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교사는 중·고등학교 교사와는 달리 모든 수업을 담임교사가 이끌어가고, 좀더 다양한 환경 등에서 수업을 가르치고 있어 음성 문제가 쉽게 발생한다. 교사들에게 음성 문제가 심할 경우 직업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에서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교사가 잠재적으로 음성문제에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성관리의 중요성이나 구체적인 음성관리 방법을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음성상태를 올바르게 지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성장애 환자가 아닌 일반 교사를 대상으로 음성위생법 교육의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일선교사의 음성위생법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음성문제의 고위험집단 중 하나인 초등학교 여교사를 대상으로, 음성위생법 교육 전과 후에 주관적인 평가인 음성장애지수와 객관적인 평가인 음향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음질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성대에 이상이 있고 담임을 맡고 있는 초등학교 여교사 30명으로서 음성위생법 교육 유·무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5명씩 참여하였다. 이들은 성대 노쇠가 일어나는 만 50세 미만으로 설문지를 통해 음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의학적 또는 신체적 문제가 없는 교사들이었다. 실험집단의 경우 음성위생법과 본인의 성대 및 음성상태를 설명 듣고 음성위생법을 4주간 준수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들에게는 음성위생법 교육 전과 후에 설문지와 음성장애지수를 표기하도록 하였으며 음향학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의 경우 교육 전과 후에 실시한 검사는 동일하지만 실험집단과 달리 음성위생법 교육이나 음성상태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제시하지 않았다.
결과는 음성위생법 교육 전과 후에 음성장애지수와 음향학적 평가를 통하여 교육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주관적 평가인 음성장애지수와 객관적 평가인 음향학적 변수를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 내의 교육 전과 후의 변화는 저학년과 고학년의 학년별로, 15년 초과와 미만의 경력으로 나누어 교육 전과 후 변화를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집단간 비교에서 실험집단의 경우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에서 모두 음성위생법 교육 전과 후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통제집단의 경우 모든 평가에서 교육 전과 후에 유의한차이가 없었다. 또한 실험집단의 경우 음성위생법을 통해 음성사용에 있어 음성향상이 나타난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 음성사용에 있어 음질이 교육 전과 동일하거나 악화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실험집단 내에서의 학년별 비교결과, 음성장애지수에서 신체적, 정서적 측면은 고학년과 저학년 모두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지만 기능적 측면에서는 저학년만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음향학적 변수에서는 주파수변동율(...
초등학교 교사는 중·고등학교 교사와는 달리 모든 수업을 담임교사가 이끌어가고, 좀더 다양한 환경 등에서 수업을 가르치고 있어 음성 문제가 쉽게 발생한다. 교사들에게 음성 문제가 심할 경우 직업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에서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교사가 잠재적으로 음성문제에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성관리의 중요성이나 구체적인 음성관리 방법을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음성상태를 올바르게 지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성장애 환자가 아닌 일반 교사를 대상으로 음성위생법 교육의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일선교사의 음성위생법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음성문제의 고위험집단 중 하나인 초등학교 여교사를 대상으로, 음성위생법 교육 전과 후에 주관적인 평가인 음성장애지수와 객관적인 평가인 음향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음질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성대에 이상이 있고 담임을 맡고 있는 초등학교 여교사 30명으로서 음성위생법 교육 유·무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5명씩 참여하였다. 이들은 성대 노쇠가 일어나는 만 50세 미만으로 설문지를 통해 음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의학적 또는 신체적 문제가 없는 교사들이었다. 실험집단의 경우 음성위생법과 본인의 성대 및 음성상태를 설명 듣고 음성위생법을 4주간 준수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들에게는 음성위생법 교육 전과 후에 설문지와 음성장애지수를 표기하도록 하였으며 음향학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의 경우 교육 전과 후에 실시한 검사는 동일하지만 실험집단과 달리 음성위생법 교육이나 음성상태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제시하지 않았다.
결과는 음성위생법 교육 전과 후에 음성장애지수와 음향학적 평가를 통하여 교육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주관적 평가인 음성장애지수와 객관적 평가인 음향학적 변수를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 내의 교육 전과 후의 변화는 저학년과 고학년의 학년별로, 15년 초과와 미만의 경력으로 나누어 교육 전과 후 변화를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집단간 비교에서 실험집단의 경우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에서 모두 음성위생법 교육 전과 후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통제집단의 경우 모든 평가에서 교육 전과 후에 유의한차이가 없었다. 또한 실험집단의 경우 음성위생법을 통해 음성사용에 있어 음성향상이 나타난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 음성사용에 있어 음질이 교육 전과 동일하거나 악화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실험집단 내에서의 학년별 비교결과, 음성장애지수에서 신체적, 정서적 측면은 고학년과 저학년 모두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지만 기능적 측면에서는 저학년만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음향학적 변수에서는 주파수변동율(Jitter)과 진폭변화율(Shimmer)만이 저학년에서만 교육 전과 후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경력별 비교 결과, 음성장애지수 평가에서는 신체적 측면에서는 낮은 경력과 높은 경력 두 집단 모두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낸 반면 기능적, 정서적 측면에서 낮은 경력에서만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음향학적 평가에서는 진폭변동율에서는 낮은 경력과 높은 경력 모두 의미있는 차이가 났지만 주파수변동율에서는 높은 경력에서만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음성장애지수 측면에서 볼 때 경력에 비해 학력에 따라 음성위생법 교육 전과 후 효과가 나타났지만 음향학적 측면에서는 학력보다 경력 여부에 따라 교육 효과성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음성위생법은 초등학교 여교사의 음성문제와 음질에 대한 지각정도를 크게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스로가 적절한 음성위생법을 준수하여 이를 실천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음성위생법은 교수활동이나 일상생활에서 활용도가 높고, 학년과 경력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활용도 높은 효과적인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 교사는 중·고등학교 교사와는 달리 모든 수업을 담임교사가 이끌어가고, 좀더 다양한 환경 등에서 수업을 가르치고 있어 음성 문제가 쉽게 발생한다. 교사들에게 음성 문제가 심할 경우 직업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에서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교사가 잠재적으로 음성문제에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성관리의 중요성이나 구체적인 음성관리 방법을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음성상태를 올바르게 지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성장애 환자가 아닌 일반 교사를 대상으로 음성위생법 교육의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일선교사의 음성위생법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음성문제의 고위험집단 중 하나인 초등학교 여교사를 대상으로, 음성위생법 교육 전과 후에 주관적인 평가인 음성장애지수와 객관적인 평가인 음향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음질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성대에 이상이 있고 담임을 맡고 있는 초등학교 여교사 30명으로서 음성위생법 교육 유·무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5명씩 참여하였다. 이들은 성대 노쇠가 일어나는 만 50세 미만으로 설문지를 통해 음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의학적 또는 신체적 문제가 없는 교사들이었다. 실험집단의 경우 음성위생법과 본인의 성대 및 음성상태를 설명 듣고 음성위생법을 4주간 준수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들에게는 음성위생법 교육 전과 후에 설문지와 음성장애지수를 표기하도록 하였으며 음향학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의 경우 교육 전과 후에 실시한 검사는 동일하지만 실험집단과 달리 음성위생법 교육이나 음성상태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제시하지 않았다.
결과는 음성위생법 교육 전과 후에 음성장애지수와 음향학적 평가를 통하여 교육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주관적 평가인 음성장애지수와 객관적 평가인 음향학적 변수를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 내의 교육 전과 후의 변화는 저학년과 고학년의 학년별로, 15년 초과와 미만의 경력으로 나누어 교육 전과 후 변화를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집단간 비교에서 실험집단의 경우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에서 모두 음성위생법 교육 전과 후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통제집단의 경우 모든 평가에서 교육 전과 후에 유의한차이가 없었다. 또한 실험집단의 경우 음성위생법을 통해 음성사용에 있어 음성향상이 나타난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 음성사용에 있어 음질이 교육 전과 동일하거나 악화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실험집단 내에서의 학년별 비교결과, 음성장애지수에서 신체적, 정서적 측면은 고학년과 저학년 모두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지만 기능적 측면에서는 저학년만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음향학적 변수에서는 주파수변동율(Jitter)과 진폭변화율(Shimmer)만이 저학년에서만 교육 전과 후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경력별 비교 결과, 음성장애지수 평가에서는 신체적 측면에서는 낮은 경력과 높은 경력 두 집단 모두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낸 반면 기능적, 정서적 측면에서 낮은 경력에서만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음향학적 평가에서는 진폭변동율에서는 낮은 경력과 높은 경력 모두 의미있는 차이가 났지만 주파수변동율에서는 높은 경력에서만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음성장애지수 측면에서 볼 때 경력에 비해 학력에 따라 음성위생법 교육 전과 후 효과가 나타났지만 음향학적 측면에서는 학력보다 경력 여부에 따라 교육 효과성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음성위생법은 초등학교 여교사의 음성문제와 음질에 대한 지각정도를 크게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스로가 적절한 음성위생법을 준수하여 이를 실천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음성위생법은 교수활동이나 일상생활에서 활용도가 높고, 학년과 경력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활용도 높은 효과적인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ocal hygiene education for the female elementary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mpared the voices of experimental group(N=15) who received the vocal hygiene education, and the control group(N=15) who didn't by using subje...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ocal hygiene education for the female elementary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mpared the voices of experimental group(N=15) who received the vocal hygiene education, and the control group(N=15) who didn't by using subjective evaluation(voice handicap index, VHI) and objective evaluation(Jitt, Shim, NHR). Voice samples for the evaluation were collected just before education and 4 week later.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 quantitative statistical method(Wilcoxon Signed Rank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in the subjective and in the objective evaluation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voice improvement in all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evaluation after 4 weeks. (2) The control group didn't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 evaluation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he control group showed voice quality got worse after 4 weeks.
The present investigation demonstrated that the vocal hygiene education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maintain and improve the vocal health of other professional voice users as well as teachers.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ocal hygiene education for the female elementary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mpared the voices of experimental group(N=15) who received the vocal hygiene education, and the control group(N=15) who didn't by using subjective evaluation(voice handicap index, VHI) and objective evaluation(Jitt, Shim, NHR). Voice samples for the evaluation were collected just before education and 4 week later.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 quantitative statistical method(Wilcoxon Signed Rank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in the subjective and in the objective evaluation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voice improvement in all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evaluation after 4 weeks. (2) The control group didn't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 evaluation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he control group showed voice quality got worse after 4 weeks.
The present investigation demonstrated that the vocal hygiene education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maintain and improve the vocal health of other professional voice users as well as teache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