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0분 만트라 수행이 초등학생의 주의 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김해시 J면 소재 N초등학교 1학년 2개 학급 62명 가운데 학생 31명은 실험 집단, 나머지 학생 31명은 통제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 집단에게는 주5회 10분씩 총 5주 동안 만트라 수행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진행은 본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인 만트라는 기존의 선행연구물들을 참고로 하여 사전에 다양한 종류의 만트라 명상음악을 매일 아침 5분간 들려주고, 만트라 암송을 5분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10분간 독서를 하게 하였다.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두 집단 모두에게 주의 집중력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사전검사와 동일한 척도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Harris와 Harris(1984)의 격자판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검증을 위하여 집중력 검사에 대해서 사전검사에 대한 동질성 검사를 독립표본 ...
본 연구는 ?10분 만트라 수행이 초등학생의 주의 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김해시 J면 소재 N초등학교 1학년 2개 학급 62명 가운데 학생 31명은 실험 집단, 나머지 학생 31명은 통제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 집단에게는 주5회 10분씩 총 5주 동안 만트라 수행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진행은 본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인 만트라는 기존의 선행연구물들을 참고로 하여 사전에 다양한 종류의 만트라 명상음악을 매일 아침 5분간 들려주고, 만트라 암송을 5분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10분간 독서를 하게 하였다.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두 집단 모두에게 주의 집중력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사전검사와 동일한 척도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Harris와 Harris(1984)의 격자판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검증을 위하여 집중력 검사에 대해서 사전검사에 대한 동질성 검사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하여 실시하고, 만트라의 효과를 알아내기 위해 집중력의 전반적인 효과에 대해서 집단(실험, 통제)과 검사(사전, 사후)간의 차이를 반복측정변량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단순 주 효과 분석을 위해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0분 만트라 수행은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나아가 바타, 카파 체질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만트라 수행은 갈수록 주의 산만 아동들이 증가하고 있는 학교현장에서 일반 아동들의 주의 집중력을 기를 수 있는 하나의 효과적인 방법으로 쉽게 활용되고 아동들이 올바르게 학교생활에 적응하며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만트라 수행이 초등학생에게 주의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학급 전체의 분위기의 개선을 위해 적용해 볼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10분 만트라 수행이 초등학생의 주의 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김해시 J면 소재 N초등학교 1학년 2개 학급 62명 가운데 학생 31명은 실험 집단, 나머지 학생 31명은 통제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 집단에게는 주5회 10분씩 총 5주 동안 만트라 수행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진행은 본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인 만트라는 기존의 선행연구물들을 참고로 하여 사전에 다양한 종류의 만트라 명상음악을 매일 아침 5분간 들려주고, 만트라 암송을 5분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10분간 독서를 하게 하였다.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두 집단 모두에게 주의 집중력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사전검사와 동일한 척도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Harris와 Harris(1984)의 격자판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검증을 위하여 집중력 검사에 대해서 사전검사에 대한 동질성 검사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하여 실시하고, 만트라의 효과를 알아내기 위해 집중력의 전반적인 효과에 대해서 집단(실험, 통제)과 검사(사전, 사후)간의 차이를 반복측정변량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단순 주 효과 분석을 위해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0분 만트라 수행은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나아가 바타, 카파 체질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만트라 수행은 갈수록 주의 산만 아동들이 증가하고 있는 학교현장에서 일반 아동들의 주의 집중력을 기를 수 있는 하나의 효과적인 방법으로 쉽게 활용되고 아동들이 올바르게 학교생활에 적응하며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만트라 수행이 초등학생에게 주의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학급 전체의 분위기의 개선을 위해 적용해 볼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10 minutes of?mantra's effect on the concentration enhanc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study, 62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2 classes of N elementary school 1st grade in Kim-hae, Gyeong-nam province. Among them 31 students belong to th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10 minutes of?mantra's effect on the concentration enhanc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study, 62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2 classes of N elementary school 1st grade in Kim-hae, Gyeong-nam province. Among them 31 students belong to the experiment group and 31 students belong to the controlled group. The test group was asked mantra performance 25 times for 5 weeks(every 10 minutes, in the morning), and the program was performed by researcher's instructions. At first, We analyzed causes with reference to existing previous studies and we listened various kinds of mantras for 5 minutes, after listening, recited mantra for 5minutes everyday. On the other hand, I made the controlled group reading for 10 minutes every morning. Before mantra performance started, we examined the stat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held at same place and same time boundary. We used Grid by Harris and Harris(1984) as the means for evaluation. For processing materials, we identified the homogeneity of test group and controlled group about preliminary test for ability of attention through t-probation and conducted repeated measure ANOVA on over-all change of subordinate factors of attention, abilities of selection, control and continuity ability, and difference between group(test, controlled) and tests(preliminary, after) in order to compare test group with controlled group in developing attention statistically, and we used the One-Way ANOVA in order to analyze for simple main effect, and we used a statistical program of SPSS 17.0. As su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10 minutes of?mantra effects?on the concentration enhanc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reover, it showed that effects on vata, and kapha doshas effectively. 10 minutes of mantra i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students who do not pay attention at school spot as time goes by. And it can be used easily for normal children of concentration, also helpful to adjust for enhancement of their study. Therefore, as the result of reciting mantra, we could fi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tion development as well as be worth applying for the atmosphere betterment of whole clas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10 minutes of?mantra's effect on the concentration enhanc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study, 62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2 classes of N elementary school 1st grade in Kim-hae, Gyeong-nam province. Among them 31 students belong to the experiment group and 31 students belong to the controlled group. The test group was asked mantra performance 25 times for 5 weeks(every 10 minutes, in the morning), and the program was performed by researcher's instructions. At first, We analyzed causes with reference to existing previous studies and we listened various kinds of mantras for 5 minutes, after listening, recited mantra for 5minutes everyday. On the other hand, I made the controlled group reading for 10 minutes every morning. Before mantra performance started, we examined the stat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held at same place and same time boundary. We used Grid by Harris and Harris(1984) as the means for evaluation. For processing materials, we identified the homogeneity of test group and controlled group about preliminary test for ability of attention through t-probation and conducted repeated measure ANOVA on over-all change of subordinate factors of attention, abilities of selection, control and continuity ability, and difference between group(test, controlled) and tests(preliminary, after) in order to compare test group with controlled group in developing attention statistically, and we used the One-Way ANOVA in order to analyze for simple main effect, and we used a statistical program of SPSS 17.0. As su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10 minutes of?mantra effects?on the concentration enhanc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reover, it showed that effects on vata, and kapha doshas effectively. 10 minutes of mantra i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students who do not pay attention at school spot as time goes by. And it can be used easily for normal children of concentration, also helpful to adjust for enhancement of their study. Therefore, as the result of reciting mantra, we could fi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tion development as well as be worth applying for the atmosphere betterment of whole class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