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라는 것은 사람이 살아가는 곳. 즉, 우리의 삶이 고스란히 묻어 있는 곳이다. 또한 주거는 나라마다 고유의 정체성과 문화가 혼재되어 하나의 건축물로써 나타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주거는 그 나라 고유의 문화와 정체성을 보여주는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우리의 삶을 고스란히 담은 전통적 주거를 우리는 한옥(韓屋)이라 부른다. 1960년대 초기 건축법제정 이후 단절되었던 우리의 한옥이 지금에서야 다시 재조명되고 있다. 획일화된 도시주거를 벗어나기 위해, 친환경건축으로서 건강한 삶과 주거를 위해 집중 조명된 것이 바로 한옥이다. 지금 한옥에 대한 관심은 민간차원을 넘어서 국가적인 사업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동시다발적인 한옥의 관심과 신축은 단절된 한옥을 지속가능한 주거로써 재생성 하는데 이바지하겠으나 자칫 잘못된 해석으로 인해 문제가 야기될 수도 있다. 한옥에 대한 정의가 명확히 내려지지 않고 전문가와 비전문가가 혼재된 상태에서 무분별한 한옥의 신축은 자칫 잘못하면 한옥의 본질을 잃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고에서는 기존의 연구와 논의의 대상이 된 한옥에 대한 정의를 『단층으로된 살림집이며, 온돌과 마루, 마당, 부엌, 그리고 입/단면상에서 나타나는 ...
주거라는 것은 사람이 살아가는 곳. 즉, 우리의 삶이 고스란히 묻어 있는 곳이다. 또한 주거는 나라마다 고유의 정체성과 문화가 혼재되어 하나의 건축물로써 나타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주거는 그 나라 고유의 문화와 정체성을 보여주는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우리의 삶을 고스란히 담은 전통적 주거를 우리는 한옥(韓屋)이라 부른다. 1960년대 초기 건축법제정 이후 단절되었던 우리의 한옥이 지금에서야 다시 재조명되고 있다. 획일화된 도시주거를 벗어나기 위해, 친환경건축으로서 건강한 삶과 주거를 위해 집중 조명된 것이 바로 한옥이다. 지금 한옥에 대한 관심은 민간차원을 넘어서 국가적인 사업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동시다발적인 한옥의 관심과 신축은 단절된 한옥을 지속가능한 주거로써 재생성 하는데 이바지하겠으나 자칫 잘못된 해석으로 인해 문제가 야기될 수도 있다. 한옥에 대한 정의가 명확히 내려지지 않고 전문가와 비전문가가 혼재된 상태에서 무분별한 한옥의 신축은 자칫 잘못하면 한옥의 본질을 잃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고에서는 기존의 연구와 논의의 대상이 된 한옥에 대한 정의를 『단층으로된 살림집이며, 온돌과 마루, 마당, 부엌, 그리고 입/단면상에서 나타나는 개방성과 융통성으로 구성된 전통 목구조 방식을 기본으로 구축된 건축물』로써 정의하여 진행했다. 그러나 몇 십년간 단절되었던 한옥이 현대의 주거로써 삶의 기능을 담아내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우선 주생활이 좌식에서 입식생활로 바뀌었으며, 사용가구 또한 바뀌었다. 주연료인 땔감이 바뀌었으며, 난방방식도 바뀌었다. 비위생적이라 하여 외부에 있던 측간 또한 내부로 수용되어 평면에서의 변화가 불가피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수용하고 고쳐 새롭게 짓는 한옥을 신한옥이라 칭하였을 때, 신한옥이 앞으로 지속가능한 주거로써 이어져 가기 위해서는 산업화가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신한옥의 산업화는 자재의 공장생산을 기본으로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신한옥의 평면모듈이 정해져야 하며, 그 모듈로 인해 부재와 자재의 모듈화, 모듈화로 인한 공기의 단축과 인건비의 절감 등으로 이어져 나갈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한옥의 산업화에 있어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연구인 평면 모듈화를 위해 단위공간의 모듈과 조합에 대해 논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3장에서는 전통한옥이 가지고 있는 구법에 대해 분석했다. 전통가옥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더불어 면적과 주칸거리를 분석함으로써 신한옥이 가져야할 구법을 고찰해 보았다. 4장에서는 전통가옥과 현대 단독주택이 신한옥과 어떻게 다른지 살펴본 후 전통가옥의 구법을 토대로 하여 신한옥이 가져야할 특성과 모듈에 대해 논하였다. 특히, 현대적 기능을 수용한 신한옥이 가져야할 주칸거리가 얼마가 되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설정된 주칸거리를 토대로 하여 살림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방과 부엌, 대청, 그리고 신한옥에서 새로이 살펴봐야 할 화장실과 현관에 대한 모듈을 설정했다. 설정방법은 칸수에 따른 퇴의 유무로써 모듈을 살펴보았으며, 설정된 모듈을 토대로 하여 각 단위공간들이 어떻게 조합되는지 구성해 보았다. 6장에서는 설정된 단위공간 모듈과 조합을 통하여 유형별로 평면유형을 개발해 내었다. 이상과 같이 전통가옥을 토대로 한 신한옥의 구법과 모듈에 대하여 논하고 최종적으로 평면유형을 개발했다. 결론적으로 칸과 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전통가옥의 특성상 다양한 조합의 모듈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현대적 기능을 담아낼 수 있는 단위공간 모듈과 조합을 통한 평면 유형의 개발은, 하나의 표준 설계안 보다는 건축주 본인이 직접 자신의 집을 설계할 수 있는 모듈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본고에서는 신한옥의 평면에 국한하여 연구하였지만, 자재의 모듈 개발 및 지붕개량, 창호의 개선 등 진행되어야 할 연구가 많다. 이런 연구들은 추후의 과제로써 남기고자 한다.
주거라는 것은 사람이 살아가는 곳. 즉, 우리의 삶이 고스란히 묻어 있는 곳이다. 또한 주거는 나라마다 고유의 정체성과 문화가 혼재되어 하나의 건축물로써 나타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주거는 그 나라 고유의 문화와 정체성을 보여주는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우리의 삶을 고스란히 담은 전통적 주거를 우리는 한옥(韓屋)이라 부른다. 1960년대 초기 건축법제정 이후 단절되었던 우리의 한옥이 지금에서야 다시 재조명되고 있다. 획일화된 도시주거를 벗어나기 위해, 친환경건축으로서 건강한 삶과 주거를 위해 집중 조명된 것이 바로 한옥이다. 지금 한옥에 대한 관심은 민간차원을 넘어서 국가적인 사업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동시다발적인 한옥의 관심과 신축은 단절된 한옥을 지속가능한 주거로써 재생성 하는데 이바지하겠으나 자칫 잘못된 해석으로 인해 문제가 야기될 수도 있다. 한옥에 대한 정의가 명확히 내려지지 않고 전문가와 비전문가가 혼재된 상태에서 무분별한 한옥의 신축은 자칫 잘못하면 한옥의 본질을 잃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고에서는 기존의 연구와 논의의 대상이 된 한옥에 대한 정의를 『단층으로된 살림집이며, 온돌과 마루, 마당, 부엌, 그리고 입/단면상에서 나타나는 개방성과 융통성으로 구성된 전통 목구조 방식을 기본으로 구축된 건축물』로써 정의하여 진행했다. 그러나 몇 십년간 단절되었던 한옥이 현대의 주거로써 삶의 기능을 담아내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우선 주생활이 좌식에서 입식생활로 바뀌었으며, 사용가구 또한 바뀌었다. 주연료인 땔감이 바뀌었으며, 난방방식도 바뀌었다. 비위생적이라 하여 외부에 있던 측간 또한 내부로 수용되어 평면에서의 변화가 불가피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수용하고 고쳐 새롭게 짓는 한옥을 신한옥이라 칭하였을 때, 신한옥이 앞으로 지속가능한 주거로써 이어져 가기 위해서는 산업화가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신한옥의 산업화는 자재의 공장생산을 기본으로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신한옥의 평면모듈이 정해져야 하며, 그 모듈로 인해 부재와 자재의 모듈화, 모듈화로 인한 공기의 단축과 인건비의 절감 등으로 이어져 나갈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한옥의 산업화에 있어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연구인 평면 모듈화를 위해 단위공간의 모듈과 조합에 대해 논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3장에서는 전통한옥이 가지고 있는 구법에 대해 분석했다. 전통가옥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더불어 면적과 주칸거리를 분석함으로써 신한옥이 가져야할 구법을 고찰해 보았다. 4장에서는 전통가옥과 현대 단독주택이 신한옥과 어떻게 다른지 살펴본 후 전통가옥의 구법을 토대로 하여 신한옥이 가져야할 특성과 모듈에 대해 논하였다. 특히, 현대적 기능을 수용한 신한옥이 가져야할 주칸거리가 얼마가 되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설정된 주칸거리를 토대로 하여 살림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방과 부엌, 대청, 그리고 신한옥에서 새로이 살펴봐야 할 화장실과 현관에 대한 모듈을 설정했다. 설정방법은 칸수에 따른 퇴의 유무로써 모듈을 살펴보았으며, 설정된 모듈을 토대로 하여 각 단위공간들이 어떻게 조합되는지 구성해 보았다. 6장에서는 설정된 단위공간 모듈과 조합을 통하여 유형별로 평면유형을 개발해 내었다. 이상과 같이 전통가옥을 토대로 한 신한옥의 구법과 모듈에 대하여 논하고 최종적으로 평면유형을 개발했다. 결론적으로 칸과 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전통가옥의 특성상 다양한 조합의 모듈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현대적 기능을 담아낼 수 있는 단위공간 모듈과 조합을 통한 평면 유형의 개발은, 하나의 표준 설계안 보다는 건축주 본인이 직접 자신의 집을 설계할 수 있는 모듈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본고에서는 신한옥의 평면에 국한하여 연구하였지만, 자재의 모듈 개발 및 지붕개량, 창호의 개선 등 진행되어야 할 연구가 많다. 이런 연구들은 추후의 과제로써 남기고자 한다.
Gives the thing the place where the person lives. Namely, our lives all are the place which is. Also the house every the country the identity and culture of characteristics re-become soul and with one building they appear,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saying. Therefore the house the building which...
Gives the thing the place where the person lives. Namely, our lives all are the place which is. Also the house every the country the identity and culture of characteristics re-become soul and with one building they appear,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saying. Therefore the house the building which shows the culture and a identity of the country characteristics is a possibility of doing. Us will boil and we the Korean-style house call the traditional house which puts in all. 1960's initial construction laws our Korean-style house which after that is really discontinued Oh! re-is illuminated again from now. In order to escape the city house which has become uniform anger, respects a life and the house which are healthy concentration the fact that is illuminated rightly is the Korean-style house with from the environmental construction which hits. The interest passes over a private level now about the Korean-style house and with the enterprise which is national magnification is enforced. But simultaneously the interest and the new construction of the Korean-style house which is frequent continuity with the house which is possible regenerates contributes the Korean-style house which is discontinued, will be caused by with the interpretation which goes wrong at the slightest slip and the problem will can be caused. The justice clearly will not drop about the Korean-style house not to be and the new construction of the Korean-style house which is insensitive from the condition where the specialist and the non-specialist re-had become soul doing wrongly at the slightest slip and will lose the essence of the Korean-style house and is because the possibility which will throw away being. From the prosecution which sees with research of existing about the Korean-style house where becomes the object of discussion justice 'was a private home which becomes the fault, with the building which is constructed the traditional neck structural method which is composed of open and the flexibility which appear from the pebble and the floor, the yard, the kitchen, and the mouth/section as a matter of in basic' defined and advanced. The Korean-style house which some decennial is discontinued but with the house of today function of life to wall wife is holding a few thing problem point. The week life from left was exchanged first of all in stand-up meal life, the use furniture also was exchanged. he fuel which is a week fuel was exchanged, also the heating method was exchanged. The poor sanitation does and internal furnace the toilet shed which is on the outside also is accommodated and the change from the plane is inevitable. Accommodates like this problem point and repairs and when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which makes newly,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is joined together in future continuity with the house which is possible and in order going from the industrialization must precede first.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does the factory production of the materials in basic. In order the from the plane module of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must come to decide, will be caused by at that module and absence and will be joined together with curtailment etc. of shortening and labor cost of modularization of the materials and the air which is caused by with modularization there is a possibility which will go out. From the present paper consequently there is to industrialization of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and must precede most first respects the plane modularization which is a research discusses the fact that about module and the union of unit space with main purpose. From 3 chapters analyzed about the old law which the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is having. With the quality which the traditional house is having joins in and analyzes the area and a week space distance with tried to investigate the old law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must have. The traditional house and the detached home with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probably are different today how, after trying to observe, old law the traditional house from 4 chapters and with base about quality and the module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must have discussed. Specially, the week space distance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which accommodates a modern function must have must become how much, tried to observe. From 5 chapters did the week space distance which is set a module about the bathroom and the entrance must try to observe newly from the dismissal of a class kitchen where becomes the basic, the main floored room, and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with base and from the private home most set. The set method with presence of the [thoy] which follows in space tried to observe a module, is set module and with base each unit space tried to compose how becomes the union. Unit spatial module and the union which are set a plane type in type by to lead from 6 chapters and to develop. Like above and with base discussed the traditional house about old law and module of one new Korean style housing and finally developed a plane type. Quality as a matter of the traditional house which conclusively becomes accomplished as the union of space and space the module of the union which is various will make and there will be a possibility of knowing the fact that will can put in a modern function and development of the plane type which leads a unit spatial module and the union, one standard design construction week person oneself will pick up direct oneself an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module will be able to plan must become accomplished becomes feed. The sample from limits in the plane of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and researches, module development and the roof of the materials improves, window friendly improvement etc. the research must be advanced is many. Like this researches do with subject of following are born the contribution person.
Gives the thing the place where the person lives. Namely, our lives all are the place which is. Also the house every the country the identity and culture of characteristics re-become soul and with one building they appear,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saying. Therefore the house the building which shows the culture and a identity of the country characteristics is a possibility of doing. Us will boil and we the Korean-style house call the traditional house which puts in all. 1960's initial construction laws our Korean-style house which after that is really discontinued Oh! re-is illuminated again from now. In order to escape the city house which has become uniform anger, respects a life and the house which are healthy concentration the fact that is illuminated rightly is the Korean-style house with from the environmental construction which hits. The interest passes over a private level now about the Korean-style house and with the enterprise which is national magnification is enforced. But simultaneously the interest and the new construction of the Korean-style house which is frequent continuity with the house which is possible regenerates contributes the Korean-style house which is discontinued, will be caused by with the interpretation which goes wrong at the slightest slip and the problem will can be caused. The justice clearly will not drop about the Korean-style house not to be and the new construction of the Korean-style house which is insensitive from the condition where the specialist and the non-specialist re-had become soul doing wrongly at the slightest slip and will lose the essence of the Korean-style house and is because the possibility which will throw away being. From the prosecution which sees with research of existing about the Korean-style house where becomes the object of discussion justice 'was a private home which becomes the fault, with the building which is constructed the traditional neck structural method which is composed of open and the flexibility which appear from the pebble and the floor, the yard, the kitchen, and the mouth/section as a matter of in basic' defined and advanced. The Korean-style house which some decennial is discontinued but with the house of today function of life to wall wife is holding a few thing problem point. The week life from left was exchanged first of all in stand-up meal life, the use furniture also was exchanged. he fuel which is a week fuel was exchanged, also the heating method was exchanged. The poor sanitation does and internal furnace the toilet shed which is on the outside also is accommodated and the change from the plane is inevitable. Accommodates like this problem point and repairs and when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which makes newly,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is joined together in future continuity with the house which is possible and in order going from the industrialization must precede first.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does the factory production of the materials in basic. In order the from the plane module of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must come to decide, will be caused by at that module and absence and will be joined together with curtailment etc. of shortening and labor cost of modularization of the materials and the air which is caused by with modularization there is a possibility which will go out. From the present paper consequently there is to industrialization of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and must precede most first respects the plane modularization which is a research discusses the fact that about module and the union of unit space with main purpose. From 3 chapters analyzed about the old law which the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is having. With the quality which the traditional house is having joins in and analyzes the area and a week space distance with tried to investigate the old law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must have. The traditional house and the detached home with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probably are different today how, after trying to observe, old law the traditional house from 4 chapters and with base about quality and the module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must have discussed. Specially, the week space distance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which accommodates a modern function must have must become how much, tried to observe. From 5 chapters did the week space distance which is set a module about the bathroom and the entrance must try to observe newly from the dismissal of a class kitchen where becomes the basic, the main floored room, and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with base and from the private home most set. The set method with presence of the [thoy] which follows in space tried to observe a module, is set module and with base each unit space tried to compose how becomes the union. Unit spatial module and the union which are set a plane type in type by to lead from 6 chapters and to develop. Like above and with base discussed the traditional house about old law and module of one new Korean style housing and finally developed a plane type. Quality as a matter of the traditional house which conclusively becomes accomplished as the union of space and space the module of the union which is various will make and there will be a possibility of knowing the fact that will can put in a modern function and development of the plane type which leads a unit spatial module and the union, one standard design construction week person oneself will pick up direct oneself an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module will be able to plan must become accomplished becomes feed. The sample from limits in the plane of the new Korean style housing and researches, module development and the roof of the materials improves, window friendly improvement etc. the research must be advanced is many. Like this researches do with subject of following are born the contribution pers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