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K-ICQ)를 타당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인관계 유능성 수준의 상·하집단이 대인 갈등 상황에서 어떤 차별적인 반으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1-1에서 한국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유능성 하위요인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총 31문항으로 구성된 5 요인구조가 지지되었으며, 미국에서의 요인과 비슷하게 나타난 세 요인(관계 형성 및 개시, 권리나 불쾌함에 대한 주장, 갈등 관리) 외에 한국의 대인관계 문화를 반영하는 타인에 대한 배려와 적절한 자기 개방이라는 요인이 나타났다. 대인관계 문제, 외로움, 자존감, 사회적 선희도 척도와의 ...
저자 | 한나리 |
---|---|
학위수여기관 | 연세대학교 대학원 |
학위구분 | 국내석사 |
학과 | 심리학과 |
지도교수 | 이동귀 |
발행연도 | 2009 |
총페이지 | v, 68p. |
키워드 | 대인관계 유능성 한국 문화 대인관계 갈등 갈등 대처 interpersonal competence Korean culture interpersonal conflict conflict responses |
언어 | kor |
원문 URL | http://www.riss.kr/link?id=T11926101&outLink=K |
정보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