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생활권청소년수련시설 이용 청소년의 문화복지 실태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군포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cultural welfare for adolescents using Living-Zone youth tarining facilities : centering on Gunpo, Gyeonggi province원문보기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문화 활동의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고 문화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청소년은 다양한 문화 환경 속에서 각각의 개성과 취미를 통해 활동을 펼칠 귄리가 있다. 이러한 청소년 문화권과 문화복지의 당위성을 실천할 수 있는 지역 내 청소년수련시설 및 관련 문화시설이 이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또한 청소년 고유의 창의적인 문화를 활성화 시킬 방안은 무엇인지 모색하고자 이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군포의 3곳의 청소년수련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 165명으로부터 획득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조사 도구는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의 고찰을 통하여 제작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청소년의 문화활동 실태와 문화예술 활동 실태 파악, 문화시설 이용 및 활동 활동에 대한 만족도, 문화활동이 어려운 이유, 문화활동 향상(문화복지)을 위한 권익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6개의 기본분류 4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는 자기기입 방식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은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문화 활동의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고 문화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청소년은 다양한 문화 환경 속에서 각각의 개성과 취미를 통해 활동을 펼칠 귄리가 있다. 이러한 청소년 문화권과 문화복지의 당위성을 실천할 수 있는 지역 내 청소년수련시설 및 관련 문화시설이 이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또한 청소년 고유의 창의적인 문화를 활성화 시킬 방안은 무엇인지 모색하고자 이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군포의 3곳의 청소년수련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 165명으로부터 획득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조사 도구는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의 고찰을 통하여 제작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청소년의 문화활동 실태와 문화예술 활동 실태 파악, 문화시설 이용 및 활동 활동에 대한 만족도, 문화활동이 어려운 이유, 문화활동 향상(문화복지)을 위한 권익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6개의 기본분류 4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는 자기기입 방식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은 SPSS 13.0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주요 통계기법은 빈도와 백분율, 교차분석, t 검증과 분산분석(ANOVA), 회귀분석 등이었다.
위의 과정을 거쳐 연구문제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문화활동 실태를 조사한 결과 청소년의 대부분 시간적 여유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격주 토요휴무가 시행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학업을 병행해야하는 시간으로 대다수 차지함으로써 문화활동을 할 수 없음을 볼 수 있다. 또한 비용적인 부담으로 문화예술 공연 관람을 어려워하고 있었으며 문화예술 공연 관람에서 있어서의 어려운 점도 시간 부족으로 응답하였다. 둘째, 청소년들의 문화활동에 대한 인식은 ‘다양한 경험습득’을 위해서 필요하다고 응답을 하였다. 문화활동은 동아리 같은 모임활동과 청소년수련시설 등을 통해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활동은 1-2시간이며, 문화활동에 대한 불만족으로 시간 부족과 용돈부족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활동을 하기 가장 어려운 이유와 관련해서는 개인적 어려움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시간적 여유와 경제적인 이유(용돈 부족), 주변에서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공연이나 교육이 없고, 그와 관련하여 정보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문화활동에 대한 관심부족도 들 수 있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문화시설의 부재나 주변 환경 문제 가장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복지 증진을 위한 권익 활동과 관련해서 청소년도 문화활동을 할 권리가 있으며, 생활의 활력소가 될 뿐만 아니라 희망을 가져다주고 나의 장점과 잠재력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며 정부가 청소년 문화복지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위와 같은 실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문화복지 증진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문화활동을 위한 주변 환경이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청소년 인구의 크기, 생활권, 이용 청소년의 수 등을 고려한 청소년 고유의 활동이 가능한 시설을 증설하고 이에 대한 전문 인력 양성, 청소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개발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청소년만을 위한 공간으로 생활권청소년수련시설을 들 수 있다. 이는 청소년 문화활동과 감수성 향상을 위한 복합적인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양질의 문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교와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청소년이면 누구나 문화를 평등하게 누릴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의 문화복지 향유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많은 청소년들이 경제적 요인으로 문화복지 향유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를 사회적 책임으로 확대하여 해결해야 할 부분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최소한의 비용 또는 무료로 문화복지를 향유할 수 있도록 제도적 차원의 여건이 보다 강화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문화복지 향유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와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주변에서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공연이나 교육이 없고, 그와 관련하여 정보도 부족하여 청소년이 문화향유 하는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계를 해소하기 위해서 한 예로 '컬쳐버스(Culture bus)' 운행을 들 수 있다. 이는 지리적 접근성을 어느 정도 해소하고 직접적인 홍보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다양하고 독특한 홍보 마케팅을 통해 청소년들의 오감을 자극하고 청소년들이 보다 쉽게 문화시설을 방문,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문화시설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청소년의 문화복지 증진에 필요한 정부와 사회의 관심과 지원을 끌어내기 위해 청소년 스스로 권익활동을 점진적으로 끌어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도 현재 청소년특별회의가 있지만 제도적 근거가 미약하고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청소년의 권익을 위해 청소년이 스스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의견 수렴 창구가 일관되게 제도적, 행정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단위의 청소년의제 선정을 위한 활동과 시, 시․도지사 및 교육청이 적극 도움을 주도록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조례로 규정하고 예산이 배분되어 실질적으로 청소년의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부 부처간 일관되고 유기적인 청소년 정책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청소년 정책의 주무부처인 보건복지가족부와 학교 정책을 담당하는 교육과학기술부와의 업무 협의에 있어 문화체육관광부는 좀 더 능동적․적극적으로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청소년 문화복지에 대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이 시행되고 사회적 다양한 인프라를 구축․활용하여 청소년 문화복지가 활성화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청소년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문화 활동의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고 문화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청소년은 다양한 문화 환경 속에서 각각의 개성과 취미를 통해 활동을 펼칠 귄리가 있다. 이러한 청소년 문화권과 문화복지의 당위성을 실천할 수 있는 지역 내 청소년수련시설 및 관련 문화시설이 이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또한 청소년 고유의 창의적인 문화를 활성화 시킬 방안은 무엇인지 모색하고자 이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군포의 3곳의 청소년수련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 165명으로부터 획득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조사 도구는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의 고찰을 통하여 제작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청소년의 문화활동 실태와 문화예술 활동 실태 파악, 문화시설 이용 및 활동 활동에 대한 만족도, 문화활동이 어려운 이유, 문화활동 향상(문화복지)을 위한 권익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6개의 기본분류 4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는 자기기입 방식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은 SPSS 13.0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주요 통계기법은 빈도와 백분율, 교차분석, t 검증과 분산분석(ANOVA), 회귀분석 등이었다.
위의 과정을 거쳐 연구문제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문화활동 실태를 조사한 결과 청소년의 대부분 시간적 여유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격주 토요휴무가 시행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학업을 병행해야하는 시간으로 대다수 차지함으로써 문화활동을 할 수 없음을 볼 수 있다. 또한 비용적인 부담으로 문화예술 공연 관람을 어려워하고 있었으며 문화예술 공연 관람에서 있어서의 어려운 점도 시간 부족으로 응답하였다. 둘째, 청소년들의 문화활동에 대한 인식은 ‘다양한 경험습득’을 위해서 필요하다고 응답을 하였다. 문화활동은 동아리 같은 모임활동과 청소년수련시설 등을 통해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활동은 1-2시간이며, 문화활동에 대한 불만족으로 시간 부족과 용돈부족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활동을 하기 가장 어려운 이유와 관련해서는 개인적 어려움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시간적 여유와 경제적인 이유(용돈 부족), 주변에서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공연이나 교육이 없고, 그와 관련하여 정보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문화활동에 대한 관심부족도 들 수 있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문화시설의 부재나 주변 환경 문제 가장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복지 증진을 위한 권익 활동과 관련해서 청소년도 문화활동을 할 권리가 있으며, 생활의 활력소가 될 뿐만 아니라 희망을 가져다주고 나의 장점과 잠재력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며 정부가 청소년 문화복지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위와 같은 실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문화복지 증진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문화활동을 위한 주변 환경이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청소년 인구의 크기, 생활권, 이용 청소년의 수 등을 고려한 청소년 고유의 활동이 가능한 시설을 증설하고 이에 대한 전문 인력 양성, 청소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개발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청소년만을 위한 공간으로 생활권청소년수련시설을 들 수 있다. 이는 청소년 문화활동과 감수성 향상을 위한 복합적인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양질의 문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교와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청소년이면 누구나 문화를 평등하게 누릴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의 문화복지 향유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많은 청소년들이 경제적 요인으로 문화복지 향유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를 사회적 책임으로 확대하여 해결해야 할 부분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최소한의 비용 또는 무료로 문화복지를 향유할 수 있도록 제도적 차원의 여건이 보다 강화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문화복지 향유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와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주변에서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공연이나 교육이 없고, 그와 관련하여 정보도 부족하여 청소년이 문화향유 하는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계를 해소하기 위해서 한 예로 '컬쳐버스(Culture bus)' 운행을 들 수 있다. 이는 지리적 접근성을 어느 정도 해소하고 직접적인 홍보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다양하고 독특한 홍보 마케팅을 통해 청소년들의 오감을 자극하고 청소년들이 보다 쉽게 문화시설을 방문,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문화시설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청소년의 문화복지 증진에 필요한 정부와 사회의 관심과 지원을 끌어내기 위해 청소년 스스로 권익활동을 점진적으로 끌어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도 현재 청소년특별회의가 있지만 제도적 근거가 미약하고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청소년의 권익을 위해 청소년이 스스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의견 수렴 창구가 일관되게 제도적, 행정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단위의 청소년의제 선정을 위한 활동과 시, 시․도지사 및 교육청이 적극 도움을 주도록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조례로 규정하고 예산이 배분되어 실질적으로 청소년의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부 부처간 일관되고 유기적인 청소년 정책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청소년 정책의 주무부처인 보건복지가족부와 학교 정책을 담당하는 교육과학기술부와의 업무 협의에 있어 문화체육관광부는 좀 더 능동적․적극적으로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청소년 문화복지에 대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이 시행되고 사회적 다양한 인프라를 구축․활용하여 청소년 문화복지가 활성화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청소년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adolescents' cultural activities and their recognition and to present an strategic alternative to improve cultural welfare. Adolescents have rights to perform activities through individuality and hobbies in a variety of cultural envir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adolescents' cultural activities and their recognition and to present an strategic alternative to improve cultural welfare. Adolescents have rights to perform activities through individuality and hobbies in a variety of cultural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see if local youth training facilities and relevant cultural facilities that could provide adolescents with cultural rights and welfare were performing this role well and to devise a scheme of activating creative culture unique to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65 adolescents using three youth training facilities in Gunpo, Gyeonggi Province. A research tool was manufactured by reviewing prior researches and relevant literature. Questions were about the actual state of adolescents' cultural activities and cultural-artistic activities, satisfaction with use of cultural facilities and activities, causes of difficulties with cultural activities, and interests-related activities to improve cultural activities (cultural welfar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8 questions in 6 fundamental categorie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an SPSS 13.0 statistical program. Principal statistical methods included frequency, percentage,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From the analysis based on questions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s for the actual state of adolescents' cultural activities, most adolescents were found to have no spare time. Although they didn't go to school every other Saturday, supplementary studies were making it hard for them to do cultural activities. In addition, the financial burden prevented them from going for cultural and artistic performance; lack of time was also making it hard to go for cultural and artistic performance. Second, as for adolescents' recognition of cultural activities, they needed the activities to get diverse experiences. They were doing cultural activities through club activities and youth training facilities. However, they were spending just 1-2 hours in doing such cultural activities and suggested lack of time and money as causes of dissatisfaction with the activities. Third, the greatest obstacle to cultural activities was personal problems: they lacked spare time and finances (money), had no performance or education to participate with ease, and got insufficient information. Besides, adolescents lacked interest in cultural activities. The higher graders were more likely to seriously recognize absence of cultural facilities or environmental problems. Fourth, as for interests-related activities to improve cultural welfare, they suggested that they also have rights to do cultural activities making a life vital, bringing a hope, and helping discover their own strengths and potentials and that the government ne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cultural welfare for adolescent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strategic alternatives were suggested to improve cultural welfare for adolescents.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surrounding environment to allow adolescents to do cultural activities spontaneously and actively.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facilities for activities unique to adolescent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adolescent population, their zones of life, and the number of adolescents as users, cultivate professional manpower, and positively develop a culture and art program to induce adolescents to participate actively. Now there are living-zone youth training facilities as exclusive places for adolescents in Korea. They perform a role of multiple media to improve cultural activities and sensitivity of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high-quality cultural program so that any adolescent can equally enjoy culture through close association with school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ypes of service to allow adolescents to enjoy cultural welfare. As many adolescents have difficulties in enjoying cultural welfare because of economic factors, this needs to be dealt with as a societal responsibility.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nhance institutional conditions so that they can enjoy cultural welfare at minimum costs or free of charge.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active public relations and provide information so that they can enjoy cultural welfare. They had no performance or education to participate with ease and lacked relevant information, thus having difficulties in enjoying culture. To remove such restrictions, operation of Culture Bus can be suggested. This will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of geographical distance to some extent and make immediate PR effects. It will therefore be possible to activate cultural facilities by stimulating adolescents' five senses and by allowing them to visit and use cultural facilities more easily. Fourth,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government to take interest and support necessary to improve cultural welfare for adolescents. Now Korea has the special conference for youth, which has a poor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is formal. It is necessary to consistently provide an opinion-collecting window in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ways so that adolescents can move for themselves in pursuit of their interests. For activities to select youth agenda in a local unit, it is necessary to make regulations in local self-governing bodies as well in order for municipal and provincial governors and educational offices to assist actively and to distribute the budget so that adolescents can practically do activities. Finally,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olicies consistently and organically among governmental departments. In discussing affairs with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which is the competent Ministry for adolescent policies, and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charge of school policies,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needs to establish an organic cooperative system more actively and positively. It will therefore be possible to implement mid- or long-term policies of cultural welfare for adolescents and to establish and use various social infrastructures, ultimatel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li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adolescents' cultural activities and their recognition and to present an strategic alternative to improve cultural welfare. Adolescents have rights to perform activities through individuality and hobbies in a variety of cultural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see if local youth training facilities and relevant cultural facilities that could provide adolescents with cultural rights and welfare were performing this role well and to devise a scheme of activating creative culture unique to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65 adolescents using three youth training facilities in Gunpo, Gyeonggi Province. A research tool was manufactured by reviewing prior researches and relevant literature. Questions were about the actual state of adolescents' cultural activities and cultural-artistic activities, satisfaction with use of cultural facilities and activities, causes of difficulties with cultural activities, and interests-related activities to improve cultural activities (cultural welfar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8 questions in 6 fundamental categorie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an SPSS 13.0 statistical program. Principal statistical methods included frequency, percentage,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From the analysis based on questions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s for the actual state of adolescents' cultural activities, most adolescents were found to have no spare time. Although they didn't go to school every other Saturday, supplementary studies were making it hard for them to do cultural activities. In addition, the financial burden prevented them from going for cultural and artistic performance; lack of time was also making it hard to go for cultural and artistic performance. Second, as for adolescents' recognition of cultural activities, they needed the activities to get diverse experiences. They were doing cultural activities through club activities and youth training facilities. However, they were spending just 1-2 hours in doing such cultural activities and suggested lack of time and money as causes of dissatisfaction with the activities. Third, the greatest obstacle to cultural activities was personal problems: they lacked spare time and finances (money), had no performance or education to participate with ease, and got insufficient information. Besides, adolescents lacked interest in cultural activities. The higher graders were more likely to seriously recognize absence of cultural facilities or environmental problems. Fourth, as for interests-related activities to improve cultural welfare, they suggested that they also have rights to do cultural activities making a life vital, bringing a hope, and helping discover their own strengths and potentials and that the government ne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cultural welfare for adolescent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strategic alternatives were suggested to improve cultural welfare for adolescents.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surrounding environment to allow adolescents to do cultural activities spontaneously and actively.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facilities for activities unique to adolescent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adolescent population, their zones of life, and the number of adolescents as users, cultivate professional manpower, and positively develop a culture and art program to induce adolescents to participate actively. Now there are living-zone youth training facilities as exclusive places for adolescents in Korea. They perform a role of multiple media to improve cultural activities and sensitivity of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high-quality cultural program so that any adolescent can equally enjoy culture through close association with school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ypes of service to allow adolescents to enjoy cultural welfare. As many adolescents have difficulties in enjoying cultural welfare because of economic factors, this needs to be dealt with as a societal responsibility.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nhance institutional conditions so that they can enjoy cultural welfare at minimum costs or free of charge.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active public relations and provide information so that they can enjoy cultural welfare. They had no performance or education to participate with ease and lacked relevant information, thus having difficulties in enjoying culture. To remove such restrictions, operation of Culture Bus can be suggested. This will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of geographical distance to some extent and make immediate PR effects. It will therefore be possible to activate cultural facilities by stimulating adolescents' five senses and by allowing them to visit and use cultural facilities more easily. Fourth,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government to take interest and support necessary to improve cultural welfare for adolescents. Now Korea has the special conference for youth, which has a poor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is formal. It is necessary to consistently provide an opinion-collecting window in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ways so that adolescents can move for themselves in pursuit of their interests. For activities to select youth agenda in a local unit, it is necessary to make regulations in local self-governing bodies as well in order for municipal and provincial governors and educational offices to assist actively and to distribute the budget so that adolescents can practically do activities. Finally,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olicies consistently and organically among governmental departments. In discussing affairs with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which is the competent Ministry for adolescent policies, and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charge of school policies,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needs to establish an organic cooperative system more actively and positively. It will therefore be possible to implement mid- or long-term policies of cultural welfare for adolescents and to establish and use various social infrastructures, ultimatel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living.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