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문화재의 경우 학습자들이 가깝게 느끼고, 직접 현장 체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학습 자료로 가치가 높다. 그러나 실제 수업 현장에서는 지역문화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부족과 실제 수업에서 운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의 부재로 인해 지역문화재를 활용한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울산지역 문화재활용 미술교육에서 문화재가 갖는 가치에 대해 논의하고, 이러한 문화재 학습이 어떤 교육적 의의가 있는지 설명하였다. 또한, 울산지역 문화재를 활용한 미술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4학년 미술 교과서...
지역문화재의 경우 학습자들이 가깝게 느끼고, 직접 현장 체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학습 자료로 가치가 높다. 그러나 실제 수업 현장에서는 지역문화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부족과 실제 수업에서 운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의 부재로 인해 지역문화재를 활용한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울산지역 문화재활용 미술교육에서 문화재가 갖는 가치에 대해 논의하고, 이러한 문화재 학습이 어떤 교육적 의의가 있는지 설명하였다. 또한, 울산지역 문화재를 활용한 미술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4학년 미술 교과서의 문화재활용 영역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제재와 내용을 지역화하여 재구성하였다. 지역문화재활용 지도방법에 있어서는 감상학습지를 활용한 불교문화재 감상지도, 암각화를 활용한 표현학습 지도, 박제상유적지 답사를 통한 현장학습 지도방법으로 지역문화재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미술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여 교수·학습을 전개하였다. 연구의 진행에 앞서 미술과 교육과정 지역화와 문화재활용학습의 필요성과의의를 Ⅱ장에서 다루었고,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중심이 되는 울산지역문화재에 대한 특징을 Ⅲ장에서 다루었다. Ⅳ장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지역문화재활용교육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과정을 지역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Ⅴ장에서는 미술과 교수·학습지도 모형에 대하여 알아보고, 울산지역 문화재를 미술수업에 활용하기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수업 적용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은 울산지역 문화재에 대한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고 울산에 대한 자부심과 애향심이 고취되었다. 둘째, 문화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친근감을 갖게 되고, 고장의 전통 문화유산을 사랑하고 아끼며 계승·발전하려는 의지를 갖게 되었다. 셋째, 우리 고장의 의미있는 문화재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전통 미술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게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울산지역 문화재를 활용한 미술과 교수·학습 지도 방안은 울산지역의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우리 고장의 의미있는 문화재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지역미술품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게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학생과 교사가 속해있는 지역의 문제를 발견하고 미적생활 여건을 개선하고자 하는 지역화학습의 목적에도 부합될 것이라 기대한다.
지역문화재의 경우 학습자들이 가깝게 느끼고, 직접 현장 체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학습 자료로 가치가 높다. 그러나 실제 수업 현장에서는 지역문화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부족과 실제 수업에서 운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의 부재로 인해 지역문화재를 활용한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울산지역 문화재활용 미술교육에서 문화재가 갖는 가치에 대해 논의하고, 이러한 문화재 학습이 어떤 교육적 의의가 있는지 설명하였다. 또한, 울산지역 문화재를 활용한 미술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4학년 미술 교과서의 문화재활용 영역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제재와 내용을 지역화하여 재구성하였다. 지역문화재활용 지도방법에 있어서는 감상학습지를 활용한 불교문화재 감상지도, 암각화를 활용한 표현학습 지도, 박제상유적지 답사를 통한 현장학습 지도방법으로 지역문화재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미술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여 교수·학습을 전개하였다. 연구의 진행에 앞서 미술과 교육과정 지역화와 문화재활용학습의 필요성과의의를 Ⅱ장에서 다루었고,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중심이 되는 울산지역문화재에 대한 특징을 Ⅲ장에서 다루었다. Ⅳ장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지역문화재활용교육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과정을 지역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Ⅴ장에서는 미술과 교수·학습지도 모형에 대하여 알아보고, 울산지역 문화재를 미술수업에 활용하기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수업 적용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은 울산지역 문화재에 대한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고 울산에 대한 자부심과 애향심이 고취되었다. 둘째, 문화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친근감을 갖게 되고, 고장의 전통 문화유산을 사랑하고 아끼며 계승·발전하려는 의지를 갖게 되었다. 셋째, 우리 고장의 의미있는 문화재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전통 미술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게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울산지역 문화재를 활용한 미술과 교수·학습 지도 방안은 울산지역의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우리 고장의 의미있는 문화재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지역미술품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게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학생과 교사가 속해있는 지역의 문제를 발견하고 미적생활 여건을 개선하고자 하는 지역화학습의 목적에도 부합될 것이라 기대한다.
Local cultural assets are valuable as teaching materials because the learner’s familiarity and the availability of immediate contact with the subject; however, in reality, due to the teachers’ lack of knowledge in local culture and insufficient teaching guidelines such resources are not being utiliz...
Local cultural assets are valuable as teaching materials because the learner’s familiarity and the availability of immediate contact with the subject; however, in reality, due to the teachers’ lack of knowledge in local culture and insufficient teaching guidelines such resources are not being utilized properly in the classrooms.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the value of local culture in elementary art instruction and its significance on learning. Moreover, the study includes an analysis of the cultural heritage section in the grade 4 art textbook which will be localized and reorganized to administrate a class that utilizes the Ulsanlocal cultural assets. Teaching methods such as appreciation report on Buddhist culture, expression teaching through cave paintings, field study of the historical site of Park Jae Sang were critically explored and developed for their effectiveness in developing teaching guidelines and curriculum that would lead to the successful use Ulsan local culture in art education. Before the analysis of art and localization of the education process, the significance and the need of the use of cultural assets are discussed in section II. In the following section, the need of research and the distinct features of Ulsan’s cultural heritage are looked at while in section IV the problems in using cultural assets and the ways they can be improved, with the regional circumstances in mind, are investigated. Moreover, section V looks at the diverse application of Ulsan’s cultural heritage in establishing teaching·learning guides. This section also includes a model teaching·learning guide of art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culture. In addition, a curriculum with Ulsan’s local cultural heritage is proposed and analyzed for application results. Through this study, I was able to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tudents were able to recogniz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Ulsan’s cultural heritagewhich instilled pride and patriotism towards their hometown. Second, students were able to build proper understanding and familiarity towards cultural tradition generating love and appreciation towards it. Students also developed a will to inherit and develop the culture further. Third, the students’ proper understanding of their hometown’s meaningful cultural heritage helped in their comprehensionof traditional art’s value and importance. Hence, these results anticipate the Ulsan region’s grade 4 students’proper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al heritage which will show them the importance and the value of their local arts. In addition, such insight will aid in the local education’s goal of improving the aesthetic environment.
Local cultural assets are valuable as teaching materials because the learner’s familiarity and the availability of immediate contact with the subject; however, in reality, due to the teachers’ lack of knowledge in local culture and insufficient teaching guidelines such resources are not being utilized properly in the classrooms.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the value of local culture in elementary art instruction and its significance on learning. Moreover, the study includes an analysis of the cultural heritage section in the grade 4 art textbook which will be localized and reorganized to administrate a class that utilizes the Ulsanlocal cultural assets. Teaching methods such as appreciation report on Buddhist culture, expression teaching through cave paintings, field study of the historical site of Park Jae Sang were critically explored and developed for their effectiveness in developing teaching guidelines and curriculum that would lead to the successful use Ulsan local culture in art education. Before the analysis of art and localization of the education process, the significance and the need of the use of cultural assets are discussed in section II. In the following section, the need of research and the distinct features of Ulsan’s cultural heritage are looked at while in section IV the problems in using cultural assets and the ways they can be improved, with the regional circumstances in mind, are investigated. Moreover, section V looks at the diverse application of Ulsan’s cultural heritage in establishing teaching·learning guides. This section also includes a model teaching·learning guide of art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culture. In addition, a curriculum with Ulsan’s local cultural heritage is proposed and analyzed for application results. Through this study, I was able to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tudents were able to recogniz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Ulsan’s cultural heritagewhich instilled pride and patriotism towards their hometown. Second, students were able to build proper understanding and familiarity towards cultural tradition generating love and appreciation towards it. Students also developed a will to inherit and develop the culture further. Third, the students’ proper understanding of their hometown’s meaningful cultural heritage helped in their comprehensionof traditional art’s value and importance. Hence, these results anticipate the Ulsan region’s grade 4 students’proper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al heritage which will show them the importance and the value of their local arts. In addition, such insight will aid in the local education’s goal of improving the aesthetic environment.
Keyword
#초등 미술과 지역화 교수학습지도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