning-teaching methods of geography education for children, consultation with the researcher was done and the data was studied actively. The teacher came to recognize that geography education could be done better with support appropriate to the situations after observing the children playing.
In the process of looking for the appropriate contents and learning-teaching methods, changes in the level of interest in geography education for children were also noted.
Children got more interested in such core concepts of geography as location, place, interactions with the environment, movement, area and so forth, and they got familiar with the geographical function of collecting and arranging geographical information to find answers to geographical questions. As time passed by, the child voluntarily got more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phenomena through playing and routine life, and they also got interested in maps.
In conclusion, it has been observed that for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teacher should be aware of the contents of geography education for children in concrete terms while integrating it into the themes of daily life of children with an approach involving voluntary games. Then, children could learn the basic knowledge of geography for themselves in cooperation with their peers, and they could improve the problem-solving skills in geography through the processes of collecting, analyzing and arranging geographical information.
The present study seeks to probe into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geography education in a class of 5 year-olds in a public kindergarten to take measures aimed at improving the contents of geography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xamine changes in teachers and children.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posit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geography education in Sunshine Class?
2. What are the measures and procedures taken to improve the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in geography education at the early childhood stage?
3. How are the children and teachers changed in the process of geography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are a researcher in charge, a teacher at a kindergarten affiliated to an elementary school in G city in JeollaNamdo and 22 children in Sunshine class that Ms. Park is in charge of. The research methodology used is field action research through reflection-based actions by the researcher and the teacher, prob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geography education in the kindergarten for improvement in order to implement geography education that is appropriate for early childhood. An action research model used in this research for geography education at the early childhood stage is based on the model which was developed by Kemmis and revised incorporating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action research model by Lewin. Under the present research on geograph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documents on the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geography education were studi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s, journals by the teacher and the researcher, and other class materials while undertaking the cycle of planning, implementation, reflections and reviews, and re-planning four times from March 22 through November 1 in 2008.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findings, data were arrang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eriod and changes in the process of geography education activities, and the findings were analyzed in terms of 5 core geography concepts (location, place, interactions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environment, movement and area) and geographical functions (asking geographic questions, Acquiring geographic information, arranging geographic information, Analyz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answering geographical questions).
To interpret the analyzed data, the teacher and expert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consulted, a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contextualized in reference to theories on geography education and documents on geography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of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geography education in Sunshine class indicates that the teacher has been teaching geography through educational activities, yet with limited contents rather than comprehensive contents of geography education. Children show substantial interest in the environment, but they are in need of adequate support for better geography education. It shows that the teacher is providing geography education, unsure of the appropriat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for geography education, and doubtful about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at the same time while looking for appropriat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for children.
Second, the teacher and the researcher planned the first action plan to improve the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geography education for Sunshine Class. The first action plan involved activities of geography education that focused on the core geographical concepts in order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contents. As a result, the activities could not draw the interest of the children who showed a passive response, and it failed to improve the geographical functions of the children. In order to improve on this drawback, the second action plan added activities aimed at improving the geographical functions.
After the second action plan was implemented, although the class focused on the geographical functions of children brought changes, but often it was conducted without including the themes of daily life. In order to complement this weakness, the third action plan integrated the concepts of geography education according to the themes of daily life and the geographical functions of children. As a result, the activities involving children's voluntary games drew active participation and steady interest of children rather than activities planned by the teacher. The fourth action plan included geography education through voluntary games by children. After the fourth action plan was carried out, children could learn geographical knowledge through voluntary games of their own in cooperation with friends interactively. Children could improve on the basic concepts of geography and geographical functions through interesting games, and consequently, the teacher considered creative support important for geography education for children.
Third, the result shows changes in the level of interest of the teacher and children in geography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appropriate contents and learning-teaching methods of geography education for children. The teacher could improve on the understanding of knowledge on geography education, give importance to geography education through field study and games, and teach geography naturally along with the routine life of children. In order to improve the contents and learning-teaching methods of geography education for children, consultation with the researcher was done and the data was studied actively. The teacher came to recognize that geography education could be done better with support appropriate to the situations after observing the children playing.
In the process of looking for the appropriate contents and learning-teaching methods, changes in the level of interest in geography education for children were also noted.
Children got more interested in such core concepts of geography as location, place, interactions with the environment, movement, area and so forth, and they got familiar with the geographical function of collecting and arranging geographical information to find answers to geographical questions. As time passed by, the child voluntarily got more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phenomena through playing and routine life, and they also got interested in maps.
In conclusion, it has been observed that for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teacher should be aware of the contents of geography education for children in concrete terms while integrating it into the themes of daily life of children with an approach involving voluntary games. Then, children could learn the basic knowledge of geography for themselves in cooperation with their peers, and they could improve the problem-solving skills in geography through the processes of collecting, analyzing and arranging geographical inform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