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LCC 기법을 적용한 현대한옥주택과 공동주택(아파트)의 경제성 비교분석 Compare and Analysis on Economic Feasibility of Modern Hanok Housing and Common Residence (Apartment) Applying LCC Method원문보기
현재 정부는 전통문화 보존 및 발전을 위해 한옥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힘입어 최근 한옥은 공공시설 및 주택으로 점진적으로 많이 시공되어지고 있으나 한옥 건축물에 대한 수명과 유지관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경제성을 분석한 연구도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 주택의 경우 신축에 대한 경제성 분석분야와 노후화 주택에 대한 재건축 결정 등에 대한 주거환경 악화, 안전문제, 유지보수비 증대에 대한 경제성 분석과 이에 대해 평가를 할 수 있는 비용최소화의 관점에서의 대안을 경제성을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절차 및 기준을 제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 반면 한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한옥과 현대의 변화에 맞춘 현대한옥주택에 대해 차이성을 확인하고, 한옥주택은 과연 경제성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기 위해 현대한옥주택들의 사례를 이용하여 ...
현재 정부는 전통문화 보존 및 발전을 위해 한옥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힘입어 최근 한옥은 공공시설 및 주택으로 점진적으로 많이 시공되어지고 있으나 한옥 건축물에 대한 수명과 유지관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경제성을 분석한 연구도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 주택의 경우 신축에 대한 경제성 분석분야와 노후화 주택에 대한 재건축 결정 등에 대한 주거환경 악화, 안전문제, 유지보수비 증대에 대한 경제성 분석과 이에 대해 평가를 할 수 있는 비용최소화의 관점에서의 대안을 경제성을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절차 및 기준을 제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 반면 한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한옥과 현대의 변화에 맞춘 현대한옥주택에 대해 차이성을 확인하고, 한옥주택은 과연 경제성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기 위해 현대한옥주택들의 사례를 이용하여 LCC 기법을 적용시켜 유지관리비 및 전생애주기 비용을 산출 하였다. 또한 타 유형의 주택과 비교하기 위해 동일한 방법으로 일반주택의 유형중 대표적인 공동주택(아파트)의 사례를 이용하여 현대한옥주택과 공동주택(아파트)과의 경제성에 대한 차이를 비교분석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용최소화의 관점에서 각각의 대안들에 대한 경제성을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주택 유형별 실질적인 경제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 자료로, 앞으로 한옥주택의 경제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정부 및 기업체, 한옥주택 희망자들에게 활용이 될 수 있는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우리나라의 건축유형 중 하나인 한옥은 광범위하게 우리나라 전통건축을 뜻하는 것으로 지역․사용재료․지형에 따른 개성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진 건축물을 통칭하는 단어적 정의로 사용되기에, 오늘날 대부분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는 기와지붕의 한옥주택은 전통건축의 한 부분으로써 혼용되기에 그 개별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전통과 현대라는 시점에서 전통한옥주택과 현대인의 선호에 변화되는 현대한옥주택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현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택인 공동주택(아파트)에 대해서도 특성을 확인하였다. (2) 건축물은 시간적 변화에 따라 기능이 떨어진다. 이러한 현상은 주택에서도 마찬가지로 일어나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노력은 시간적 흐름에 의해 비용발생이 요구되며 이는 즉 해당 건축물의 경제성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필연적 연관성을 가지게 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에 객관적으로 건축물의 경제성울 분석하기 위한 방법을 설정하기 가장 적합한 LCC 기법에 대해 방법론과 분석기간의 산정, 주택의 분석기간에 대해 확인하였다. (4) 목조건축인 한옥주택 수명은 특성상 주 구조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으며 이는 공동주택의 유형인 아파트 또한 콘크리트 구조체에 대한 수명으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적절한 사용과 관리를 실시하면 한옥주택들은 사용수명이 최소 80년, 공동주택(아파트)는 40년의 수명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을 각각의 주택 수명기준으로 설정하여 유지관리비와 전생애주기비용의 측면으로 LCC 비용을 산출시켜 현가법과 연가법을 적용, 현대한옥주택 경제성을 확인하고 비용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주택으로서의 경제성을 비교하기 위해 대표적인 주택인 공동주택(아파트)에 대해서도 사례를 들어 동일한 방법으로 경제성을 확인하였다. (5) 현대한옥주택, 공동주택(아파트)의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유지관리비용만으로는 현대한옥주택이 공동주택(아파트)보다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초기투자비용을 적용한 전생애주기비용을 확인한 결과 아직까지는 현대한옥주택은 공동주택보다 경제성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6) 현대한옥주택은 공동주택(아파트)보다 경제성이 낮은 이유로는 초기투자비용이 높았기 때문이며, 앞으로 한옥주택의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비용절감 방안, 제도적 향상 방안을 제시하여 한옥주택의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상 연구결과를 볼 때, 본 연구에서 실시한 현대한옥주택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는 현대한옥주택과 공동주택(아파트)의 LCC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체계적인 절차와 정량적인 기준에 의해 비용의 경제성을 산출함으로써 현대한옥주택의 경제성은 과연 어느 정도인가? 에 대한 의문점을 해결하며 동시에 공동주택(아파트)과의 경제성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한옥주택을 계획하고 있는 지자체와, 관련 기업체, 또는 주택 소비자들이 주택선택에 대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연구로 판단된다. 또한 앞으로 국내의 한옥주택의 LCC연구에 관한 선행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정부는 전통문화 보존 및 발전을 위해 한옥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힘입어 최근 한옥은 공공시설 및 주택으로 점진적으로 많이 시공되어지고 있으나 한옥 건축물에 대한 수명과 유지관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경제성을 분석한 연구도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 주택의 경우 신축에 대한 경제성 분석분야와 노후화 주택에 대한 재건축 결정 등에 대한 주거환경 악화, 안전문제, 유지보수비 증대에 대한 경제성 분석과 이에 대해 평가를 할 수 있는 비용최소화의 관점에서의 대안을 경제성을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절차 및 기준을 제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 반면 한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한옥과 현대의 변화에 맞춘 현대한옥주택에 대해 차이성을 확인하고, 한옥주택은 과연 경제성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기 위해 현대한옥주택들의 사례를 이용하여 LCC 기법을 적용시켜 유지관리비 및 전생애주기 비용을 산출 하였다. 또한 타 유형의 주택과 비교하기 위해 동일한 방법으로 일반주택의 유형중 대표적인 공동주택(아파트)의 사례를 이용하여 현대한옥주택과 공동주택(아파트)과의 경제성에 대한 차이를 비교분석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용최소화의 관점에서 각각의 대안들에 대한 경제성을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주택 유형별 실질적인 경제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 자료로, 앞으로 한옥주택의 경제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정부 및 기업체, 한옥주택 희망자들에게 활용이 될 수 있는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우리나라의 건축유형 중 하나인 한옥은 광범위하게 우리나라 전통건축을 뜻하는 것으로 지역․사용재료․지형에 따른 개성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진 건축물을 통칭하는 단어적 정의로 사용되기에, 오늘날 대부분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는 기와지붕의 한옥주택은 전통건축의 한 부분으로써 혼용되기에 그 개별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전통과 현대라는 시점에서 전통한옥주택과 현대인의 선호에 변화되는 현대한옥주택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현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택인 공동주택(아파트)에 대해서도 특성을 확인하였다. (2) 건축물은 시간적 변화에 따라 기능이 떨어진다. 이러한 현상은 주택에서도 마찬가지로 일어나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노력은 시간적 흐름에 의해 비용발생이 요구되며 이는 즉 해당 건축물의 경제성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필연적 연관성을 가지게 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에 객관적으로 건축물의 경제성울 분석하기 위한 방법을 설정하기 가장 적합한 LCC 기법에 대해 방법론과 분석기간의 산정, 주택의 분석기간에 대해 확인하였다. (4) 목조건축인 한옥주택 수명은 특성상 주 구조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으며 이는 공동주택의 유형인 아파트 또한 콘크리트 구조체에 대한 수명으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적절한 사용과 관리를 실시하면 한옥주택들은 사용수명이 최소 80년, 공동주택(아파트)는 40년의 수명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을 각각의 주택 수명기준으로 설정하여 유지관리비와 전생애주기비용의 측면으로 LCC 비용을 산출시켜 현가법과 연가법을 적용, 현대한옥주택 경제성을 확인하고 비용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주택으로서의 경제성을 비교하기 위해 대표적인 주택인 공동주택(아파트)에 대해서도 사례를 들어 동일한 방법으로 경제성을 확인하였다. (5) 현대한옥주택, 공동주택(아파트)의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유지관리비용만으로는 현대한옥주택이 공동주택(아파트)보다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초기투자비용을 적용한 전생애주기비용을 확인한 결과 아직까지는 현대한옥주택은 공동주택보다 경제성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6) 현대한옥주택은 공동주택(아파트)보다 경제성이 낮은 이유로는 초기투자비용이 높았기 때문이며, 앞으로 한옥주택의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비용절감 방안, 제도적 향상 방안을 제시하여 한옥주택의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상 연구결과를 볼 때, 본 연구에서 실시한 현대한옥주택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는 현대한옥주택과 공동주택(아파트)의 LCC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체계적인 절차와 정량적인 기준에 의해 비용의 경제성을 산출함으로써 현대한옥주택의 경제성은 과연 어느 정도인가? 에 대한 의문점을 해결하며 동시에 공동주택(아파트)과의 경제성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한옥주택을 계획하고 있는 지자체와, 관련 기업체, 또는 주택 소비자들이 주택선택에 대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연구로 판단된다. 또한 앞으로 국내의 한옥주택의 LCC연구에 관한 선행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Current government enforces Hanok (traditional Korean house) supporting policies for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culture. Supported by this, although more Hanoks are constructed gradually as public facilities and housing, not many studies on life span and repair/maintenance of th...
Current government enforces Hanok (traditional Korean house) supporting policies for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culture. Supported by this, although more Hanoks are constructed gradually as public facilities and housing, not many studies on life span and repair/maintenance of the Hanok buildings have been carried out and there is hardly any study which has analyzed the economic feasibility. In case of general houses, relative to active ongoing studies proposing procedures and criteria to quantitatively and subjectively evaluate the plans on economic feasibility on residential area deterioration, safety problems and repair and maintenance cost for rebuilding of economic analysis field and reconstruction of aging houses in the cost minimization perspective, there is hardly any study on Hanoks. Thus, the study has verified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Hanoks and modern Hanoks converted by modern changes, and estimated the repair and maintenance cost and whole life span by applying LCC method using the modern Hanok house cases to verify how much the economic feasibility would be. Using the same method, compare and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economic feasibility was held on the modern Hanok houses and common residence (apartments) using the typical common residence (apartments) among general houses, in order to compare with houses of other types. Such a result, as a study resource to verify the difference of actual economic feasibility for each house type by quantitatively and subjectivel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n each plan in the cost minimization perspective,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objective of being utilized to the government, firms and people wanting Hanoks by proposing plans to boost economic feasibility in the future. Summing up the result is as follows. (1) As Hanok, broadly implying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s one of Korean architectural type, and used as a terminological definition commonly called for buildings with various forms of originality according to regions, materials used and topography, I have investigated the individuality because Hanoks of tiled roof commonly thought by people today are mixed as a part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lso, I have verifi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ditional Hanok houses and the modern Hanok houses changing according to preference of people of today at the time point of traditional and modern, and I have found out the characteristics on the current typical house of today, common residence (apartments). (2) Buildings lose their functions as time changes. Such a phenomenon also occurs in houses and continuous maintenance is necessary to respond to this. Such an effort requires expense as time flues, and this becomes a significant fact which has inevitable link on measuring economic feasibility of the regarding building. Thus, I checked on the methodology, estimation of analysis period and analysis period of houses on the most appropriate LCC method to set a method to subjectively analyz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a building. (4) The life span of Hanok houses as timber houses is affected mostly by the main structure due to its characteristics, and apartments as a type of common houses are also defined as a life span on concrete structure. Implementing appropriate use and management for this, it was verified that the life span of Hanok was at least 80 years and common residence (apartment) was 40 years. Setting such a standard as a life standard for each house, I have applied Net Present Value and Annual Worth Method estimating the LCC cost in terms of whole life span cost, verified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modern Hanok houses and analyzed the difference of cost. Also, in order to compare the economic feasibility as a house, I have verified the economic feasibility with the identical method using the cases for common houses (apartments) those were typical houses. (5) As the result analyz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modern Hanok houses and the common residence (apartment), although I have verified that the modern Hanok houses were more superior in economic feasibility for repair and maintenance cost, as the result of verifying the whole life cycle cost with the initial investment cost applied, I have verified that the modern Hanok houses had lower economic feasibility than the common residence. (6) The reason being for the lower economic feasibility of the modern Hanok houses than the common residence was due to high initial investment cost, and I have investigated about methods to improv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Hanok houses by proposing cost reduction method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thods in order to improv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Hanok houses in the future. Looking at the research result, the study which was on analyz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modern Hanok houses can be a reliable study to solve the question, ‘How much i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modern Hanok houses?’ by estimat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cost by systematic procedures and quantitative criteria considering LCC in overall, and at the same time the study can be utilized as resources on house selection of local governments, related firm and house consumers planning for Hanok houses.
Current government enforces Hanok (traditional Korean house) supporting policies for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culture. Supported by this, although more Hanoks are constructed gradually as public facilities and housing, not many studies on life span and repair/maintenance of the Hanok buildings have been carried out and there is hardly any study which has analyzed the economic feasibility. In case of general houses, relative to active ongoing studies proposing procedures and criteria to quantitatively and subjectively evaluate the plans on economic feasibility on residential area deterioration, safety problems and repair and maintenance cost for rebuilding of economic analysis field and reconstruction of aging houses in the cost minimization perspective, there is hardly any study on Hanoks. Thus, the study has verified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Hanoks and modern Hanoks converted by modern changes, and estimated the repair and maintenance cost and whole life span by applying LCC method using the modern Hanok house cases to verify how much the economic feasibility would be. Using the same method, compare and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economic feasibility was held on the modern Hanok houses and common residence (apartments) using the typical common residence (apartments) among general houses, in order to compare with houses of other types. Such a result, as a study resource to verify the difference of actual economic feasibility for each house type by quantitatively and subjectivel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n each plan in the cost minimization perspective,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objective of being utilized to the government, firms and people wanting Hanoks by proposing plans to boost economic feasibility in the future. Summing up the result is as follows. (1) As Hanok, broadly implying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s one of Korean architectural type, and used as a terminological definition commonly called for buildings with various forms of originality according to regions, materials used and topography, I have investigated the individuality because Hanoks of tiled roof commonly thought by people today are mixed as a part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lso, I have verifi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ditional Hanok houses and the modern Hanok houses changing according to preference of people of today at the time point of traditional and modern, and I have found out the characteristics on the current typical house of today, common residence (apartments). (2) Buildings lose their functions as time changes. Such a phenomenon also occurs in houses and continuous maintenance is necessary to respond to this. Such an effort requires expense as time flues, and this becomes a significant fact which has inevitable link on measuring economic feasibility of the regarding building. Thus, I checked on the methodology, estimation of analysis period and analysis period of houses on the most appropriate LCC method to set a method to subjectively analyz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a building. (4) The life span of Hanok houses as timber houses is affected mostly by the main structure due to its characteristics, and apartments as a type of common houses are also defined as a life span on concrete structure. Implementing appropriate use and management for this, it was verified that the life span of Hanok was at least 80 years and common residence (apartment) was 40 years. Setting such a standard as a life standard for each house, I have applied Net Present Value and Annual Worth Method estimating the LCC cost in terms of whole life span cost, verified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modern Hanok houses and analyzed the difference of cost. Also, in order to compare the economic feasibility as a house, I have verified the economic feasibility with the identical method using the cases for common houses (apartments) those were typical houses. (5) As the result analyz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modern Hanok houses and the common residence (apartment), although I have verified that the modern Hanok houses were more superior in economic feasibility for repair and maintenance cost, as the result of verifying the whole life cycle cost with the initial investment cost applied, I have verified that the modern Hanok houses had lower economic feasibility than the common residence. (6) The reason being for the lower economic feasibility of the modern Hanok houses than the common residence was due to high initial investment cost, and I have investigated about methods to improv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Hanok houses by proposing cost reduction method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thods in order to improv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Hanok houses in the future. Looking at the research result, the study which was on analyz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modern Hanok houses can be a reliable study to solve the question, ‘How much i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modern Hanok houses?’ by estimat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cost by systematic procedures and quantitative criteria considering LCC in overall, and at the same time the study can be utilized as resources on house selection of local governments, related firm and house consumers planning for Hanok hous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