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과 목적 : 직업적 음성사용자는 음성 문제가 지속될 경우 경력, 수행하는 일의 능률과 더불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상 음성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교사들은 환경적으로나 심리적으로 고 위험군에 해당되며, 다른 직업인에 비해 음성 문제를 더 자주, 다양하게 느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성관리의 중요성이나 구체적 음성 관리 방법에 대해 잘 알지 못한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고위험 집단인 어린이집교사를 대상으로 수업이나 일상생활에서 지킬 수 있는 음성위생법을 교육하고 이러한 음성위생법이 교사의 음성관리 방법으로 유효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스트로보스콥 소견 상 음성 질환이나 호흡기 질환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직업적으로 음성을 많이 사용하는 어린이집 교사 15명과 대조군으로 과거력 및 현재력 상 증상 및 이학적 검사에서 음성 장애 소견을 보이지 않는 수술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8년 7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고신대학교복음병원 이비인후과 및 음성언어치료실에서 일상적으로 음성을 사용하고 난 오후에 음성위생 체크리스트를 기초로 구성된 음성위생 체크리스트(부록 Ⅰ)와 음성상담지(부록 Ⅱ)를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관적인 평가에서는 실험군과 통제군 모두 교육 전과 후에 음성피로의 유무를 설문지에 체크하도록 하고 또한 3점 척도의 음성위생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게 하였다. 음향음성학적 분석에서는 CSL의 MDVP를 이용하여 기본주파수(Fo), 주파수변화율(...
배경과 목적 : 직업적 음성사용자는 음성 문제가 지속될 경우 경력, 수행하는 일의 능률과 더불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상 음성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교사들은 환경적으로나 심리적으로 고 위험군에 해당되며, 다른 직업인에 비해 음성 문제를 더 자주, 다양하게 느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성관리의 중요성이나 구체적 음성 관리 방법에 대해 잘 알지 못한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고위험 집단인 어린이집교사를 대상으로 수업이나 일상생활에서 지킬 수 있는 음성위생법을 교육하고 이러한 음성위생법이 교사의 음성관리 방법으로 유효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스트로보스콥 소견 상 음성 질환이나 호흡기 질환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직업적으로 음성을 많이 사용하는 어린이집 교사 15명과 대조군으로 과거력 및 현재력 상 증상 및 이학적 검사에서 음성 장애 소견을 보이지 않는 수술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8년 7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고신대학교복음병원 이비인후과 및 음성언어치료실에서 일상적으로 음성을 사용하고 난 오후에 음성위생 체크리스트를 기초로 구성된 음성위생 체크리스트(부록 Ⅰ)와 음성상담지(부록 Ⅱ)를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관적인 평가에서는 실험군과 통제군 모두 교육 전과 후에 음성피로의 유무를 설문지에 체크하도록 하고 또한 3점 척도의 음성위생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게 하였다. 음향음성학적 분석에서는 CSL의 MDVP를 이용하여 기본주파수(Fo), 주파수변화율(Jitter), 진폭변화율(Shimmer), 소음대배음비(NHR)를 측정하였다. 결과 : 첫째, 주관적인 평가에서는 직업적 음성사용자군과 비직업적 음성사용자군과의 비교에서 음성피로와 음성위생(교육전 1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즉, 음성피로 측면에서 직업적 음성사용자에서는 8명(53.3%)이 음성피로를 호소하였고, 7명(46.7%)이 그렇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비직업적 음성사용자에서는 1명(6.7%)이 음성피로를 호소하였고, 나머지 14명(93.3%)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음향음성학적인 분석에서는 기본주파수, 주파수변화율, 소음대배음비에서는 통계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주파수변화율에서는 음성위생 2차 교육 후에 직업적음성사용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어린이집 여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업적 음성사용자군에서 음성위생교육이 음성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주관적인 평가와 객관적인 평가에서 개선되었으며, 음서위생 교육이 직업적 음성사용자들에게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배경과 목적 : 직업적 음성사용자는 음성 문제가 지속될 경우 경력, 수행하는 일의 능률과 더불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상 음성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교사들은 환경적으로나 심리적으로 고 위험군에 해당되며, 다른 직업인에 비해 음성 문제를 더 자주, 다양하게 느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성관리의 중요성이나 구체적 음성 관리 방법에 대해 잘 알지 못한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고위험 집단인 어린이집교사를 대상으로 수업이나 일상생활에서 지킬 수 있는 음성위생법을 교육하고 이러한 음성위생법이 교사의 음성관리 방법으로 유효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스트로보스콥 소견 상 음성 질환이나 호흡기 질환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직업적으로 음성을 많이 사용하는 어린이집 교사 15명과 대조군으로 과거력 및 현재력 상 증상 및 이학적 검사에서 음성 장애 소견을 보이지 않는 수술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8년 7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고신대학교복음병원 이비인후과 및 음성언어치료실에서 일상적으로 음성을 사용하고 난 오후에 음성위생 체크리스트를 기초로 구성된 음성위생 체크리스트(부록 Ⅰ)와 음성상담지(부록 Ⅱ)를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관적인 평가에서는 실험군과 통제군 모두 교육 전과 후에 음성피로의 유무를 설문지에 체크하도록 하고 또한 3점 척도의 음성위생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게 하였다. 음향음성학적 분석에서는 CSL의 MDVP를 이용하여 기본주파수(Fo), 주파수변화율(Jitter), 진폭변화율(Shimmer), 소음대배음비(NHR)를 측정하였다. 결과 : 첫째, 주관적인 평가에서는 직업적 음성사용자군과 비직업적 음성사용자군과의 비교에서 음성피로와 음성위생(교육전 1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즉, 음성피로 측면에서 직업적 음성사용자에서는 8명(53.3%)이 음성피로를 호소하였고, 7명(46.7%)이 그렇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비직업적 음성사용자에서는 1명(6.7%)이 음성피로를 호소하였고, 나머지 14명(93.3%)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음향음성학적인 분석에서는 기본주파수, 주파수변화율, 소음대배음비에서는 통계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주파수변화율에서는 음성위생 2차 교육 후에 직업적음성사용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어린이집 여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업적 음성사용자군에서 음성위생교육이 음성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주관적인 평가와 객관적인 평가에서 개선되었으며, 음서위생 교육이 직업적 음성사용자들에게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Teachers belong to a high risk group both environmentally and psychologically. Although they feel vocal problems more frequently and variously than those with other jobs, they are not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vocal management and concrete vocal management...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Teachers belong to a high risk group both environmentally and psychologically. Although they feel vocal problems more frequently and variously than those with other jobs, they are not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vocal management and concrete vocal management methods. The current study aimed to teach vocal hygiene for everyday life to nursery teachers, one of high risk groups, and examine the efficiency of the vocal hygiene as a vocal management method for the teachers. Subjects and Method: The subjects of the current study were 15 nursery teachers who use voice a lot for work and are proven to have no clinical history of vocal diseases and respiratory diseases according to stroboscopic examination. And 15 nurses working at operating rooms who present no doctor's observations and diagnosis relating to vocal disorder in their clinical histories and present conditions were selected as a comparative group.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vocal hygiene checklist (Appendix Ⅰ) and vocal counseling sheet (Appendix Ⅱ) that were made on the basis of vocal hygiene checklist in the afternoons after they use voice usually from July 1, 2008 to August 30, 2008 at the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and vocal language treatment room of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In subjective assessment,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were asked to check their vocal fatigue before and after training on the questionnaire sheet, and fill out the vocal hygiene checklist of three-score scale. In acoustic phonetic analysis, fundamental frequency(F_(0)), pitch variation(Jitter), amplitude variation(Shimmer), noise to harmony ratio(NHR) were measured using MDVP of CSL. Results: First of all,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both vocal fatigue and vocal hygiene (the fist hygiene training before training) in comparison between the vocational vocal use group and the non-vocational vocal use group. Secondly, as for acoustic phonetic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F_(0), Jitter and NHR,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Jitter among the vocational vocal use group after the second vocal hygiene training. Conclusion: It is deemed that vocal hygiene training for female nursery teachers among the vocational vocal use group improved their voice in both subjective assessment and objective assessment, and vocal hygiene training is helpful to vocational vocal users.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Teachers belong to a high risk group both environmentally and psychologically. Although they feel vocal problems more frequently and variously than those with other jobs, they are not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vocal management and concrete vocal management methods. The current study aimed to teach vocal hygiene for everyday life to nursery teachers, one of high risk groups, and examine the efficiency of the vocal hygiene as a vocal management method for the teachers. Subjects and Method: The subjects of the current study were 15 nursery teachers who use voice a lot for work and are proven to have no clinical history of vocal diseases and respiratory diseases according to stroboscopic examination. And 15 nurses working at operating rooms who present no doctor's observations and diagnosis relating to vocal disorder in their clinical histories and present conditions were selected as a comparative group.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vocal hygiene checklist (Appendix Ⅰ) and vocal counseling sheet (Appendix Ⅱ) that were made on the basis of vocal hygiene checklist in the afternoons after they use voice usually from July 1, 2008 to August 30, 2008 at the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and vocal language treatment room of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In subjective assessment,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were asked to check their vocal fatigue before and after training on the questionnaire sheet, and fill out the vocal hygiene checklist of three-score scale. In acoustic phonetic analysis, fundamental frequency(F_(0)), pitch variation(Jitter), amplitude variation(Shimmer), noise to harmony ratio(NHR) were measured using MDVP of CSL. Results: First of all,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both vocal fatigue and vocal hygiene (the fist hygiene training before training) in comparison between the vocational vocal use group and the non-vocational vocal use group. Secondly, as for acoustic phonetic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F_(0), Jitter and NHR,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Jitter among the vocational vocal use group after the second vocal hygiene training. Conclusion: It is deemed that vocal hygiene training for female nursery teachers among the vocational vocal use group improved their voice in both subjective assessment and objective assessment, and vocal hygiene training is helpful to vocational vocal use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