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獨活에서 분리한 oleanoic acid 배당체를 이용한 항염증 효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Anti-inflammatory effect of oleanoic acid 28-O-β-D-glucopyranoside isolated from Aralia cordata원문보기
獨活은 두릅나무과(五加科 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에서 건강식품과 전통 약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한약재로 뿌리를 사용하는데 주로 근육통·하반신마비·두통·중풍 등의 증상에 사용된다. 그러나 비만세포를 매개로한 염증 치료 기전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에 저자는 獨活의 유효성분 중 oleanoic acid ...
獨活은 두릅나무과(五加科 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에서 건강식품과 전통 약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한약재로 뿌리를 사용하는데 주로 근육통·하반신마비·두통·중풍 등의 증상에 사용된다. 그러나 비만세포를 매개로한 염증 치료 기전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에 저자는 獨活의 유효성분 중 oleanoic acid 배당체를 분리하여 PMA와 A23187로 활성화된 비만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과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메커니즘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PMA와 A23187로 활성화된 비만세포에서 세포막내 칼슘 증가를 측정하였고 MAPKs의 인산화를 獨活의 유효성분 OA가 억제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OA는 PMA와 A23187로 활성화된 비만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IL-8, TNF-α의 생성과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OA는 세포막내 칼슘 증가를 억제하였으며, ERK의 인산화와 NF-κB활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獨活 유효성분 OA가 비만세포를 매개로한 염증반응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세포내 신호전달을 차단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獨活은 두릅나무과(五加科 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에서 건강식품과 전통 약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한약재로 뿌리를 사용하는데 주로 근육통·하반신마비·두통·중풍 등의 증상에 사용된다. 그러나 비만세포를 매개로한 염증 치료 기전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에 저자는 獨活의 유효성분 중 oleanoic acid 배당체를 분리하여 PMA와 A23187로 활성화된 비만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과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메커니즘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PMA와 A23187로 활성화된 비만세포에서 세포막내 칼슘 증가를 측정하였고 MAPKs의 인산화를 獨活의 유효성분 OA가 억제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OA는 PMA와 A23187로 활성화된 비만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IL-8, TNF-α의 생성과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OA는 세포막내 칼슘 증가를 억제하였으며, ERK의 인산화와 NF-κB활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獨活 유효성분 OA가 비만세포를 매개로한 염증반응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세포내 신호전달을 차단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Oleanoic acid 28-O-β-D-glucopyranoside (OA) isolated from the roots of Aralia cordata exhibits pot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with an unknown mechanism.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OA o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as well as to elucidate its me...
Oleanoic acid 28-O-β-D-glucopyranoside (OA) isolated from the roots of Aralia cordata exhibits pot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with an unknown mechanism.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OA o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as well as to elucidate its mechanism of action in the human leukemic mast cell line (HMC-1). Cells were stimulated with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plus A23187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OA. To study the possible effects of OA, ELISA, RT-PCR, Western blot analysis, fluorescence, and luciferase activity assays were used in this study. OA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MA plus A23187-in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leukin (IL)-6 and IL-8. Moreover, OA attenuated intracellular Ca^(2+) levels. In activated HMC-1 cells, phosphorylation of extra-signal response kinase (ERK) 1/2, and degradation of IκB decreased after treatment with OA. OA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TNF-α, IL-6 and IL-8 through a decrease in the intracellular levels of Ca^(2+), ERK 1/2, and NF-κB activa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A exerted a regulatory effect on inflammatory reactions mediated by mast cells.
Oleanoic acid 28-O-β-D-glucopyranoside (OA) isolated from the roots of Aralia cordata exhibits pot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with an unknown mechanism.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OA o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as well as to elucidate its mechanism of action in the human leukemic mast cell line (HMC-1). Cells were stimulated with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plus A23187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OA. To study the possible effects of OA, ELISA, RT-PCR, Western blot analysis, fluorescence, and luciferase activity assays were used in this study. OA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MA plus A23187-in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leukin (IL)-6 and IL-8. Moreover, OA attenuated intracellular Ca^(2+) levels. In activated HMC-1 cells, phosphorylation of extra-signal response kinase (ERK) 1/2, and degradation of IκB decreased after treatment with OA. OA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TNF-α, IL-6 and IL-8 through a decrease in the intracellular levels of Ca^(2+), ERK 1/2, and NF-κB activa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A exerted a regulatory effect on inflammatory reactions mediated by mast cell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