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경강 하천공간 복원이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iver space restoration on biodiversity in the Mankyung rive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2 no.10 suppl., 2019년, pp.865 - 873  

전호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김규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홍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김지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의 목적은 하천유역시스템의 다양한 기능을 고려한 하천공간 복원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특히, 하천공간 복원을 통한 수생태계 개선 효과를 정량화함으로써 지속가능한 하천유역관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하천유역의 기능 측면에서 현재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각 기능별 복원효과 평가를 위해 개별 성과지표와 연계한 하천공간 복원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다. 하천공간 복원에 따른 생태적 영향은 에코톱 개념을 도입하여 개선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3가지 하천공간 복원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복원 효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확대되는 공간에 배후습지 등 적절한 서식처를 조성하는 것이 생물다양성 확대에 유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연중 수리 수문 특성과 연계한 에코톱의 다양성 평가는 하천공간 복원의 기대효과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성과평가를 위한 사업 후 모니터링의 기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river space restoration framework considering various functions of river basin system. In particular, we will present sustainable river basin management directions by quantify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quatic ecosystem through the restoration...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지류합류부의 하천구역 편입을 통한 생물다양성 확대를 하천공간 복원의 목표로 설정하고, 시나리오 별 복원 효과를 정량화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하천구역에서 벗어나 고유의 하천공간 복원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치수 위주의 하천사업으로 고유의 하천공간 상당부분이 축소된 만경강 일부 구간을 대상으로 복원의 효과를 정량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적용함으로써 수생태계 보전· 복원을 포함한 지속가능한 하천유역관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상(Ba)은 극히 낮은 흐름에서 노출되는 하도, 습지(S)는 하도와 분리되어 수심 1 m 이내의 수체 그리고 초본식생(Hb)은 작은 홍수 규모에서 침수 발생 유무로 1년생과 다년생을 구분하였다. 이 밖에 목본식생과 인위적인 에코톱은 하천공간 복원 구역에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 다양성은 무엇인가? 생물 다양성은 생물들의 다양한 생활형, 특히 종 수의 다양성을 의미한다. 한편 에코톱(Ecotope)은 구성요소의 상태, 잠재자연식생, 잠재생태계 기능으로 균일하게 분류가 가능하면서, 도면의 단위로 사용 가능한 가장 작은 생태학적 토지(생태공간)을 의미한다(Whittaker et al.
하천은 어떤 구조를 갖는 가? 하천은 제방 등 인위적으로 제한된 구역에서의 홍수소통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하천유역 차원에서 자연환경 요소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유기적 시스템 구조를 갖는다. 유럽연합은 물과 하천유역 관리를 위한 최상위 정책으로 ‘물기본지침(Water Framework Directive)’을 채택하였다.
하천공간의 복원은 어떤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하는 가? 하천공간의 복원은 하천과 홍수터의 역동성 회복을 위하여 우각호, 늪지, 배후습지, 하도습지 등 수생물 서식지 및 홍수저류 공간을 복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일종 중심이 아니라, 하천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이해로부터 다양한 생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복원방향이 설정되어야 한다. 한편 수리특성과 하천 에코톱에 관한 관계는 단순히 침수 지속기간 뿐만 아니라 유속, 수심, 하상재료, 수질 등 다양한 환경요소와 관련이 있으므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e Nooij, R. J. W., Alard, D., Blust, G. D., and Hooijer, A. (200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IO-SAFE. a policy and legislation based model for the assessment of impacts of flood prevention measures on biodiversity in river basins: executive summary: IRMA-SPONGE project 11,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2. European Commission (2000). Directive 2000/60/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3 October 2000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community action in the field of water policy. Off. J. Eur. Communities 2000, European Communities, Common implementation strategy, Brussels. 

  3. Hong, I., Kim, J. S., Kim, K. H., Shin, H. S., and Jeon, H. S. (2018). "Analysis of physical habitat change for target fish induced by extended floodplain." Journal of Coastal Research, JCR, Vol. 85, No. sp1, pp. 86-90. 

  4. Hong, S. K., and Kim, D. Y. (2000). Land mosaics: the ecology of landscapes and regions (in Korean). Sungkyunkwan University Press, Seoul, p.49, p.52. 

  5. Jeonbuk Daily (2006). Ecology of the mankyung river, accessed 5 April 2006, . 

  6. Kim, K. H. (2019). Technical report on establishment of schematic plan for restoration of river area. Research group technical report (No.1) for river restoration toward coexistence between nature and human,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AIA (in Korean). 

  7.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A) (2008). Flood mitigation plan for Mankyung river. Korean (in Korean). 

  8.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A) (2012). Schematic plan for Mankyung river. Iksan, Korea (in Korean). 

  9. Simon, A., Bennett, S. J., and Castro, J. M. (2011). Stream restoration in dynamic fluvial systems: scientific approaches, analyses, and tool. American Geophysical Union, Geophysical Monograph Series 194, John Wiley & Sons, Hoboken, New Jersey. 

  10. Speed, R., Tickner, D., Naiman, R., Gang, L., Sayers, P., Yu, W., Yuanyuan, L., Houjlan, H., Jianting, C., Lili, Y., and Zhongnan, Z. (2016). River restoration: a strategic approach to planning and management, UNESCO Publishing, Paris. 

  11. Spellerberg, I. F., and Fedor, P. J. (2003). "A tribute to Claude Shannon (1916-2001) and a plea for more rigorous use of species richness, species diversity and the 'Shannon-Wiener' Index."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Vol. 12, No. 3, pp. 177-179. 

  12. Steffler, P., and Blackburn, J. (2002). Two-dimensional depth averaged model of river hydrodynamics and fish habitat. River2D user's manual, University of Alberta, Canada. 

  13. The Nature Conservancy (2007). Indicators of hydrologic alteration version 7.1: User's Manual. Arlington. 

  14. The Nature Conservancy (2008). The active river area: a conservation framework for protecting rivers and streams. Arlington, p. 59. 

  15. Van der Molen, D. T., Geilen, N., Backx, J. J. G. M., Jansen, B. J. M., and Wolfert, H. P. (2003). "Water ecotope classification for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n the Netherlands." European Water Management Online, pp. 1-14. 

  16. Ward, J. V., Tockner, K., and Schiemer, F. (1999). "Biodiversity of floodplain river ecosystems: ecotones and connectivity1."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15, No. 1-3, pp. 125-139. 

  17. Whittaker, R. H., Levin, S. A., and Root, R. B. (1973). "Niche, habitat, and ecotope." The American Naturalist, Vol. 107, No. 955, pp. 321-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