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도시복원하천의 서식환경에 따른 조류서식모델 : 청계천을 사례로 The Birds habitat model of according to inhabitation environment in urban restoration stream: on the case of Cheonggye-cheon원문보기
도시복원하천의 생태 공간 조성은 하천복원사업에 자연형 공법이 적용되면서 중요성이 부각되어 왔다. 자연하천과는 달리 하폭 및 수심 등이 다양하지 못하고 자연미지형이 부족한 인공하천의 특성은 야생동물의 이동통로와 서식공간에 적합한 환경을 충족하지 못하였다. 청계천은 2005년 복원된 전형적인 도시하천으로서 친수공간과 자연성이 살아있는 공간으로 복원방향이 설정되었고 최근에는 생태성을 구현하기 위한 시설 및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하천에서 쉽게 볼 수 있고 친근한 야생동물인 조류를 대상으로 자연하천과의 환경이 차별화된 복원하천의 조류서식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도시복원하천의 생태 공간 조성은 하천복원사업에 자연형 공법이 적용되면서 중요성이 부각되어 왔다. 자연하천과는 달리 하폭 및 수심 등이 다양하지 못하고 자연미지형이 부족한 인공하천의 특성은 야생동물의 이동통로와 서식공간에 적합한 환경을 충족하지 못하였다. 청계천은 2005년 복원된 전형적인 도시하천으로서 친수공간과 자연성이 살아있는 공간으로 복원방향이 설정되었고 최근에는 생태성을 구현하기 위한 시설 및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하천에서 쉽게 볼 수 있고 친근한 야생동물인 조류를 대상으로 자연하천과의 환경이 차별화된 복원하천의 조류서식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식생 및 조류상 분석을 실시하고 서식환경에 따른 조류 분포를 조사하여 분류군별 서식 공간 모델을 도출하였다. 조류의 서식에 주요한 환경조건을 제공해주는 식생분석은 3년간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전체 종수와 구간별 식물종을 분석한 결과 지속적인 식물상의 증가가 나타났다. 2006년 328종에서 2008년에는 444종을 기록하였으며 구간별 식생의 변화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조류상 분석에서는 2006년 33종, 2007년 29종, 2008년 36종으로 조사되어 2008년에 다양한 조류상이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간별 분석에서는 1,2구간은 참새(Passer montanus) 및 붉은머리오목눈이(Paradoxornis webbiana)와 같은 관목성조류들이 우점하고 있으며 3구간부터는 하폭이 넓어지고 미지형이 증가하면서 왜가리(Ardea cinerea) 및 수면성 오리류가 출현하고 있다. 수면성오리류와 잠수성오리류는 9월부터 4구간과 중랑천 합류부 지점에서 집중적으로 출현하여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리류 중에서 산란이 확인된 종은 잠수성인 논병아리(T. ruficollis)와 수면성인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로 나타났다. 청계천 조류의 서식환경을 분석하기 위하여 먹이환경, 번식지, 휴식지, 취식지, 도피지, 잠자리 등의 항목으로 공간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선호하는 장소 및 습성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조류서식모델의 기준을 선정하였다. 대상 분류군은 청계천에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는 백로류, 수면성오리류, 잠수성 오리류, 도요·물떼새류, 관목성조류, 교목성조류로 선정하였으며 모델 제시를 위한 기준은 하폭, 수심 등의 지형적 요인과 번식지, 휴식지, 취식지, 도피지 등의 공간적 요인으로 대표되는 항목을 선정하여 모델기준을 도출하였다. 수조류의 주요서식공간은 모래톱, 거석수제, 자갈톱, 호안 초본지대로 나타났으며 이 장소는 기존 연구사례에서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비수조류의 경우 하천내의 미지형과 상관없이 관목과 교목을 이용하여 취식지 및 휴식지로 활용하고 있었다. 이런 특성들을 고려하여 분류군별 조류서식모델을 도면화 하였으며 조류서식에 있어 분류군별로 필수적인 공간 및 식생구조를 표시하였다. 청계천은 초본 및 관목류에 비해 교목림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므로 하류지점(신답철교-제 2마장교)에 복자기(Acer triflorum),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때죽나무(Styrax japonica) 등을 도입한다면 조류서식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면성 및 잠수성오리류의 경우 청계천에는 부엽식물과 침수식물이 자연군락으로 존재하지 않아 부엽식물 중 가래과의 식생을 도입한다면 조류의 먹이원과 서식환경에 많은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청계천 모니터링결과를 활용하여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타 복원하천의 모니터링을 통한 자료 구축을 통해 도시복원하천에 포괄적으로 적용 가능한 모델 개발을 후속 과제로 남겨둔다.
도시복원하천의 생태 공간 조성은 하천복원사업에 자연형 공법이 적용되면서 중요성이 부각되어 왔다. 자연하천과는 달리 하폭 및 수심 등이 다양하지 못하고 자연미지형이 부족한 인공하천의 특성은 야생동물의 이동통로와 서식공간에 적합한 환경을 충족하지 못하였다. 청계천은 2005년 복원된 전형적인 도시하천으로서 친수공간과 자연성이 살아있는 공간으로 복원방향이 설정되었고 최근에는 생태성을 구현하기 위한 시설 및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하천에서 쉽게 볼 수 있고 친근한 야생동물인 조류를 대상으로 자연하천과의 환경이 차별화된 복원하천의 조류서식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식생 및 조류상 분석을 실시하고 서식환경에 따른 조류 분포를 조사하여 분류군별 서식 공간 모델을 도출하였다. 조류의 서식에 주요한 환경조건을 제공해주는 식생분석은 3년간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전체 종수와 구간별 식물종을 분석한 결과 지속적인 식물상의 증가가 나타났다. 2006년 328종에서 2008년에는 444종을 기록하였으며 구간별 식생의 변화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조류상 분석에서는 2006년 33종, 2007년 29종, 2008년 36종으로 조사되어 2008년에 다양한 조류상이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간별 분석에서는 1,2구간은 참새(Passer montanus) 및 붉은머리오목눈이(Paradoxornis webbiana)와 같은 관목성조류들이 우점하고 있으며 3구간부터는 하폭이 넓어지고 미지형이 증가하면서 왜가리(Ardea cinerea) 및 수면성 오리류가 출현하고 있다. 수면성오리류와 잠수성오리류는 9월부터 4구간과 중랑천 합류부 지점에서 집중적으로 출현하여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리류 중에서 산란이 확인된 종은 잠수성인 논병아리(T. ruficollis)와 수면성인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로 나타났다. 청계천 조류의 서식환경을 분석하기 위하여 먹이환경, 번식지, 휴식지, 취식지, 도피지, 잠자리 등의 항목으로 공간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선호하는 장소 및 습성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조류서식모델의 기준을 선정하였다. 대상 분류군은 청계천에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는 백로류, 수면성오리류, 잠수성 오리류, 도요·물떼새류, 관목성조류, 교목성조류로 선정하였으며 모델 제시를 위한 기준은 하폭, 수심 등의 지형적 요인과 번식지, 휴식지, 취식지, 도피지 등의 공간적 요인으로 대표되는 항목을 선정하여 모델기준을 도출하였다. 수조류의 주요서식공간은 모래톱, 거석수제, 자갈톱, 호안 초본지대로 나타났으며 이 장소는 기존 연구사례에서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비수조류의 경우 하천내의 미지형과 상관없이 관목과 교목을 이용하여 취식지 및 휴식지로 활용하고 있었다. 이런 특성들을 고려하여 분류군별 조류서식모델을 도면화 하였으며 조류서식에 있어 분류군별로 필수적인 공간 및 식생구조를 표시하였다. 청계천은 초본 및 관목류에 비해 교목림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므로 하류지점(신답철교-제 2마장교)에 복자기(Acer triflorum),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때죽나무(Styrax japonica) 등을 도입한다면 조류서식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면성 및 잠수성오리류의 경우 청계천에는 부엽식물과 침수식물이 자연군락으로 존재하지 않아 부엽식물 중 가래과의 식생을 도입한다면 조류의 먹이원과 서식환경에 많은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청계천 모니터링결과를 활용하여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타 복원하천의 모니터링을 통한 자료 구축을 통해 도시복원하천에 포괄적으로 적용 가능한 모델 개발을 후속 과제로 남겨둔다.
The importance of preparing ecological space of urban restoration stream has been underlined as natural engineering was applied to river restoration business. The features of artificial rivers which don't have various width and depth of stream unlike natural streams with short of naturally beautiful...
The importance of preparing ecological space of urban restoration stream has been underlined as natural engineering was applied to river restoration business. The features of artificial rivers which don't have various width and depth of stream unlike natural streams with short of naturally beautiful topography couldn't provide appropriate environment for moving path and habitat of wild animals. Reopened and restored in 2005, Cheonggye-cheon is a typical urban stream and its restoration was directed to water-friendly natural space and recently, ecological facility and programs are operated. This study aims to suggest birds habitat model of restored streams where the environment is differentiated with that of natural streams with friendly wildlife, birds which is easily seen around streams as the target. As for vegetation analysis which provides major environment condition for the habitat of birds, I analyzed botanical species per section compared to entire species during three years of monitoring and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continuous increase in types of botanical species. It was recorded from 328 species in 2006 to 444 species in 2008 and the change of vegetation per section was quite diverse. In avifauna analysis, it was investigated that 33 species in 2006, 29 in 2007 and 36 in 2008 existed proving that various birds appeared in 2008. In sectional analysis, shrubby birds such as Passer montanus and Paradoxornis webbiana are dominant in section 1 and section 2 while Ardea cinerea and dabbling duck are appearing from section 3 as the width of stream gets wider and Micro-landforms increases. It was investigated that dabbling ducks and diving ducks appear and live mainly in the confluence between the section 4 and Jungryang-cheon from September. Among ducks, diving grebe and dabbling spot-billed duck were revealed to lay eggs. I analyzed spaces with items of feed environment, breeding ground, resting place, eating place, escaping place and sleeping place to analyze inhabitation environment of Cheonggye-cheon birds and as a result, there are various places and habits preferred; I selected the standard of bird habit at model based on this result. I selected egrets, dabbling ducks, diving ducks, snipes, plovers, shrubby birds and tall tree birds, which continuously appear around Cheonggye-cheon as target category, and as for the standard to suggest models, topographical elements such as width and depth of strean and spatial elements such as breeding ground, resting place, eating place and escaping place items were selected to draw out model standard. The major habitat of water birds was revealed to be sandbank, stone weir, gravel bary, revetment and floral zone, and these places are similar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case of non-water birds, shrubs and tall trees are used as eating place and resting place regardless of Micro-landforms inside stream. I made a drawing of classified birds habitat model by considering these features and marked essential space and vegetation structure per classified group in birds inhabitation. Cheonggye-cheon is rather short of tall trees than herbs and shrubs, and so if it is introduced vegetation such as Acer triflorum, Fraxinus rhynchophylla and Styrax japonica in the downstream(Shindap iron bridge-2nd Majanggyo), advantageous environment for birds habitat can be formed. In case of dabbling ducks and diving ducks, as floating leaved plant and submerges leaved plant are not naturally existed in Cheonggye-cheon, if vegetation of Potamogeton distincuts among floating-leaved plants is introduced, it would take great role as the feed source and inhabitation environment for birds. This study suggested a model by using the Cheonggye-cheon monitoring results mainly. Henceforth, through construction of data from actual investigation in other streams, I will leave development of generally applicable model to urban restoration stream as assignment.
The importance of preparing ecological space of urban restoration stream has been underlined as natural engineering was applied to river restoration business. The features of artificial rivers which don't have various width and depth of stream unlike natural streams with short of naturally beautiful topography couldn't provide appropriate environment for moving path and habitat of wild animals. Reopened and restored in 2005, Cheonggye-cheon is a typical urban stream and its restoration was directed to water-friendly natural space and recently, ecological facility and programs are operated. This study aims to suggest birds habitat model of restored streams where the environment is differentiated with that of natural streams with friendly wildlife, birds which is easily seen around streams as the target. As for vegetation analysis which provides major environment condition for the habitat of birds, I analyzed botanical species per section compared to entire species during three years of monitoring and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continuous increase in types of botanical species. It was recorded from 328 species in 2006 to 444 species in 2008 and the change of vegetation per section was quite diverse. In avifauna analysis, it was investigated that 33 species in 2006, 29 in 2007 and 36 in 2008 existed proving that various birds appeared in 2008. In sectional analysis, shrubby birds such as Passer montanus and Paradoxornis webbiana are dominant in section 1 and section 2 while Ardea cinerea and dabbling duck are appearing from section 3 as the width of stream gets wider and Micro-landforms increases. It was investigated that dabbling ducks and diving ducks appear and live mainly in the confluence between the section 4 and Jungryang-cheon from September. Among ducks, diving grebe and dabbling spot-billed duck were revealed to lay eggs. I analyzed spaces with items of feed environment, breeding ground, resting place, eating place, escaping place and sleeping place to analyze inhabitation environment of Cheonggye-cheon birds and as a result, there are various places and habits preferred; I selected the standard of bird habit at model based on this result. I selected egrets, dabbling ducks, diving ducks, snipes, plovers, shrubby birds and tall tree birds, which continuously appear around Cheonggye-cheon as target category, and as for the standard to suggest models, topographical elements such as width and depth of strean and spatial elements such as breeding ground, resting place, eating place and escaping place items were selected to draw out model standard. The major habitat of water birds was revealed to be sandbank, stone weir, gravel bary, revetment and floral zone, and these places are similar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case of non-water birds, shrubs and tall trees are used as eating place and resting place regardless of Micro-landforms inside stream. I made a drawing of classified birds habitat model by considering these features and marked essential space and vegetation structure per classified group in birds inhabitation. Cheonggye-cheon is rather short of tall trees than herbs and shrubs, and so if it is introduced vegetation such as Acer triflorum, Fraxinus rhynchophylla and Styrax japonica in the downstream(Shindap iron bridge-2nd Majanggyo), advantageous environment for birds habitat can be formed. In case of dabbling ducks and diving ducks, as floating leaved plant and submerges leaved plant are not naturally existed in Cheonggye-cheon, if vegetation of Potamogeton distincuts among floating-leaved plants is introduced, it would take great role as the feed source and inhabitation environment for birds. This study suggested a model by using the Cheonggye-cheon monitoring results mainly. Henceforth, through construction of data from actual investigation in other streams, I will leave development of generally applicable model to urban restoration stream as assignme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