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음악교과에서의 현대음악 수업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그 문제점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고등학교 학생들의 현대음악 학습 실태와 음악교사의 현대음악 지도현황을 살펴보고, 현재 음악교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현대음악 수업의 빈도, 현대음악 수업의 내용, 학습영역별 수업양상, 현대음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이 어떠한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과 인천 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500명과 해당 학교의 음악교사 10명을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이 중 회수된 학생용 설문지 499부와 교사용 설문지와 인터뷰 자료 10매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음악교과에서의 현대음악 수업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그 문제점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고등학교 학생들의 현대음악 학습 실태와 음악교사의 현대음악 지도현황을 살펴보고, 현재 음악교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현대음악 수업의 빈도, 현대음악 수업의 내용, 학습영역별 수업양상, 현대음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이 어떠한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과 인천 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500명과 해당 학교의 음악교사 10명을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이 중 회수된 학생용 설문지 499부와 교사용 설문지와 인터뷰 자료 10매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추정방법 중 하나인 크론바흐 알파(Chronbach alpha)를 사용하여 설문지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음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념에 대한 인식도, 관심도, 흥미도를 문항에 따라 빈도분석을 해보았다. 그 결과, 현대음악에 대해 정확한 개념을 모르고 있는 학생이 정확한 개념을 알고 있는 학생에 비해 훨씬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현대음악의 개념을 잘 알고 있는 학생의 현대음악에 대한 관심도를 측정한 결과, 주로 관심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현대음악을 대중음악·실용음악으로 알고 있는 학생들의 관심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현대음악에 대한 흥미도면에서는 관심도와는 다르게 보통이상의 흥미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생들의 현대음악 수업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영역별, 내용별로 조사한 결과, 주로 이해와 감상영역을 통하여 현대음악을 학습하고 있으며, 현대음악 창작과 가창, 기악을 해보지 못한 학생들이 약 70% 이상에 달하였다. 현대음악 내용면에서도 학생들은 주로 20세기 초반 소수의 작곡가와 사조를 중심으로 학습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주로 현대음악 작곡가 중 드뷔시와 스트라빈스키, 현대음악 사조 중 인상주의와 재즈를 중심으로 학습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음악교사들의 현대음악 지도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업 내 현대음악 비중, 현대음악 지도내용, 지도환경, 교사의 자질, 학생들의 반응으로 나누어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현대음악의 빈도는 다른 영역에 비하여 거의 없으며 이는 음악교과의 적은 시수와 교사의 이해부족으로 인한 문제라고 설명하였다. 현대음악의 지도환경은 열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질적인 현대음악 수업을 위한 교수법이 미비하고 학습도구가 부족하며, 다양한 내용을 수록하지 못하고 있는 교과서의 문제를 들어 지도환경에 대한 불만족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는 스스로 현대음악을 가르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설명했으며, 교사 자신의 지식과 이해부족으로 인하여 현대음악 수업이 피상적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하였다. 학생들의 반응은 교사의 수업과 내용에 따라 두 가지 정반대의 반응으로 나뉜다. 교사의 교수법과 내용에 따라 현대음악의 흥미를 갖는 학생들과 흥미를 갖지 못하는 학생들로 나누어짐을 볼 수 있었다.
최흥설(2000)의 고등학교 음악수업에 나타난 현대음악의 학습실태 연구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현대음악 수업은 미미하지만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학생들의 현대음악 개념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낮았지만, 현대음악의 수업 빈도는 좀 더 늘어난 것을 볼 수 있으며 학생들의 흥미도 또한 많이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음악교과에서의 현대음악 수업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위의 조사에서 제기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몇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도적 측면으로는 현대음악 연수프로그램의 확대, 강사풀(Pool)제도의 도입, 교과서 내용의 개편을 들 수 있으며, 수업 자체의 내용적 측면으로는 교수-학습 자료의 확충, 다양한 교수법 개발, 교사의 연구와 노력을 들 수 있다.
현대음악 교육이 현재 수업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점차적으로 해소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사고와 창의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요한 음악수업의 한 부분으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음악교과에서의 현대음악 수업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그 문제점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고등학교 학생들의 현대음악 학습 실태와 음악교사의 현대음악 지도현황을 살펴보고, 현재 음악교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현대음악 수업의 빈도, 현대음악 수업의 내용, 학습영역별 수업양상, 현대음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이 어떠한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과 인천 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500명과 해당 학교의 음악교사 10명을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이 중 회수된 학생용 설문지 499부와 교사용 설문지와 인터뷰 자료 10매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추정방법 중 하나인 크론바흐 알파(Chronbach alpha)를 사용하여 설문지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음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념에 대한 인식도, 관심도, 흥미도를 문항에 따라 빈도분석을 해보았다. 그 결과, 현대음악에 대해 정확한 개념을 모르고 있는 학생이 정확한 개념을 알고 있는 학생에 비해 훨씬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현대음악의 개념을 잘 알고 있는 학생의 현대음악에 대한 관심도를 측정한 결과, 주로 관심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현대음악을 대중음악·실용음악으로 알고 있는 학생들의 관심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현대음악에 대한 흥미도면에서는 관심도와는 다르게 보통이상의 흥미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생들의 현대음악 수업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영역별, 내용별로 조사한 결과, 주로 이해와 감상영역을 통하여 현대음악을 학습하고 있으며, 현대음악 창작과 가창, 기악을 해보지 못한 학생들이 약 70% 이상에 달하였다. 현대음악 내용면에서도 학생들은 주로 20세기 초반 소수의 작곡가와 사조를 중심으로 학습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주로 현대음악 작곡가 중 드뷔시와 스트라빈스키, 현대음악 사조 중 인상주의와 재즈를 중심으로 학습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음악교사들의 현대음악 지도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업 내 현대음악 비중, 현대음악 지도내용, 지도환경, 교사의 자질, 학생들의 반응으로 나누어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현대음악의 빈도는 다른 영역에 비하여 거의 없으며 이는 음악교과의 적은 시수와 교사의 이해부족으로 인한 문제라고 설명하였다. 현대음악의 지도환경은 열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질적인 현대음악 수업을 위한 교수법이 미비하고 학습도구가 부족하며, 다양한 내용을 수록하지 못하고 있는 교과서의 문제를 들어 지도환경에 대한 불만족을 나타냈다. 또한 교사는 스스로 현대음악을 가르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설명했으며, 교사 자신의 지식과 이해부족으로 인하여 현대음악 수업이 피상적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하였다. 학생들의 반응은 교사의 수업과 내용에 따라 두 가지 정반대의 반응으로 나뉜다. 교사의 교수법과 내용에 따라 현대음악의 흥미를 갖는 학생들과 흥미를 갖지 못하는 학생들로 나누어짐을 볼 수 있었다.
최흥설(2000)의 고등학교 음악수업에 나타난 현대음악의 학습실태 연구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현대음악 수업은 미미하지만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학생들의 현대음악 개념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낮았지만, 현대음악의 수업 빈도는 좀 더 늘어난 것을 볼 수 있으며 학생들의 흥미도 또한 많이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음악교과에서의 현대음악 수업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위의 조사에서 제기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몇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도적 측면으로는 현대음악 연수프로그램의 확대, 강사풀(Pool)제도의 도입, 교과서 내용의 개편을 들 수 있으며, 수업 자체의 내용적 측면으로는 교수-학습 자료의 확충, 다양한 교수법 개발, 교사의 연구와 노력을 들 수 있다.
현대음악 교육이 현재 수업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점차적으로 해소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사고와 창의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요한 음악수업의 한 부분으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ecture of contemporary music within high school's music textbook and to suggest the plans to improve the problems. For this, this research examines the highschool students' actual condition of contemporary music and its le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ecture of contemporary music within high school's music textbook and to suggest the plans to improve the problems. For this, this research examines the highschool students' actual condition of contemporary music and its lecturers present guidance condition. This also analysis how the frequency of contemporary music lesson is formed in current curriculum, the contents of lesson, the aspects of lesson, and the cognition of contemporary music from lecturers and students.
This research was collected by surveying 500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Incheon province, including the data of 10 music lecturers' surveys and interviews. From among these, data of 499 students' surveys and 10 lectures' survey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findings implemented the frequency analyze and Chi-square test depend on the research problem by using SPSS program and also applied Chronbach alpha, one of the reliability estimation method, for verification.
A summary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
Firstly, the frequent analysis of concept intelligibility and level of interest has taken a place to examine the student's cognizance to contemporary music. In consequence, number of students with inaccurate notion were greater in comparison to those who know accurately. As a consequence of measuring the level of concern in students whose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music is comprehensive, it indicated an insignificant level of concern. None the less, significant concerns were proved by students who fallibly identified a contemporary music as a pop or an applied music. Dissimilarly to the insignificant degree of concern for contemporary music, the aspect of interests was above the mediocrity.
Secondly, through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current structure of the contemporary music lecture inclusion of its contents and learning method, indicates that learning method relies principally on understanding and impression. As an inevitable consequence more than 70 percent of students have rarely experienced the composition, the song, and the instrumental music. Even in the contents aspects, the centre figure of minority composers and trends such as Debussy, Stravinsky and impressionism and jazz educated students through the lectures.
Lastly, analysis of surveys and interviews on weight, instruction substance, instruction environment, quality of lecturer, and response in relation with contemporary music, indicated that lack of frequency and understanding of music lecture are the main cause for an issue, not the weight of contemporary music within music lecture. Also an inadequate instruction substance appeared. Make an appearance of dissatisfaction in tutoring environment refer to an insufficient teaching method, shortage of learning tool, and scarcity of contents in a textbook. Moreover hardship of teaching a contemporary music is admitted by tutors and the matters arise from lack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which unavoidably lead to superficial learning. Furthermore, students' respond to the lecture are heavily dependent on tutor's lesson style and content thus having huge impact on determination of one's interest to the contemporary music.
By comparing this research with Choi (2000)'s thesis named " investigation of the actual condition of contemporary music in secondary school's music lesson" only insignificant changes have shown in a contemporary music lesson, but positively. The result is a clear indication of the fact that showing the potentiality of development in a contemporary music lesson of music contents.
Several counter plans have suggested for improvement of proposed issues from above investigation in two different point of views. In administrative view, an expansion of training program, reorganization of content of a textbook, and induction of new system such as tutor pool are the methods introduced to overcome the issues in this research findings. In succession, expansion of lecturer's materials, development of multifarious teaching method, and continuance endeavor and researches of a lecture are the methods in the tutorial content view.
I anticipate that contemporary music as part of the music program, can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students' initiativeness and thoughts while making gradual progress with issues in the current contemporary music fiel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ecture of contemporary music within high school's music textbook and to suggest the plans to improve the problems. For this, this research examines the highschool students' actual condition of contemporary music and its lecturers present guidance condition. This also analysis how the frequency of contemporary music lesson is formed in current curriculum, the contents of lesson, the aspects of lesson, and the cognition of contemporary music from lecturers and students.
This research was collected by surveying 500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Incheon province, including the data of 10 music lecturers' surveys and interviews. From among these, data of 499 students' surveys and 10 lectures' survey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findings implemented the frequency analyze and Chi-square test depend on the research problem by using SPSS program and also applied Chronbach alpha, one of the reliability estimation method, for verification.
A summary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
Firstly, the frequent analysis of concept intelligibility and level of interest has taken a place to examine the student's cognizance to contemporary music. In consequence, number of students with inaccurate notion were greater in comparison to those who know accurately. As a consequence of measuring the level of concern in students whose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music is comprehensive, it indicated an insignificant level of concern. None the less, significant concerns were proved by students who fallibly identified a contemporary music as a pop or an applied music. Dissimilarly to the insignificant degree of concern for contemporary music, the aspect of interests was above the mediocrity.
Secondly, through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current structure of the contemporary music lecture inclusion of its contents and learning method, indicates that learning method relies principally on understanding and impression. As an inevitable consequence more than 70 percent of students have rarely experienced the composition, the song, and the instrumental music. Even in the contents aspects, the centre figure of minority composers and trends such as Debussy, Stravinsky and impressionism and jazz educated students through the lectures.
Lastly, analysis of surveys and interviews on weight, instruction substance, instruction environment, quality of lecturer, and response in relation with contemporary music, indicated that lack of frequency and understanding of music lecture are the main cause for an issue, not the weight of contemporary music within music lecture. Also an inadequate instruction substance appeared. Make an appearance of dissatisfaction in tutoring environment refer to an insufficient teaching method, shortage of learning tool, and scarcity of contents in a textbook. Moreover hardship of teaching a contemporary music is admitted by tutors and the matters arise from lack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which unavoidably lead to superficial learning. Furthermore, students' respond to the lecture are heavily dependent on tutor's lesson style and content thus having huge impact on determination of one's interest to the contemporary music.
By comparing this research with Choi (2000)'s thesis named " investigation of the actual condition of contemporary music in secondary school's music lesson" only insignificant changes have shown in a contemporary music lesson, but positively. The result is a clear indication of the fact that showing the potentiality of development in a contemporary music lesson of music contents.
Several counter plans have suggested for improvement of proposed issues from above investigation in two different point of views. In administrative view, an expansion of training program, reorganization of content of a textbook, and induction of new system such as tutor pool are the methods introduced to overcome the issues in this research findings. In succession, expansion of lecturer's materials, development of multifarious teaching method, and continuance endeavor and researches of a lecture are the methods in the tutorial content view.
I anticipate that contemporary music as part of the music program, can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students' initiativeness and thoughts while making gradual progress with issues in the current contemporary music fiel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