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개요
이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중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정규시간의 합창지도 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합창교육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더 나은 합창교육과 합창활동을 성취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의 중학교 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해, 서울 17개교, 경기 18개교 총 35개교, 35명 학교 중등교사에게 배포, 회수하였고, 그 자료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논문개요
이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중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정규시간의 합창지도 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합창교육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더 나은 합창교육과 합창활동을 성취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의 중학교 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해, 서울 17개교, 경기 18개교 총 35개교, 35명 학교 중등교사에게 배포, 회수하였고, 그 자료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음악지도교사들의 개인적인 특성(전공, 학위 정도, 지도 경력)에 따른 합창수업에는 학위 정도와 지도 경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음악 지도 교사들의 전공에 따른 차이는 보였다. ‘선생님은 현재 합창단을 지휘하시거나, 합창단원으로서 소속되어 있으십니까?’의 문항에서 기악, 작곡 전공의 교사들은 합창단원으로 소속되어 있는 비중이 기악 8.3%, 작곡 20.0%로 현저히 낮았고, 성악은 61.5%로 높은 비중을 보인 차이가 있었다. 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합창곡을 부를 때 주로 어떻게 파트를 나누십니까?’에서는 전공이 기악인 교사는 학생들이 자유롭게 자신이 하고 싶은 성부로 노래하도록 학생들의 선택을 존중해 주는 교사가 63.6%로 가장 많았고, 작곡 전공인 교사들은 학생들의 목소리를 교사가 들어보고 합창 파트를 나누는 방법을 60.0%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성악을 전공한 교사들은 각 문항들이 비슷한 비율로 고르게 분포되어 지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서울, 경기 지역에 따른 합창 수업 실태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음악시간에 교과서의 합창 곡 외에 다른 곡을 지도하신 적이 있습니까?’에서 서울지역은 음악시간에 교과서의 합창곡 외에 다른 곡을 지도한 경험이 82.4%로 많은 비중을 보였다. 경기 지역도 55.6%로 과반수이상의 교사가 교과서 외의 곡으로 지도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음악시간의 합창곡을 선정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무엇입니까?’에서 서울 지역은 부르기 쉬운 곡과 학생들의 흥미도가 높은 곡이 각각 50%비중을 차지하였다. 경기지역은 학생들의 흥미도가 높은 곡을 합창곡으로 선정하는 비율이 58.8%로 가장 높았다. 서울과 경기 지역 모두 비교적 학생들의 흥미도가 높은 곡으로 합창곡을 선정함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중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정규 음악 시간의 합창수업 실태조사를 하였는데, 앞으로 전국에 걸쳐 중학교뿐만 아니라, 고등학교까지 그 범위를 확대해 합창 교육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논문개요
이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중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정규시간의 합창지도 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합창교육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더 나은 합창교육과 합창활동을 성취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의 중학교 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해, 서울 17개교, 경기 18개교 총 35개교, 35명 학교 중등교사에게 배포, 회수하였고, 그 자료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음악지도교사들의 개인적인 특성(전공, 학위 정도, 지도 경력)에 따른 합창수업에는 학위 정도와 지도 경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음악 지도 교사들의 전공에 따른 차이는 보였다. ‘선생님은 현재 합창단을 지휘하시거나, 합창단원으로서 소속되어 있으십니까?’의 문항에서 기악, 작곡 전공의 교사들은 합창단원으로 소속되어 있는 비중이 기악 8.3%, 작곡 20.0%로 현저히 낮았고, 성악은 61.5%로 높은 비중을 보인 차이가 있었다. 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합창곡을 부를 때 주로 어떻게 파트를 나누십니까?’에서는 전공이 기악인 교사는 학생들이 자유롭게 자신이 하고 싶은 성부로 노래하도록 학생들의 선택을 존중해 주는 교사가 63.6%로 가장 많았고, 작곡 전공인 교사들은 학생들의 목소리를 교사가 들어보고 합창 파트를 나누는 방법을 60.0%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성악을 전공한 교사들은 각 문항들이 비슷한 비율로 고르게 분포되어 지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서울, 경기 지역에 따른 합창 수업 실태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음악시간에 교과서의 합창 곡 외에 다른 곡을 지도하신 적이 있습니까?’에서 서울지역은 음악시간에 교과서의 합창곡 외에 다른 곡을 지도한 경험이 82.4%로 많은 비중을 보였다. 경기 지역도 55.6%로 과반수이상의 교사가 교과서 외의 곡으로 지도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음악시간의 합창곡을 선정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무엇입니까?’에서 서울 지역은 부르기 쉬운 곡과 학생들의 흥미도가 높은 곡이 각각 50%비중을 차지하였다. 경기지역은 학생들의 흥미도가 높은 곡을 합창곡으로 선정하는 비율이 58.8%로 가장 높았다. 서울과 경기 지역 모두 비교적 학생들의 흥미도가 높은 곡으로 합창곡을 선정함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중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정규 음악 시간의 합창수업 실태조사를 하였는데, 앞으로 전국에 걸쳐 중학교뿐만 아니라, 고등학교까지 그 범위를 확대해 합창 교육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 Study on the Choral Teaching of Regular
Middle School Music Clas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Young In Kim
Music Education Major
...
ABSTRACT
A Study on the Choral Teaching of Regular
Middle School Music Clas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Young In Kim
Music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uducation
Sungshin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recognize current issues and problems in regular choir classes by conducting a survey of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provide an alternative teaching methodology to achieve preferable choral classes and choir activities. This study went through depth interviews and surveys of middle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The survey was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and had been distributed to and collected from 17 schools in Seoul, 18 schools in Gyunggi which makes total 35 schools. And after analyzing data, it was able to draw a conclusion as follow.
First of all, when it comes to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such as major, degree and work experience, it was quite difficult to find out a diversity of answers according to their degrees and work experiences. However, there was a distinctive answer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major. 8.3 percent of members of choir who are majored in instrumental music and 20.0 percent of musical composition answered to the question 'Are you currently a member of choir or a conductor' which was a noticeably low number of percentage. Whereas those who are majored in vocal music answered to the question with high rate number of 61.5 percent. Also, there was a clear answer difference to the question 'how do you usually divide parts when you are leading a chorus'. 63.6 percent of teachers who are majored in instrumental music have answered 'respect students to decide to take their own part' which was the highest number of percentage and then 60 percent of teachers who are majored in musical composition have answered 'take a listen to the sound of student's voice and then make a decision' which placed second highest percentage. And it was not difficult to find that answers from teachers who are majored in vocal music were evenly distributed
Secondly, there were different teaching methodologies in music classes according to the provinces. With high rate number of 82.4 percent of teachers from Seoul have answered to the question 'Have you taught songs from other materials beside textbooks'. And teachers from Gyunggi also have answered to the question with majority rate number of 55.6 percent. Lastly, to the question 'what is your most important factor to select chorus songs', teachers in Seoul gave an answer as 'fun and catchy songs' and 'learning interests' which each placed 50 percent rate. Whereas teachers in Gyunggi have answered 'Learning interes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lass with highest rate number of 58.8 percent. It tells that both teachers from Seoul and Gyunggi are selecting learning interest as a most important factor when it comes to selecting chorus song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firm real status and conditions of middle school musical classes by conducting s survey of teachers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This study should not be limited to middle schools but also be continued to countrywide including high schools to achieve high quality of chorus education.
ABSTRACT
A Study on the Choral Teaching of Regular
Middle School Music Clas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Young In Kim
Music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uducation
Sungshin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recognize current issues and problems in regular choir classes by conducting a survey of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provide an alternative teaching methodology to achieve preferable choral classes and choir activities. This study went through depth interviews and surveys of middle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The survey was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and had been distributed to and collected from 17 schools in Seoul, 18 schools in Gyunggi which makes total 35 schools. And after analyzing data, it was able to draw a conclusion as follow.
First of all, when it comes to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such as major, degree and work experience, it was quite difficult to find out a diversity of answers according to their degrees and work experiences. However, there was a distinctive answer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major. 8.3 percent of members of choir who are majored in instrumental music and 20.0 percent of musical composition answered to the question 'Are you currently a member of choir or a conductor' which was a noticeably low number of percentage. Whereas those who are majored in vocal music answered to the question with high rate number of 61.5 percent. Also, there was a clear answer difference to the question 'how do you usually divide parts when you are leading a chorus'. 63.6 percent of teachers who are majored in instrumental music have answered 'respect students to decide to take their own part' which was the highest number of percentage and then 60 percent of teachers who are majored in musical composition have answered 'take a listen to the sound of student's voice and then make a decision' which placed second highest percentage. And it was not difficult to find that answers from teachers who are majored in vocal music were evenly distributed
Secondly, there were different teaching methodologies in music classes according to the provinces. With high rate number of 82.4 percent of teachers from Seoul have answered to the question 'Have you taught songs from other materials beside textbooks'. And teachers from Gyunggi also have answered to the question with majority rate number of 55.6 percent. Lastly, to the question 'what is your most important factor to select chorus songs', teachers in Seoul gave an answer as 'fun and catchy songs' and 'learning interests' which each placed 50 percent rate. Whereas teachers in Gyunggi have answered 'Learning interes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lass with highest rate number of 58.8 percent. It tells that both teachers from Seoul and Gyunggi are selecting learning interest as a most important factor when it comes to selecting chorus song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firm real status and conditions of middle school musical classes by conducting s survey of teachers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This study should not be limited to middle schools but also be continued to countrywide including high schools to achieve high quality of chorus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