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폐암환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종양의 특성과 남녀별 생존기간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이다.연구대상은 2003년 1월 1일부터 2003년 12월 31일 까지 연세암센터 종양등록 사업소에 원발성 폐암으로 최초 등록된 환자 404명을 추적 조사하여 2008년 8월 26일 까지의 생존율을 분석하였다.자료 분석은 SAS 9.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전체 조사 대상자 404명 중 남자가 290명(71.8%), 여자가 114명(28.2%)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2.5배 많았다. 흡연여부에서 흡연자가 214명(53%), 비흡연자가 190명(47%)으로 여자는 103명(90%)이 비흡연자이며, 흡연자는 11명(9.7%), 남자는 203명(70%)이 흡연자, 87명(30%)이 비흡연자로 조사되었다. 남녀간의 흡연여부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2. 병리조직학적으로는 여자에게는 ...
이 연구는 폐암환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종양의 특성과 남녀별 생존기간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이다.연구대상은 2003년 1월 1일부터 2003년 12월 31일 까지 연세암센터 종양등록 사업소에 원발성 폐암으로 최초 등록된 환자 404명을 추적 조사하여 2008년 8월 26일 까지의 생존율을 분석하였다.자료 분석은 SAS 9.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전체 조사 대상자 404명 중 남자가 290명(71.8%), 여자가 114명(28.2%)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2.5배 많았다. 흡연여부에서 흡연자가 214명(53%), 비흡연자가 190명(47%)으로 여자는 103명(90%)이 비흡연자이며, 흡연자는 11명(9.7%), 남자는 203명(70%)이 흡연자, 87명(30%)이 비흡연자로 조사되었다. 남녀간의 흡연여부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2. 병리조직학적으로는 여자에게는 선암이 64%로 가장 많았고, 남자에게는 편평상피암이 39.3%로 가장 많았다. 남녀간의 조직학적 분포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3. 비흡연자인 여자에게는 선암이 67%, 남자는 39.1%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1). 흡연자인 여자에게는 소세포암 45.5%, 남자에게는 편평상피암 41.4%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6).4. 성별 생존율은 남자의 경우 5년 생존율이 18.6%, 여자의 경우는 20.6% 로 조사되었으며, 남녀간의 생존율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0.264).5. 사망위험률에 관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비소세포암의 경우 흡연자 그룹(기준: 비흡연자), 병기 IV 그룹(기준: 병기 I), 내원당시의 활동능력 2, 3/4 그룹(기준: 0/1)이 사망의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6. 비소세포암중 여자의 경우는 Model 2에서 흡연자 그룹(기준: 비흡연자), 체중감소가 있는 그룹(기준: 체중감소가 없는 그룹), 병기 IV 그룹(기준: 병기 I)이 사망의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7. 비소세포암중 남자의 경우는 Model 2에서 병기 IV(기준 : 병기 I), 내원당시의 활동능력 2, 3/4 그룹(기준: 0/1)이 사망의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2003년 원발성 폐암 최초등록자만 대상으로 하여 연구 대상자 수가 적은 제한점이 있으며, 좀 더 많은 연구 대상자를 포함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본 연구는 후향적 분석으로 폐암발생양상 및 생존율과 관련된 구체적인 원인규명을 밝히는데 한계가 있었다. 지역사회 전체에서 발생된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한 개의 대학병원에서 최초 등록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대상 환자의 분포범주가 명확하지 못하고 인구학적 특성과 사회경제적인 특성이나 환자의 병원 선호도 등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점점 증가추세에 있는 폐암의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또는 남녀별 폐암 특성에 따른 조기진단 및 맞춤치료의 개발을 위하여 남녀별 폐암의 생존율의 차이를 보고자 했던 본 연구는 미흡하지만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좀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하고 다양한 변수를 분석하여 남녀의 생존율의 차이에 관한 원인 규명 및 비흡연자인 여자에서의 높은 발병율에 대한 세밀한 정보 수집 및 유전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는 폐암환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종양의 특성과 남녀별 생존기간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이다.연구대상은 2003년 1월 1일부터 2003년 12월 31일 까지 연세암센터 종양등록 사업소에 원발성 폐암으로 최초 등록된 환자 404명을 추적 조사하여 2008년 8월 26일 까지의 생존율을 분석하였다.자료 분석은 SAS 9.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전체 조사 대상자 404명 중 남자가 290명(71.8%), 여자가 114명(28.2%)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2.5배 많았다. 흡연여부에서 흡연자가 214명(53%), 비흡연자가 190명(47%)으로 여자는 103명(90%)이 비흡연자이며, 흡연자는 11명(9.7%), 남자는 203명(70%)이 흡연자, 87명(30%)이 비흡연자로 조사되었다. 남녀간의 흡연여부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2. 병리조직학적으로는 여자에게는 선암이 64%로 가장 많았고, 남자에게는 편평상피암이 39.3%로 가장 많았다. 남녀간의 조직학적 분포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3. 비흡연자인 여자에게는 선암이 67%, 남자는 39.1%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1). 흡연자인 여자에게는 소세포암 45.5%, 남자에게는 편평상피암 41.4%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6).4. 성별 생존율은 남자의 경우 5년 생존율이 18.6%, 여자의 경우는 20.6% 로 조사되었으며, 남녀간의 생존율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0.264).5. 사망위험률에 관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비소세포암의 경우 흡연자 그룹(기준: 비흡연자), 병기 IV 그룹(기준: 병기 I), 내원당시의 활동능력 2, 3/4 그룹(기준: 0/1)이 사망의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6. 비소세포암중 여자의 경우는 Model 2에서 흡연자 그룹(기준: 비흡연자), 체중감소가 있는 그룹(기준: 체중감소가 없는 그룹), 병기 IV 그룹(기준: 병기 I)이 사망의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7. 비소세포암중 남자의 경우는 Model 2에서 병기 IV(기준 : 병기 I), 내원당시의 활동능력 2, 3/4 그룹(기준: 0/1)이 사망의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2003년 원발성 폐암 최초등록자만 대상으로 하여 연구 대상자 수가 적은 제한점이 있으며, 좀 더 많은 연구 대상자를 포함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본 연구는 후향적 분석으로 폐암발생양상 및 생존율과 관련된 구체적인 원인규명을 밝히는데 한계가 있었다. 지역사회 전체에서 발생된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한 개의 대학병원에서 최초 등록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대상 환자의 분포범주가 명확하지 못하고 인구학적 특성과 사회경제적인 특성이나 환자의 병원 선호도 등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점점 증가추세에 있는 폐암의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또는 남녀별 폐암 특성에 따른 조기진단 및 맞춤치료의 개발을 위하여 남녀별 폐암의 생존율의 차이를 보고자 했던 본 연구는 미흡하지만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좀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하고 다양한 변수를 분석하여 남녀의 생존율의 차이에 관한 원인 규명 및 비흡연자인 여자에서의 높은 발병율에 대한 세밀한 정보 수집 및 유전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a research on the correlation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lung cancer pati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umor to the survival period of male and female patients.As the subject of this study, 404 patients who had been registered initially at the tumor checkup services of Yonsei ...
This study is a research on the correlation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lung cancer pati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umor to the survival period of male and female patients.As the subject of this study, 404 patients who had been registered initially at the tumor checkup services of Yonsei Cancer Center for primary lung cancer during January 1-December 31, 2003 were followed up, and their survival rate until August 26, 2008 was analyzed.SAS 9.1 program was used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and major findings from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1. The total subjects of this study, i.e. 404 patients, are composed of 290 male (71.8%) and 114 female (28.2%), with the number of male being 2.5 times as large as female. On the category of cigarettes smoking, the total subjects are divided into 214 smokers (53%) and 190 non-smokers (47%). Of the female patients, 103 (90%) were non-smokers (90%) and 11 (9.7%) were smokers. Of the male patients, 203 (70%) were smokers and 87 (30%) were non-smokers. Hence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the point of smoking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p<0.0001).2. In the histopathological aspect, adenocarcinoma was found most common to female patients (64%) while squamous cell carcinoma was observed most in male patients (39.3%). H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istological distribution between male and female (p<0.0001).3. Adenocarcinoma was most common to non-smoking female patients, with 67%, and non-smoking male, with 39.1%, which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p<0.0001). Small cell cancer was found most in smoking female group, with 45.5%, while squamous cell carcinoma appeared most in smoking male group, with 41.4%, which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p=0.036).4. As for the survival rate by gender, the study revealed that male patients’ survival rate until 5 years later was 18.6% while that of female patients was 20.6%. Thus the difference in survival rate of male and female was not significant (p= 0.264).5. From multivariate analysis on the rate of mortality, in particular for the case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smokers group (criteria: non-smokers), staging IV group (criteria: staging I) and group with 2, 3/4 physical activity capacity at the time of hospital visit (criteria: 0/1) were analyzed as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mortality level.6. For the case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in particular female patients, smokers group at model 2 (criteria: non-smokers), group of patients with weight loss (criteria: group of patients without weight loss) and staging IV group (criteria: staging I) were analyzed as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mortality level.7. For the case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in particular male patients, staging IV at model 2 (criteria: staging I) and group with 2, 3/4 physical activity capacity at the time of hospital visit (criteria: 0/1) were analyzed as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mortality level.This study has a weakness in that only the patients initially registered in 2003 for primary lung cancer were set as the subject of research; hence the number of subjects is limited. It would be desirable and necessary to conduct a research with a larger number of patients as subject. In addition, this study adopted a retrospective analysis which has limitation in examining the detailed causes concerning pattern of lung cancer occurrence and survival rate. Instead of investigating all the lung cancer patients in a certain area, this study focused on those registered at one university hospital, thus it lacks clarity in distribution category of patients and involves the possibility that demographic features, socioeconomic features or patient’s preference on hospital may affect the result of study. This study has attemp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mortality rate per gender caused by lung cancer, with the ultimate objective of diminishing the gradually rising mortality of lung cancer through development of early diagnosis and tailored-therapy pursuant to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patients. Though this study may not be a sufficient one, nevertheless it was worth trying, I believ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ould be required to conduct further researches by assuming more patients as subject and analyzing diverse variables, which shall include investigating the causes of different mortality per gender and collecting detailed information on high incidence of female non-smokers as well as a genetic research.
This study is a research on the correlation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lung cancer pati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umor to the survival period of male and female patients.As the subject of this study, 404 patients who had been registered initially at the tumor checkup services of Yonsei Cancer Center for primary lung cancer during January 1-December 31, 2003 were followed up, and their survival rate until August 26, 2008 was analyzed.SAS 9.1 program was used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and major findings from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1. The total subjects of this study, i.e. 404 patients, are composed of 290 male (71.8%) and 114 female (28.2%), with the number of male being 2.5 times as large as female. On the category of cigarettes smoking, the total subjects are divided into 214 smokers (53%) and 190 non-smokers (47%). Of the female patients, 103 (90%) were non-smokers (90%) and 11 (9.7%) were smokers. Of the male patients, 203 (70%) were smokers and 87 (30%) were non-smokers. Hence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the point of smoking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p<0.0001).2. In the histopathological aspect, adenocarcinoma was found most common to female patients (64%) while squamous cell carcinoma was observed most in male patients (39.3%). H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istological distribution between male and female (p<0.0001).3. Adenocarcinoma was most common to non-smoking female patients, with 67%, and non-smoking male, with 39.1%, which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p<0.0001). Small cell cancer was found most in smoking female group, with 45.5%, while squamous cell carcinoma appeared most in smoking male group, with 41.4%, which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p=0.036).4. As for the survival rate by gender, the study revealed that male patients’ survival rate until 5 years later was 18.6% while that of female patients was 20.6%. Thus the difference in survival rate of male and female was not significant (p= 0.264).5. From multivariate analysis on the rate of mortality, in particular for the case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smokers group (criteria: non-smokers), staging IV group (criteria: staging I) and group with 2, 3/4 physical activity capacity at the time of hospital visit (criteria: 0/1) were analyzed as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mortality level.6. For the case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in particular female patients, smokers group at model 2 (criteria: non-smokers), group of patients with weight loss (criteria: group of patients without weight loss) and staging IV group (criteria: staging I) were analyzed as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mortality level.7. For the case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in particular male patients, staging IV at model 2 (criteria: staging I) and group with 2, 3/4 physical activity capacity at the time of hospital visit (criteria: 0/1) were analyzed as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mortality level.This study has a weakness in that only the patients initially registered in 2003 for primary lung cancer were set as the subject of research; hence the number of subjects is limited. It would be desirable and necessary to conduct a research with a larger number of patients as subject. In addition, this study adopted a retrospective analysis which has limitation in examining the detailed causes concerning pattern of lung cancer occurrence and survival rate. Instead of investigating all the lung cancer patients in a certain area, this study focused on those registered at one university hospital, thus it lacks clarity in distribution category of patients and involves the possibility that demographic features, socioeconomic features or patient’s preference on hospital may affect the result of study. This study has attemp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mortality rate per gender caused by lung cancer, with the ultimate objective of diminishing the gradually rising mortality of lung cancer through development of early diagnosis and tailored-therapy pursuant to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patients. Though this study may not be a sufficient one, nevertheless it was worth trying, I believ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ould be required to conduct further researches by assuming more patients as subject and analyzing diverse variables, which shall include investigating the causes of different mortality per gender and collecting detailed information on high incidence of female non-smokers as well as a genetic researc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